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5267/keses.2022.41.1.118

An Analysis of Recognitions of the Programs Offered by a 'Science Education Institute' as a Type of Informal Science Education Institution  

Oh, Phil Seok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Lim, Heejun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ong, Yunmi (Gyeonggi Institute of Education)
Kim, Sungho (Incheon Buma Elementary School)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 v.41, no.1, 2022 , pp. 118-133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strengths and limitations of student convergence education and teacher-training programs offered by a science education institute in the capital region and provide suggestions for organizing and running similar programs in other science education institutes and schools. Reviews of relevant literature and interviews with internal and external expert groups were conducted, and an analytic framework was developed. Based on the framework, we collected data using focus group interviews and email communications with expert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s within two areas, namely,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s for students and teacher-training programs. The data analysis results revealed the status of student convergence education and teacher-training programs in the institute. Furthermore, we also provided suggestions for improving programs in other informal science education institutes and schools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wo areas in the framework and educational and social needs.
Keywords
informal science education;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teacher training program; science education institute;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강호감, 김용진, 박재근(2007). 제7차 초중등 교육과정에서 타 교과에 나타나는 생물 관련 내용의 분석. 생물교육, 35(1), 117-133.   DOI
2 경기도교육청(2019a). 8대 분야 체험학습 함께해봄 추진계획. 경기도교육청 문예교육과.
3 경기도교육청(2019c). 경기고교학점제 추진 계획. 경기도교육청 교육과정정책과.
4 경기도교육청(2019d). 「교육다운 교육, 학교다운 학교」를 위한 경기교육 혁신 추진계획. 경기도교육청 정책기획관.
5 경기도융합과학교육원(2018a). 2018 상반기 우리원 사업평가 워크숍 결과. 수원: 경기도융합과학교육원.
6 기경미(2019). 2000-2017년간 공평한 비형식 과학교육 및 학습에 대한 연구 동향 탐색.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경기도융합과학교육원(2018b). 2018 하반기 우리원 사업평가 결과. 수원: 경기도융합과학교육원.
8 경기도융합과학교육원(2019c). 2018년 교육행정기관 자체평가 보고서. 수원: 경기도융합과학교육원.
9 교육부(2015b).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9.
10 교육부(2015a). 초.중등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1.
11 김광석, 권보람, 최연경(2017). 4차 산업혁명과 초연결사회, 변화할 미래 산업. 삼정KPMG 경제연구원 Issue Monitor, 68.
12 대한민국 정부(2017). 100대 국정과제.
13 박수정, 김미정(2015). 교원 역량 강화에 대한 교원의 인식 분석: 세종특별자치시교육청을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32(3), 163-186.   DOI
14 정유진, 오현석, 김찬종, 최승언, 박은지(2014). 초등학생들의 과학관 비형식 과학 학습 관련 기대도 조사: 과학 학습 영역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 33(4), 620-633.
15 경기도융합과학교육원(2019b). 2019년 운영 계획. 수원: 경기도융합과학교육원.
16 정주혜, 송정남, 이선경, 김찬종, 김희백(2005). 미국 자연사박물관의 전시물에 반영된 학교 과학교육과정.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3(2), 235-247.
17 Riedinger, K. (2012). Family connections: Family conversations in informal learning environments: Carol McNulty, editor. Childhood Education, 88(2), 125-127.   DOI
18 대한민국 정부(2017). 100대 국정과제.
19 Solomon, J. (1987). Social influences on the construction of pupils' understanding of science.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14(1), 63-82   DOI
20 Woolnough, B. E. (1994). Effective science teaching. Open University Press, Buckingham.
21 경기도융합과학교육원(2019d). 2019 상반기 우리원 사업평가 워크숍 및 청렴연수 결과. 수원: 경기도융합과학교육원.
22 경기도교육청(2019b). 경기자유학년제 추진 계획. 경기도교육청 교육과정정책과.
23 경기도교육청(2019e). 2019 혁신교육지구 시즌 II 운영계획. 경기도교육청 학교정책과
24 경기도융합과학교육원(2019a). 2019 경기도융합과학교육원 요람. 수원: 경기도융합과학교육원.
25 교육부(2018). 과학.수학.정보 교육 진흥법. 법률 제14903호.
26 Stewart, D. W., & Shamdasani, P. M. (2015/2018). Focus groups: Theory and practice (강종구 역. 포커스 그룹연구 방법론. 학지사). Thousand Oaks: Sage.
27 김이슬, 이선희, 손정주, 김중복, 권효순(2010). 교육프로그램 참가자 만족도 조사로 본 국립과천과학관의 비형식 과학교육프로그램 운영 방향 연구. 과학교육연구지, 34(2), 279-290.   DOI
28 윤혜경(2004). 학교 과학교육을 위한 '학교 밖' 과학교육의 한 가지 개선 방안. 과학교육연구, 27(1), 55-79.
29 홍후조, 민부자, 장소영(2018). 교원연수 프로그램의 체계적 분류와 교원의 요구도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35(2), 157-180.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