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정하림, 정남용 (2010).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e-PBL 수업이 초등학생의 환경소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3(3), 149-170.
|
2 |
정현희, 서우석 (2008). 초등학생 환경소양 측정 도구의 개발. 환경교육, 21(4), 79-93.
|
3 |
조규동, 정기섭 (2011). 제7차 교육과정과 2007년 개정교육과정의 지속가능발전교육 관련 내용 비교 분석-초등학교 4학년 도덕, 사회, 과학 과목을 중심으로-. 시민인문학, 20(1), 235-263.
|
4 |
주혜은, 이은아, 고희령, 신동희, 이문남 (2005).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의 환경소양 및 환경소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초등과학교육, 24(3), 310-320.
|
5 |
지승현, 남영숙 (2007). 21세기 지식 기반 사회에서의 지속가능발전교육 방향 탐색. 환경교육, 20(1), 62-72.
|
6 |
최돈형 (2005). 지속가능한 미래와 학교 환경교육. 한국환경교육학회 전반기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집, 24-42.
|
7 |
최순호, 이봄미, 윤병순, 노지원 (2008).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교육 유엔 지속가능발전교육 10년을 향하여.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
8 |
최지연, 이상원, 황동국, 이태석 (2013). 초등학생을 위한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 개발. 실과교육연구, 19(2), 169-194.
|
9 |
최지연, 황동국, 이태석, 유동현, 이상원 (2017). 지속가능 발전교육 수업 모형의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13), 41-64.
|
10 |
허양원, 문윤섭 (2010). 지속가능 발전교육 연구학교 적용 과정에서의 참여 교사 경험 이해. 환경교육, 23(3), 17-34.
|
11 |
환경부 (2016). 어린이 초록세상 5-6학년 교과서. 환경부.
|
12 |
Gall, M. D., Gall, J. P. & Borg, W. (2003). Educational research(7th Ed). New York: Longman.
|
13 |
Haughton, G. (1999). Environment justice and the sustainable city. Journal of Planning Education and Research, 18, 233-243.
DOI
|
14 |
Hungerford. (1990). Changing learner behavior through environmental education. The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21(3), 8-21.
DOI
|
15 |
Lind, K. (2000). Exploring scienc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New York: Delmar.
|
16 |
McKeown, R. & Hopkins, C. (2005). EE and ESD: Two paradigms, one crucial goal. Applied Environmental Education and Communication, 4(1), 221-224.
DOI
|
17 |
Osborne, R. J. & Wittrock, M. C. (1983). Learning science : A generative process. Science Education, 67(4), 489-508.
DOI
|
18 |
Pavlova, M. (2013). Towards using transformative education as a benchmark for clarifying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between environmental education an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 19(5), 656-672.
DOI
|
19 |
Simmon, D. (1996). The NAAEE standards project: papers on the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education standards. IL: Northern Illinois University in Dekalb.
|
20 |
Tanner, T. (1980). Significant life experiences. The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11(4), 20-24.
DOI
|
21 |
UNESCO. (2004). United Nations decade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2005-2014; Draft international implementation scheme. UNESCO.
|
22 |
UNESCO. (2009). Review of the context and structure for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learning for sustainable world. UNESCO.
|
23 |
Wals, A. (2012). Shaping education of tomorrow. UNESCO.
|
24 |
UNESCO. (2011).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 expert review on process and learning. UNESCO.
|
25 |
UNESCO-UNEP (1990). Environmental education. A special study for the world conference in education for all. UNESCO-UNEP.
|
26 |
IUCN. (1991). Caring for the earth; A strategy for sustainable living. IUCN.
|
27 |
WCED. (1987). Our common future. Oxford University Press.
|
28 |
교육과학기술부 (2009).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09-41호.
|
29 |
강현선, 손연아 (2016). 사회문제 해결형 지속가능발전교육 수업 모델의 수업 적용 및 효과 분석, 환경교육, 29(1), 79-95.
|
30 |
고석호, 이성희, 문윤섭, 김기대 (2012). 제주 오름 체험학습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환경소양에 미치는 영향 -초등학교 6학년을 중심으로-. 환경교육, 25(2), 135-148.
|
31 |
교육과학기술부 (2010). 2009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중고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 해설.
|
32 |
김선영, 유선미 (2012). 환경관련 대중매체를 활용한 반성적 글쓰기활동의 환경교육적 효과. 환경교육, 25(2), 149-160.
|
33 |
김정은, 이상원 (2010).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기반을 둔 초등학생 대상 생물다양성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실과교육연구, 16(3), 161-182.
|
34 |
김효남, 정완호, 정진우 (1998). 국가 수준의 과학에 관련된 정의적 특성의 평가체제 개발. 초등과학교육, 18(3), 357-369.
|
35 |
남경희, 이성희 (2010). 초등환경교재 환이랑 경이랑 함께 가꾸는 초록 서울 개발 및 환경소양도 검증. 사회과교육, 49(1), 15-26.
|
36 |
오윤정, 장지영, 유효숙, 김성원, 이현주, 최경희 (2011). 2007 및 2009 개정 고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지속가능발전 교육내용 분석 및 비교. 학습자중심 교과교육연구, 11(2), 95-113.
|
37 |
유경희, 신영준 (2014). 체험형 환경학습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환경소양에 미치는 효과. 초등과학교육, 33(1), 69-81.
|
38 |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2008).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교육; 유엔 지속가능발전교육 10년을 향하여.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
39 |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유엔 지속가능발전교육 통영센터 (2007).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교사 지침서.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유엔 지속가능발전교육 통영센터.
|
40 |
이동엽, 김희철, 박만근, 안아영, 이지숙, 이지희, 정철 (2007). 지역기반 환경체험학습의 효과에 관한 연구. 환경교육, 20(1), 19-27.
|
41 |
이선경, 장남기 (1993). 자기 환경화를 통한 환경교육 전략의 효과. 환경교육, 5(1), 71-88.
|
42 |
이병준 (2016). 역량기반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6), 701-715.
|
43 |
이선경, 김남수, 김찬국, 주형선, 황세영, 김이성, 백승현, 이재영, 장미정, 정수정, 정원영, 조우진 (2014). 한국의 유엔지속가능발전교육 10년.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
44 |
이선경, 이재영, 이순철, 이유진, 민경석, 심숙경 (2005). 유엔 지속가능발전교육10년을 위한 국가 추진 전략 개발 연구. 대통령자문지속가능발전위원회.
|
45 |
박태윤, 성정희 (2007).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교사 지침서. 유네스코한국위원회 및 유엔지속가능발전교육 통영센터.
|
46 |
이성덕, 김형균 (2010). 환경감수성의 이론적 탐색, 교육논총, 47(2), 65-85.
|
47 |
이수연, 최동식, 문지원 (2012). 환경교육 프로그램 유형에 따른 초등학생의 환경소양 변화. 환경교육, 25(4), 438-450.
|
48 |
임효진, 이두곤 (2016). 교육의 내재적 가치 관점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교육적 고찰과 발전 방향 연구. 환경교육, 29(4), 384-399.
|
49 |
정기섭 (2017).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18), 749-7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