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5267/keses.2022.41.2.236

Elementary School Science Education in Joseon as viewed by Yun Jae-Che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Lee, Myon U (Chuncheo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 v.41, no.2, 2022 , pp. 236-249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contents of science education at the elementary school level in Joseon as narrated by teacher Yun Jae-Cheon (尹在千)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study added commentaries and criticisms about his articles. Yun Jae-Cheon was born toward the end of the Korean Empire and gained first-hand experience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liberation. He was a teacher at Kyeongseong Normal School (京城師範學校)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published several articles related to science education in an educational journal called The Educational Study of Joseon (<朝鮮の敎育硏究>). Notably, he wrote "Science Education in Joseon" (朝鮮の理科敎育) in 1939, which analyzed and reported the overall science education at that time. This study outlined the context of science education in Joseon through the eyes of the Korean teacher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Joseon,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Yun Jae-Cheon's view of science education was extremely limited as he could not help to reveal the pro-Japanese activities.
Keywords
Japanese Colonial Period; Elementary School Science Education; the Educational Study of Joseon(<朝鮮の敎育硏究>); Yun Jae-Che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곽진오(2011). 일제와 조선 교육정책: 조선교육령을 중심으로. 일본문화학보, 50, 255-272.
2 尹在千(1939). 朝鮮の理科敎育. 朝鮮の敎育硏究, 135, 23-40.
3 朝鮮總督府(1940). 朝鮮總督府及所屬官署職員錄. 朝鮮總督府.
4 尹在千(1936). 四年理科第十スト-ブの指導案-綜合敎材. 朝鮮の敎育硏究, 98, 97-99.
5 김봉석(2012). <朝鮮の敎育硏究>를 통해 본 일제시대 초등 역사수업의 실제 양상. 사회과교육연구, 19(2), 1-18.
6 이면우(2012). 일제강점기 중등 과학으로서의 '물상' 교과의 성립: 제4차 조선교육령기를 중심으로. 한국일본교육학연구, 16(2), 61-78.
7 박종석, 정병훈, 박승재(1998b). 1895년부터 1915년까지 과학 교과서의 발행, 검정 및 사용에 관련된 법적 근거와 사용 승인 실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3), 371-382.
8 오윤겸(1971). 과학교육의 사적고찰(1): 개화기에서 해방전까지. 제주교육대학 논문집, 2, 127-140.
9 이면우(2019). 일제강점 이전 시기 초등 수준에서의 '이과(理科)'의 성립과 내용. 한국일본교육학연구, 23(3), 41-62.
10 김광식(2020). 식민지 시기 일본어 조선교육잡지에 대한 서지연구. 근대서지, 22, 295-309.
11 김원중, 김범기(2007). 1930년대 중등학교 물리교육의 내용과 교육 방법 고찰. 새물리, 55(6), 409-421.
12 김정인(2005). 왜정시대, 일제식민지시대, 일제강점기. 역사비평, 73(2005, 겨울), 43-47.
13 문만용(2017). 전국민 과학화운동. 역사비평, 120, 284-315.
14 永田英治, 송민영(1993). 일제시대의 조선총독부 편찬 이과교과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3(3), 389-395.
15 박종석, 정병훈, 박승재(1998a). 대한제국 후기부터 일제 식민지 초기(1906-1915)까지 사용되었던 과학교과용 도서의 조사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1), 93-108.
16 송민영(1998). 조선총독부하 초기의 우리나라 초등과학교육의 상황-조선총독부 편찬 <보통학교이과서> (1913). 초등과학교육, 17(2), 67-77.
17 송민영(2001). 조선총독부하 6년제 보통학교에서의 초기의 과학교육 상황. 한국일본교육학연구, 5(1), 69-92.
18 오성철(2000). 식민지 초등교육의 형성. 교육과학사.
19 우용제, 류방란, 한우희, 오성철(1998). 근대한국초등교육연구. 교육과학사.
20 윤재천(1946). 新敎育序說. 朝鮮敎育硏究會.
21 윤재천(1947a). <소년과학>이 나온다는 말을 듣고. 雜誌創刊號 소년과학, 7.
22 윤재천(1947b). 理科敎育의 新進路. 朝鮮科學社.
23 한용진, 강명숙, 김대식, 이명실, 정미량(2010). 우리나라의 1945년 이전 국가 수준 교육과정(연구보고 RRC 2010-7-2).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4 이동원(2013). 초등 수업안 쓰기 양상과 계보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3(3), 361-384.
25 이명실(1998). 일본 식민지교육사 연구의 동향. 한국교육사학, 20, 385-405.
26 윤재천(1949). 어머니와 어린이 과학. 軍政廳 保健厚生部婦女局, 37-39.
27 강명숙(2006). 일제시대 교육사 연구의 동향과 쟁점. 한국교육사학, 28(1), 1-23.
28 공채영(2015). 개화기 교과서의 과학 삽화 연구: 1900년대 <박물학>과 <이과>를 중심으로.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전문사학위논문.
29 현원복(1982). 일제하의 과학교육정책과 과학대중화 운동. 광장, 110, 37-43.
30 關根明伸(2002). 韓國成立期社會科敎育におけゐ授業實 踐構想-孝悌國民學校の目指したもの. 사회과교육, 41(2), 59-73.
31 尹在千(1935a). 上學年に於て合科敎授は可能か. 朝鮮の敎育硏究, 84, 31-38.
32 尹在千(1935b). 五年理科 「冬の氣候」の敎材硏究. 朝鮮の敎育硏究, 87, 109-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