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5267/keses.2017.36.4.356

The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Demanded Cognitive Levels of Science Textbooks for the Sixth Graders and the Students' Psychological Difficulty with the Textbooks  

Jeong, Eun Young (Daejeon Boseong Elementary School)
Jang, Myoung-Duk (G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 v.36, no.4, 2017 , pp. 356-366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ether the required cognitive levels of the current 6th graders' science textbooks conform to the children's cognitive levels and to examine the students' sensed psychological difficulty of the current science textbooks. The eighty five students (boy: 39, girl: 46) from one elementary school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2/3 out of the contents in the six graders' science textbooks require concrete level of operation and the 1/3 out of the contents in the textbooks requires the formal level of operation. So the 70% students at the concrete operational level are likely to undergo difficulties with the 1/3 contents in the textbooks. Second, the students' psychological difficulty on the science textbooks is relatively low (approximately two out of five points) and there is not any special pattern between the cognitive level of the textbooks and the students' psychological difficulty of the textbooks.
Keywords
science textbook; elementary school student; cognitive level; psychological difficulty;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강심원 (1994). 인지양식에 따른 인지수준과 과학탐구능력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강순희, 노정원, 박종윤 (1998). 과학교육 연구에 사용된 GALT 완본과 축소본에 대한 조사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3), 399-413.
3 강철웅, 김형범, 정진우 (2013). 논리적 사고력 수준에 따른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과학적 개념의 이해 분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6(3), 165-173.
4 곽영순, 김찬종, 이양락, 정득실 (2006). 초․중등 학생들의 과학 흥미도 조사. 한국지구과학회지, 27(3), 260-268.
5 교육과학기술부 (2010). 초등학교 교사용지도서 과학 4-2. 서울: 금성출판사.
6 교육과학기술부 (2011).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361호[별책 9].
7 교육부 (2016a). 초등학교 과학 6-1. (주)미래엔.
8 교육부 (2016b). 과학 6-1 교사용 지도서. (주)미래엔.
9 교육부 (2016c). 초등학교 과학 6-2. (주)미래엔.
10 교육부 (2016d). 과학 6-2 교사용 지도서. (주)미래엔.
11 교육인적자원부 (2001).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과학 3-1.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2 구자옥, 김성숙, 이혜원, 조성민, 박혜영 (2016). OECD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PISA 2015 결과 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16-2-2.
13 김동우 (1992). 국민학생의 논리적 사고 수준과 전류와 자기장의 학습 성취도와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권도현, 권성기 (2000). 초등학생의 부력 개념 형성과 인지 수준의 관계.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19(1), 131-143.
15 김경미 (1999). 완본과 축소본 GALT의 비교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김영희 (1988). 국민학교 6학년 아동의 지적 발달 수준과 '자연'교과 내용의 수준 비교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김효남 (1995). 아동, 예비교사, 중견교사의 과학지식, 과학적 탐구 능력, 인지 수준의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5(1), 68-72.
18 김현재, 이철이, 채규준 (1986). Piaget 사고 유형에 의한 4, 6학년의 과학 교과서 내용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6(2), 15-33.
19 박정, 정은영, 김경희, 한경혜 (2004). 수학.과학 성취도 추이변화 국제비교 연구: TIMSS 2003 결과 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04-3-2.
20 백남권, 이을수, 박종호 (2006). 초등학생들의 지적발달수준과 과학교과 내용의 수준 비교: 물리 개념을 중심으로. 진주교육대학교논문집, 48, 289-306.
21 손창호 (1993). 인지수준에 따른 국민학교 자연과 교과서 내용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신영준, 동효관, 장윤경 (2009). 초등학생의 인지 발달 수준과 식물 관찰 빈도 관계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7(2), 177-190.
23 우종옥, 정완호, 권재술, 최병순, 정진우, 허명 (1991). 국민학교 자연교과서 개발체제 분석 및 평가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4 이미현 (2007). 6학년 학생들의 인지 발달 단계와 자료 표현방법의 이해에 대한 실태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 전우수, 임성민, 윤진 (2003). 초등학생의 과학선호도. 초등과학교육, 22(1), 81-96.
26 이수영 (2011). 초등학생의 과학-수학 교과에 대한 인식과 경험이 과학기술분야 진로 선택에 미치는 영향 분석. 서울교육대학교 한국초등교육, 22(1), 99-117.
27 이양락, 박재근, 이봉우, 박순경, 정영근 (2004). 과학과 교육내용 적정성 분석 및 평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04-1-6.
28 임아름, 전영석 (2014), 초등학교 과학과 "전기회로" 단원 수업에서 겪는 교사와 학생의 어려움 분석.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33(3), 597-606.   DOI
29 정완호, 김영신, 권용주 (1999). 중학생들의 과학적 사고 수준과 교과서 생물 분야의 탐구활동에서 요구하는 사고수준의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7(3), 202-210.
30 한영신 (1991). 자연교과 내용과 아동의 인지발달 수준간의 적합성 고찰.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1 Craciun, D. (2010). Role-playing as a creative method in science education. Journal of Science and Arts, 1(12), 175-182.
32 Martin, D. J. (2000). Elementary science methods: A constructivist approach (2nd ed.). Wadsworth/Thomson Learning.
33 McSharry, G. & Jones, S. (2000). Role-play in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School Science Review, 82(298), 73-82.
34 Roadrangka, V., Yeany, R. H. & Padilla, M. J. (1983). Th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a Group Assessment of Logical Thinking (GALT):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Dallas, Tex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