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4698/jkcce.2017.13.03.039

A Study of Child Emotion Regulation by the Cluster of Mother's Reaction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  

Kim, Jiyoun (굿네이버스 좋은마음센터)
Oh, Ji-Hyun (조선대학교 상담심리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v.13, no.3, 2017 , pp. 39-54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natural groupings of the sub-factors of mother's reaction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The natural groupings were as follows; the emotion-coaching-reaction, the emotion-minimizing-reaction and oversensitive reaction. In addition, this paper also investigated individual differences in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by clusters of sub-factors of mother's reaction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318 children.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cluster analysis and one-way ANOVA. Results: The results suggested four proper cluster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mother's reaction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Cluster 1 was categorized as 'child centered-emotion coaching', cluster 2 was categorized as 'oversensitive-emotion coaching comorbid', cluster 3 was categorized as 'acception-emotion minimizing confused' and cluster 4 was categorized as 'emotion minimizing-unsupporting.' Additionally, the differences between Emotion regulations in each cluster showed distinct points of interest. In terms of the maladaptive emotion regulation, cluster 3 showed the highest level followed by cluster 4. And cluster 1 and 2 showed the lowest level. Conclusion/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helped to find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operation of specific clusters of mother's reaction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 and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Keywords
mother's reaction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 emotion regulation; cluster analysi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7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안라리 (2005). 만 5세 남녀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 정서조절 전략. 열린유아교육연구, 10(2), 61-81.
2 오지현 (2013). 아동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 반응 척도 개발과 타당화. 아동학회지, 34(6), 97-122.   DOI
3 오지현 (2014). 아동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 반응과 아동의 정서지능 간 관계: 성별에 따른 탄력성의 매개효과. 아동학회지, 35(4), 61-78.   DOI
4 오지현 (2015). 아동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 반응이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에서 아동의 공감과 정서조절 방식의 매개효과. 아동학회지, 36(2), 17-37.   DOI
5 오지현, 홍정희 (2014). 청소년이 지각한 어머니 양육행동에 따른 군(群)과 청소년의 적응: 정서 조절방식과 탄력성을 중심으로. 인간발달학회, 21(4), 77-95.
6 원숙연 (2015). 부모상위정서철학이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능력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허애수 (2003). 자녀의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태도 및 아동의 정서조절능력과 또래 유능성.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Cassidy, J. (1994). Emotion regulation: Influences of attachment relationships.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59(2‐3), 228-249.   DOI
9 Denham, S. A., & Grout, L. (1993). Socialization of emotion: Pathway to peschoolers' emotional and social competence. Journal of Nonverbal Behavior, 17(3), 205-227.   DOI
10 Dunn, J., Brown, J., & Beardsall, L. (1991). Family talk about feeling states and children's later understanding of others' emotions. Developmental Psychology, 27(3), 448-455.   DOI
11 Eisenberg, N., & Fabes, R. A. (1994). Mothers’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Relations to children’s temperament and anger behavior. Merrill-Palmer Quarterly, 40(1), 138-156.
12 Eisenberg, N., & Fabes. R. A. (1992). Emotion regulation and the development of social competence. In M. S. Clark (Ed.). Review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Emotion and social behavior (Vol 14, pp. 119-150). Newbury Park, CA: Sage.
13 Eisenberg, N., Cumberland, A., & Spinard, T. L. (1998). Parental socialization of emotion. Psychological Inquiry, 9(4), 241-273.   DOI
14 Eisenberg, N., Fabes, R. A., & Murphy, B. C. (1996). Parents’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Relations to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comforting behavior. Child Development, 67(5), 2227-2247.   DOI
15 Fabes, R. A., Poulin, R. E., Eisenberg, N., & Madden-Derdich, D. A. (2002). The Coping with Children's Negative Scale (CCNES): Psychometric properties and relations with children's emotional competence. Marriage & Family Review, 34(3-4), 285-310.   DOI
16 Goleman, D. (1995). Emotional inteligence. NY: Bantam Books.
17 Hair, J. F., & Black, W. C. (2000). Cluster analysis. In L. G. Grim & P. R. Yarnold (Eds.), Reading and understanding more multivariate statistics (pp. 147-205).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8 Kim, U. C., & Choi, S. H. (1994). Individualism, collectivism and child development: A Korea perspective. In P. M. Greenfield & R. R. Cocking (Eds.), Cross-cultural roots of minority child development (pp. 227-257).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19 Morris, A. S., Silk, J. S., Steinberg, L., Myers, S. S., & Robinson, L. R. (2007). The role of the family context in the development of emotion regulation. Social Development, 16(2), 361-388.   DOI
20 Gottman, J. M., Katz, L. F., & Hooven, C. (1996). Parental meta-emotion philosophy and the emotional life of families: Theoretical models and preliminary data.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10(3), 243-268.   DOI
21 Hoffman, V., Edelstein, W., & Keller, M. (1997). The relation of childhood personality types to adolescent behavior and development: A longitudinal study of Icelandic children. Developmental Psychology, 33(2), 195-205.   DOI
22 Johnson, D. W., & Roger, J. (2000). Reducing school violence through conflict resolution, 갈등 해결을 통한 학교 폭력 예방(추병완, 김영은 옮김). 서울: 백의(원판 1995).
