Browse > Article

A Meta-analysis on the Logical Thinking Ability of Korean Middle-School Students - Meta-analysis of the researches between 1980 and 2000 -  

Kim, Young-Min (Pusan National University)
Kim, Soo-Hyun (Pusan National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v.29, no.4, 2009 , pp. 437-449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meta-analyze research results on Korean students' logical thinking ability. The results of meta-analysis on the research studies between the year 1980 and the year 2000 show that about 40-50%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have conservation reasoning, proportional reasoning and combinatorial reasoning abilities, and that about 25-30% of them have control of variables and probability reasoning abilities. In addition, only 8% of the Korean middle-school students have correlational ability. When comparing their logical thinking ability results with those of Japanese and American middle-school students, The ratio (32.6%) of Korean middle-school students who have formal thought ability is a little higher than that of American students (30.6%), but much lower than that of Japanese students (50.1%).
Keywords
meta-analysis; logical thinking; proportional reasoning; control of variables reasoning; conservation reasoning; probability reasoning; correlational reasoning; combinatorial reasoning; international comparis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Ross, J. A.(1988). Controlling Variables: A Meta-Analysis of Training Studie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58(4), 405-437   DOI   ScienceOn
2 강경련(1997).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인지수준과과학교과 내용의 인 지요구도 수준과의 관계 분석 -6차 교육과정 1년 화학영역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고경휘(2004). 중학생들의 인지발달 수준과 과학교과서 생물 분야의 수준과의 관계 연구,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권재술, 최병순, 허명(1987). 중학교 과학과 교육과정 및 그 운영진단 (II), 한국과학교육학회지, 7(2),1-14   과학기술학회마을
5 우종옥, 김종일(1993). 고등학생의 인지수준과 과학탐구능력과의 관계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3(2), 296~307   과학기술학회마을
6 이자현(1992). 화학 교과 내용이 요구하는 과학적사고력 수준과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의 인지수준과의비교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7 정진경, 이종록(1994). 중학생들의 인지수준과 과학교과 중 물리 내용이 요구하는 과학적 사고력 수준과의 관계, 이화교육논총, 5, 134~145
8 한종하, 최돈형, 김영민(1982). 중${\cdot}$고등학교 학생의 과학적 사고 발달에 관한 조사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9 Matteis, F. E., Spooner, W. E., & Coble, C.R. (1985). A study of the logical thinking skills,integrated process skills, and attitudes ofjunior high school students in North Carolina.East Carolina University, Department ofScience Education. ERIC DocumentReproduction Services No. ED 285754
10 Meehan, A. M.(1984). A Meta-Analysis ofSex Difference in Formal Operational Thought,Child Development, 55, 1110-1124   DOI   ScienceOn
11 유갑열(1988). 한국과 일본 중학생의 과학적 사고력 및 탐구과정 능력에 관한 비교연구, 물리교육, 6(2), 159-169
12 이승진(2005).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의 인지수준과 생물 I 교과 내용이 요구하는 인지수준과의 관계연구,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3 문흥무, 최병순(1987). 고등학생의 지적 발달 수준과 화학 내용이 요구하는 조작 수준과의 관계 연구, 화학교육, 14(2), 116~127   PUBMED
14 정지영(1997). 고등학교 화학 I 교과서 내용의 인지요구도 수준 분석 및 활용방안,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5 김수현(2006). 한국의 중${\cdot}$고등학교 학생들의 논리적 사고 능력에 관한 조사 및 시간적 변화 분석 연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최병순, 허명(1987), 중학생들의 인지수준과 과학교과 내용과의 관계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7(1),19-32   과학기술학회마을
17 Inhelder, B. and Piaget, J. (1958). TheGrowth of Logical Thinking from Childhood toAdolescence, London: Routledge & Kegan Paul Ltd
18 박숙연, 강순희(1997). 고등학교 화학 II 교과서내용의 인지요구도 수준 분석 및 활용방안, 이화교육논총, 9, 21-43
19 Roadrangka. V., Yeany, R. H., & Padilla, M.J.(1983)," Th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a Group Assessment Logical Thinking,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NARAT 56th Conference," Dallas, Texas
20 강순희, 노정원, 박종윤(1998). 과학교육 연구에사용된 GALT 완본과 축소본에 대한 조사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3), 399~413   과학기술학회마을
21 김용미(1997). 중학교 학생들의 인지수준과 과학교과 내용의 인지요구도 수준과의 관계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Karplus, E., Karplus, R., & Wollman, W.(1974). "Intellectual Development Beyond Elementary School IV: Ratio, the Influence of Cognitive Style.",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75(6), 476-482   DOI
23 박종윤, 강순희, 우애자, 허은규(1997). 중학교 화학개념이 요구하는 과학적 사고력 수준과 학생들의인지수준을 고려한 교수방안에 관한 연구, 화학교육, 23(4), 267-278   PUBMED
24 Karplus, R., Karplus, E., Formisano, M., &Paulsen, A.-C. (1975). Proportional Reasoningand Control of Variables in Seven Countries,Advancing Education Through Science-Oriented Programs, Report ID-25, ERIC ED132-046, SE 021-723
25 이숙영(1982). 과학적 사고력의 발달 수준과 과학학업 성취도와의 관 계 -중학교 2학년 남학생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이은아(1993). 고등학교 2학년 인문계 학생들의지적 발달수준과 물리 교과 내용이 요구하는 과학적사고력 수준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학위 논문
27 Matteis, F. E., Spooner, W. E., Coble, C. R.,Takamura, S., Matsumoto, S., Matsumoto, K.,& Yoshida, A. (1992). A Study of the Logical Thinking Skills and Integrated Process Skills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in North Carolina and Japan, Science Education, 76(2),211-222   DOI
28 Tobin, K. G. & Capie, W.(1980). The test of logical thinking: Development and applications.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Boston, Massachusetts
29 김정화(1997). 중학교 과학 3 '물질의 반응'단원내용의 인지 요구도 수준 분석 및 활용 방안,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Lawson, A. E.(1978),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classroom test of formal reason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Teaching, 15(1), p.11-17   DOI
31 안선민(1990), 서울지역 중학교 학생의 사고력 발달정도 -Piaget의 지적 사고유형에 의한 현 중학교과학교과서 내용과의 비교를 위하여-, 이화교육논총,Vol. 1, 207-227
32 박종윤, 강순희(1996). 고등학교 화학 II(하) 교과서 내용이 요구하는 논리적 사고력 수준과 학생들의인지수준 비교 연구, 화학교육, 21(5), 335~3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