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교육부 (2014). 2009 개정 과학과 교사용 지도서 3-1. (주) 미래엔.
|
2 |
교육부 (2014). 2009 개정 과학과 교사용 지도서 4-1. (주) 미래엔.
|
3 |
김성근, 여상인, 우규환 (1999). 과학 수업에서의 학생 질문에 대한 연구(II).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4), 560-569.
|
4 |
김혜경 (1994). 화학 지식의 교수를 위한 인지적 교수 모형의 개발과 적용.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5 |
박종윤, 정인화, 남정희, 최경희, 최병순 (2006).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질문과 피드백을 활용한 교사-학생 상호작용 강화 수업 전략의 개발 및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2), 239-245.
|
6 |
배진호, 김정아 (2008). 고차적 질문 생성 전략이 초등과학 수업에 미치는 효과.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6(4), 555-565.
|
7 |
양미경 (2002). 학생의 질문 행동 및 내용의 특성과 그에 따른 교육의 시사점 분석. 교육학연구, 40(1), 99-128.
|
8 |
이명숙, 조광희, 송진웅 (2004). 소집단 실험활동에서 나타난 중학생 질문 - 응답의 유형과 빈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2), 277-286.
|
9 |
이명제 (2014). 초등 과학교과서 지구과학 지식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질문 종류, 빈도 및 인지적 배경 출처 분석. 한국지구과학학회지, 35(4), 277-289.
|
10 |
이상균 (2012). 초등학교 과학수업에서 사용된 교사의 과학적 질문유형 분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5(3), 287-296.
|
11 |
이윤경, 이태상, 임수민, 김영신 (2015). 과학 수업 상황에 따른 질문의 유형과 빈도에 대한 초, 중학생의 인식 분석. 과학교육연구지. 29(1), 59-79.
|
12 |
정영란, 배재희 (2002). 질문 강화 수업이 중학생들의 질문 수준과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4), 872-881.
|
13 |
조인희, 손연아, 김동렬 (2012). 생물 예비교사의 과학수업모형을 적용한 수업 시연에 나타난 질문 유형 분석. 화학교육학회지, 36(2), 167-185.
|
14 |
Elstgeest, J. (1985). The right question at the right time. In W. Harlen (Ed.). Primary science: Taking the plunge (pp. 36-46).
|
15 |
Chin, C. & Brown, D. E. (2002). Student-generated question: A meaningful aspect of learning in sc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4(5), 521-549.
DOI
|
16 |
Cuccio-Schirripa, S. & Steiner, H. E. (2000). Enhancement and analysis of science question level for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7(2), 210-224.
DOI
|
17 |
Donaldson, M. (1978). Children's minds. London: Fontana. Collins.
|
18 |
Dillon, J. T. (1986). Student questions and Individual learning. Educational Theory, 36(4), 333-341.
DOI
|
19 |
Dillon, J. T. (1988). The remedial status of student questioning.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0, 197-210.
DOI
|
20 |
Finley, F. N. (1985). Variations in prior knowledge. Science Education, 69, 697-706.
DOI
|
21 |
Good, T. L., Slavings, R. L., Harel, K. H. & Emerson, H. (1987). Student passivity: A study of question asking in K-12 classrooms. Sociology of Education, 60, 181-199.
DOI
|
22 |
Levitt, K. E. (2001). An analysis of elementary teachers' beliefs regarding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science. Science Education, 86(1), 1-22.
DOI
|
23 |
최선미, 여상인 (2011). 초등 과학 수업에서의 학생 질문 유형 분석. 과학교육논총, 24(1), 137-146.
|
24 |
Maskill, R. & de Jesus, H. P. (1997). Pupils' questions. Alternative frameworks and the design of science teach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9(7), 781-199.
DOI
|
25 |
Scott, P., Asoko, H., Driver, R. & Emberton, J. (1994) Working from children's ideas: An analysis of constructivist teaching in the context of a chemistry topic. In: P. Fensham R. Gunstone, & R. White (Eds.) The content of science. (pp. 201-220). London: Falmer.
|
26 |
Woodward. (1992). Raising and answering questionsin primary science: Some considerations. Evaluation and Research in Education, 6, 12-13.
|
27 |
Watts, M., Gould, G. & Alsop, S. (1997). Questions of understanding: Categorizing pupils' questions in science. School Science Review, 79, 57-6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