23 권수영 (2007). 거울 부모: 자녀의 속마음을 따뜻하게 비추는 공감 프로젝트. 서울: 울림사.
24 김미진 (2016). 부모의 양육태도 군집의 유형 차이 분석: 부모의 정서표현성과 유아의 또래 유능성을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2(2), 239-262.   DOI
25 김성희, 정옥분 (2011). 아동이 지각하는 어머니의 과보호와 아동의 정서조절능력 및 또래관계: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인간발달연구, 18(3), 69-92.
26 김옥희 (2003). 유아의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태도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및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영남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김은경, 도현심, 김민정, 박보경 (2007). 자녀의 정서표현에 대한 부모의 태도, 남녀 아동의 정서 조절 능력 및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28(3), 115-131.
28 김지연, 남은영 (2011). 자녀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부모의 반응과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행동 간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능력의 매개효과. 아동학회지, 32(5), 13-26.   DOI
29 박지선, 오지현 (2017). 슬픔과 분노에 대한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meta-emotion philosophy) 내용분석. 놀이치료연구, 20(1), 1-25.
30 윤인애, 김광수, 하요상 (2012). 자기성찰지능 향상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초등상담연구, 14(2), 191-208.
31 이강이, 최인숙, 성미영 (2007).부모의 정서사회화와 유아의 정서성 발달의 관계. 아동학회지, 28(3), 187-199.
32 장은혜, 이동귀 (2014). 초등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의 긍정적 정서표현이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연구, 25(3), 5-38.
33 장혜정 (2010). 청소년이 지각하는 어머니의 과보호가 사회적 문제 해결 능력에 미치는 영향. 동신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전은정 (2009). 아동의 공감능력 및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유능성과의 관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정은영 (2008). 과보호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6 Shields, A., & Cicchetti, D. (1998). Reactive aggression among maltreated children: The contributions of attention and emotion dysregulation.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27(4), 381- 395.   DOI
37 Roberts, W., & Strayer, J. (1996). Empathy,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prosocial behavior. Child Development, 67(2), 449-470.   DOI
38 Rohner, R. P., & Pettengil, S. M. (1985). Perceived parental acceptance-rejection and parental control among Korean adolescents. Child Development, 56(2), 524-528.   DOI
39 Shields, A. M., & Cicchetti, D. (1995, March). The development of an emotion regulation assessment battery: Reliability and validity among at-risk grade-school children. Poster session presented at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Indianapolis, IN.
40 Shortt, J. W., Capaldi, D. M., Kim, H. K., & Laurent, H. K. (2010). The effect of intimate partner violence on relationship satisfaction over time for young at-risk couples: The moderating role of observed negative and positive affect. Partner Abuse, 1(2), 131-152.   DOI
41 Yap, M. B. H., Allen, N. B., Leve, C., & Katz, L. F. (2008).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and socialization of adolescent affect: The moderating role of adolescent temperament.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22(5), 688-703.   DOI
42 조유진, 오지현 (2011). 모-자녀 간 역기능적 의사소통 유형의 군집과 특성분노 및 분노대처방식의 관계. 아동학회지, 32(4), 99-113.   DOI
43 진문주 (2010).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및 자기조절능력과 또래관계와의 관계. 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4 최미경, 도현심, 차성혜 (2010).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아동의 정서지능의 매개적 역할. 아동학회지, 31(4), 125-137.
45 최상진, 김혜숙, 유승엽 (1994). 부자유친 성정과 자녀에 대한 영향력. 한국심리학회 연차대회 학술발표논문집, 서울.
46 서정은 (2012). 어머니의 애착 및 자아개념과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간의 관계. 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7 박혜주, 이순행, 최해훈, 방희정 (2005). 낯선 상황에서 영아들의 애착과 정서조절간의 관련성.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8(2), 112-113.
48 고선자 (2003). 조절장애와 애착장애, 정상 유아의 정서 조절 능력과 행동 특성, 어머니의 정서적 반응에 대한 비교 연구. 한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9 공유경, 김희화 (2016). 아동의 또래 갈등해결전략과 사회 및 정서 발달과의 관계: 관계유형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청소년시설환경, 14(2), 167-176.
50 서혜린, 이영 (2008).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와 정서 표현성이 유아의 정서조절전략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9(2), 33-56.
51 송수정, 남은영 (2013).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과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6(3), 1-20.
52 신민진, 하은혜 (2010). 어머니의 과보호적 양육태도와 청소년 불안의 관계에서 부정적 인지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2), 459-477.
53 신주혜, 정윤경 (2016). 한국 어머니의 정서발달관련 신념에 대한 연구: 합의적 질적 분석을 사용하여. 열린부모교육연구, 8(3), 1-26.
54 조유진 (2012). 부모양육태도에 따른 군집과 아동의 개인내적 특성과의 관계: 개인내적 특성 중 자아존중감, 내외통제소재, 자기통제력을 중심으로. 아동과 권리, 16(2), 289-307.
55 조용주 (2010).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공감 척도 개발과 타당화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