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The Cognition Changes Related to the Teaching Methods of "Light" Chapter for 7th Grade as Experienced by Science Teachers in Abduction Thinking  

Kim, Young-Sim (Seoul Gangnam Elementary School)
Paik, Seoung-Hey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v.28, no.6, 2008 , pp. 507-518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difficulties of teaching the chapter on 'ight', experience of learning, teaching methods, and thinking types of 10 science teachers of the master's course in chemistry education. Discussion course for abduction thinking was carried out during 12 hours after the interview. Data were collected from individual interviews of 4 teachers among the 10 subjects and from the reports of the science teachers after the discussion course. From the data,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 science teachers had suffered difficulty in teaching the chapter on light before the discussion course. Most of them had tried to teach drawing the path of light, but there was little teaching effect. Their teaching methods were similar to the method of what they had learned. During the course, the teachers recognized they could not see the path of light directly, and it needed inferring from image. From the abduction thinking, the teachers recognized the meaning of image and gained concrete methods in teaching students.
Keywords
light; science teacher; abduction thinking; 7th grade; teaching method;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7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심해숙(2003). 초등학생의 과학적 가설 생성에서 귀 추의 역할과 그 과정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이양락, 박재근, 이봉우, 한인옥(2005). 7차 초등학 교 과학과 교육과정 내용의 적정성 분석 및 평가. 초등과학교육학회지, 24(3), 214-225
3 정병석(1992). SPACE 수업전략이 국민학생들의 빛 개념 변화에 미치는 전략.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Ariel, R. L.(2003). Warning! Objects in mirror are closer than they appear. The physics teacher, 41(January), 20-21   DOI   ScienceOn
5 Akerson, J. A., Morrison, A. M. & McDuffie, A. R.(2006). One course is not enough: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retention of improved views of nature of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3(2), 194-213   DOI   ScienceOn
6 Bendall, S., Galili, I. & Goldberg, F.(1993)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prior knowledge about ligh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0(9), 1169-1187   DOI   ScienceOn
7 김영진(2004). 화이트헤드의 가능태와 현실태에 관 한 연구.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8 이명제(1996). 과학 교수학습에 관련된 '맥락'의 성 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6(4), 441-450
9 권용주, 양일호, 정원우(2000). 예비 과학교사들의 가 설 창안 과정에 대한 탐색적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1), 29-42
10 오필석, 김찬종(2005). 지구과학의 한 탐구 방법으로 서 귀추법에 대한 이론적 고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 (5), 610-623
11 조희형(2002). 잘못 알기 쉬운 과학 개념. 서울: 전 파과학사
12 장미영(2006). 빛의 성질과 눈의 구조와 기능을 통 합한 탐구 모듈의 개발과 적용.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정효해, 김재영(2005). 초등교사와 학생의 과학과 교 수학습에 대한 곤란도 연구. 초등과학교육학회지, 24(5), 531-538
14 김만희(2003). 폴라니의 인식론에 근거한 과학교수 의 내러티브적 성격 고찰. 한국교원대 박사학위논문
15 권용주, 정진수, 박윤복, 강민정(2003). 선언적 과학 지식의 생성 과정에 대한 과학철학적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3), 215-228
16 Lemke, J. L.(1990). Talking Science: Language, Learning and values. Norwood: Ablex
17 고광병(1997). 빛 개념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와 학 생의 수업 전 후의 개념조사. 한국교원대 석사학위논문
18 권경필, 방소윤, 이성묵, 이경호(2006). 광학분야에 서 학생 개념의 상황 의존성: 시각과 거울상을 중심으 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3), 406-414
19 이건호(1999). 빛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개념.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송진웅(1997). 과학교육에서의 상황 관련 연구에 대 한 개관과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7(3), 273-288
21 Chi, M. T. H., Slotta, J. D. & De Leeuw, N.(1994). From things to processes: A theory of conceptual changes for learning science concepts. Learning and Instruction, 4(1), 27-43   DOI   ScienceOn
22 김현진(2005). 중등 과학예비교사들의 상 형성에 대 한 개념연구 및 탐구 중심적 물리 개념발달 프로그램 개발.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박주영(2006). 영국 Advancing Physics와 우리나라 물 리 교과서의 비교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박종원(2000). 학생의 과학적 설명가설의 생성과정 분석-과학적 가설의 정의와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4), 667-679
25 박준호(2005). 퍼스의 귀추와 가설의 방법. 범한철학회논문집, 37(여름), 65-85
26 이홍우 역(2000). 브루너 교육의 과정. 서울: 배영사
27 인성기 역(2003). 지식 (생명+자연+과학의 모든 것). 서울: 이끌리오 출판사
28 김중복, 김현아, 김수경 (2006). 과학교사를 위한 빛 과 파동. 서울: 홍릉출판사
29 정용재, 송진웅(2006). Peirce의 귀추법에 관한 이론 적 고찰을 통한 과학교육적 함의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2), 703-722
30 박은미, 강순희(2006). 유사 경험의 제공이 귀추에 의한 가설 설정에 미치는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 (3), 356-366
31 Clough, E. E., & Driver, R.(1986). A study of consistency in the use of students' conceptual frameworks across different task context. Science Education, 70(4), 473-496   DOI
32 김영민(2006). Kepler의 망막 상 이론 형성 과정에 서의 과학적 문제 발견과 귀추적 사고.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7), 835-842
33 김진희(2004). 7학년 빛 단원에서의 광선추적과 빛 의 합성에 대한 교사들의 개념이해도 조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4 유준희(2001). 제3차 수학과학 학업 성취도 국제 비 교 반복 연구(TIMSS-R) 결과 중 물리 영역 성취도 분석 을 통한 교육과정 개선 연구 과제의 추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4), 757-772
35 Lawson, A.(1995). Science Teaching and the Development of Thinking. International Thomson Publishing
36 이재봉, 남경운, 손정우, 이성묵(2004). 광선추적과 스펙트럼에 대한 교사와 중학생의 개념 유형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6), 1189-1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