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5267/keses.2017.36.4.316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 Program related to Creative-Experience Activit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Oh, Hyun-Ju (Seungnamdong Elementary School)
Park, Jae-Keun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 v.36, no.4, 2017 , pp. 316-330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ESD program related to creative-experience activity,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its application. The program was composed of 13 sessions for fifth-grade class in elementary school, including all of the environmental, economic, and social aspects of ESD. This program was connected to the domains of creative hands-on activities, that is, career activities, club activities, self-regulated activities and voluntary service activities. The results was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to undergo the ESD program related to creative-experience activity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environmental literac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but it is proven that this program contributed to the improvement of learners' environmental emotion, skill, and participation.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scientific attitud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but it was considered to affect the elementary students' criticism, self-esteem, and patience in positive and effective manner. In conclusion, more ESD program that cultivate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vironmental literacy need to be developed continuously, and more intensive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earn better understanding of ESD.
Keywords
ESD; environmental literacy; scientific attitude; creative-experience activity;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정하림, 정남용 (2010).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e-PBL 수업이 초등학생의 환경소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3(3), 149-170.
2 정현희, 서우석 (2008). 초등학생 환경소양 측정 도구의 개발. 환경교육, 21(4), 79-93.
3 조규동, 정기섭 (2011). 제7차 교육과정과 2007년 개정교육과정의 지속가능발전교육 관련 내용 비교 분석-초등학교 4학년 도덕, 사회, 과학 과목을 중심으로-. 시민인문학, 20(1), 235-263.
4 주혜은, 이은아, 고희령, 신동희, 이문남 (2005).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의 환경소양 및 환경소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초등과학교육, 24(3), 310-320.
5 지승현, 남영숙 (2007). 21세기 지식 기반 사회에서의 지속가능발전교육 방향 탐색. 환경교육, 20(1), 62-72.
6 최돈형 (2005). 지속가능한 미래와 학교 환경교육. 한국환경교육학회 전반기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집, 24-42.
7 최순호, 이봄미, 윤병순, 노지원 (2008).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교육 유엔 지속가능발전교육 10년을 향하여.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8 최지연, 이상원, 황동국, 이태석 (2013). 초등학생을 위한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 개발. 실과교육연구, 19(2), 169-194.
9 최지연, 황동국, 이태석, 유동현, 이상원 (2017). 지속가능 발전교육 수업 모형의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13), 41-64.
10 허양원, 문윤섭 (2010). 지속가능 발전교육 연구학교 적용 과정에서의 참여 교사 경험 이해. 환경교육, 23(3), 17-34.
11 환경부 (2016). 어린이 초록세상 5-6학년 교과서. 환경부.
12 Gall, M. D., Gall, J. P. & Borg, W. (2003). Educational research(7th Ed). New York: Longman.
13 Haughton, G. (1999). Environment justice and the sustainable city. Journal of Planning Education and Research, 18, 233-243.   DOI
14 Hungerford. (1990). Changing learner behavior through environmental education. The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21(3), 8-21.   DOI
15 Lind, K. (2000). Exploring scienc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New York: Delmar.
16 McKeown, R. & Hopkins, C. (2005). EE and ESD: Two paradigms, one crucial goal. Applied Environmental Education and Communication, 4(1), 221-224.   DOI
17 Osborne, R. J. & Wittrock, M. C. (1983). Learning science : A generative process. Science Education, 67(4), 489-508.   DOI
18 Pavlova, M. (2013). Towards using transformative education as a benchmark for clarifying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between environmental education an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 19(5), 656-672.   DOI
19 Simmon, D. (1996). The NAAEE standards project: papers on the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education standards. IL: Northern Illinois University in Dekalb.
20 Tanner, T. (1980). Significant life experiences. The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11(4), 20-24.   DOI
21 UNESCO. (2004). United Nations decade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2005-2014; Draft international implementation scheme. UNESCO.
22 UNESCO. (2009). Review of the context and structure for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learning for sustainable world. UNESCO.
23 Wals, A. (2012). Shaping education of tomorrow. UNESCO.
24 UNESCO. (2011).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 expert review on process and learning. UNESCO.
25 UNESCO-UNEP (1990). Environmental education. A special study for the world conference in education for all. UNESCO-UNEP.
26 IUCN. (1991). Caring for the earth; A strategy for sustainable living. IUCN.
27 WCED. (1987). Our common future. Oxford University Press.
28 교육과학기술부 (2009).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09-41호.
29 강현선, 손연아 (2016). 사회문제 해결형 지속가능발전교육 수업 모델의 수업 적용 및 효과 분석, 환경교육, 29(1), 79-95.
30 고석호, 이성희, 문윤섭, 김기대 (2012). 제주 오름 체험학습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환경소양에 미치는 영향 -초등학교 6학년을 중심으로-. 환경교육, 25(2), 135-148.
31 교육과학기술부 (2010). 2009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중고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 해설.
32 김선영, 유선미 (2012). 환경관련 대중매체를 활용한 반성적 글쓰기활동의 환경교육적 효과. 환경교육, 25(2), 149-160.
33 김정은, 이상원 (2010).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기반을 둔 초등학생 대상 생물다양성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실과교육연구, 16(3), 161-182.
34 김효남, 정완호, 정진우 (1998). 국가 수준의 과학에 관련된 정의적 특성의 평가체제 개발. 초등과학교육, 18(3), 357-369.
35 남경희, 이성희 (2010). 초등환경교재 환이랑 경이랑 함께 가꾸는 초록 서울 개발 및 환경소양도 검증. 사회과교육, 49(1), 15-26.
36 오윤정, 장지영, 유효숙, 김성원, 이현주, 최경희 (2011). 2007 및 2009 개정 고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지속가능발전 교육내용 분석 및 비교. 학습자중심 교과교육연구, 11(2), 95-113.
37 유경희, 신영준 (2014). 체험형 환경학습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환경소양에 미치는 효과. 초등과학교육, 33(1), 69-81.
38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2008).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교육; 유엔 지속가능발전교육 10년을 향하여.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39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유엔 지속가능발전교육 통영센터 (2007).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교사 지침서.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유엔 지속가능발전교육 통영센터.
40 이동엽, 김희철, 박만근, 안아영, 이지숙, 이지희, 정철 (2007). 지역기반 환경체험학습의 효과에 관한 연구. 환경교육, 20(1), 19-27.
41 이선경, 장남기 (1993). 자기 환경화를 통한 환경교육 전략의 효과. 환경교육, 5(1), 71-88.
42 이병준 (2016). 역량기반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6), 701-715.
43 이선경, 김남수, 김찬국, 주형선, 황세영, 김이성, 백승현, 이재영, 장미정, 정수정, 정원영, 조우진 (2014). 한국의 유엔지속가능발전교육 10년.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44 이선경, 이재영, 이순철, 이유진, 민경석, 심숙경 (2005). 유엔 지속가능발전교육10년을 위한 국가 추진 전략 개발 연구. 대통령자문지속가능발전위원회.
45 박태윤, 성정희 (2007).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교사 지침서. 유네스코한국위원회 및 유엔지속가능발전교육 통영센터.
46 이성덕, 김형균 (2010). 환경감수성의 이론적 탐색, 교육논총, 47(2), 65-85.
47 이수연, 최동식, 문지원 (2012). 환경교육 프로그램 유형에 따른 초등학생의 환경소양 변화. 환경교육, 25(4), 438-450.
48 임효진, 이두곤 (2016). 교육의 내재적 가치 관점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교육적 고찰과 발전 방향 연구. 환경교육, 29(4), 384-399.
49 정기섭 (2017).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18), 749-7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