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연구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학업지연 행동에 대해 성취목표지향성과 그릿의 상호작용효과를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 내용 및 방법 : 본 연구는 대학생의 학업지연 행동에 대한 성취목표지향성과 그릿의 상호작용 효과를 탐색하기 위해서 학업지연 행동, 성취목표지향성, 그릿의 측정도구를 선택해서 온라인설문지를 제작하였다. 다음으로 연구 대상을 충남 소재 A대학의 재학생 139명에게 설문을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자료의 정규성과 요인 간의 다중공선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기술통계분석과 이변량 상관분석을 수행하였다. 다음으로 학업지연 행동에 대한 성취목표지향성과 그릿의 영향을 탐색하기 위해서 다중회귀 분석(단계적 선택)을 수행하였고, 학업지연 행동에 대한 성취목표지향성과 그릿의 상호작용 효과를 탐색하기 위해서 위계적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자료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지연 행동은 그릿의 학업적 끈기가 가장 높은 수준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다음으로 성취목표지향성의 수행접근목표지향성과 수행회피목표지향성이 영향을 주었다. 둘째, 학업지연 행동에 대한 성취목표지향성의 하위요인들과 그릿의 상호작용은 모든 하위요인에서 나타났다. 그릿은 성취목표지향성의 유형에 관계 없이 모두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및 제언 : 본 연구는 대학생의 학업지연 행동에 대한 성취목표지향성과 그릿의 상호작용 효과를 탐색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고려할 때, 학습자들의 성취목표지향성의 유형 조사를 통해서 학업지연 행동을 예측하여 그릿의 수준을 조절하는 지원을 제공할 것을 제안한다.
Purpose of Study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interactive effects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grit on college students' academic procrastination. Research content and methods : The study selected measurement tools for academic procrastinatio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grit to explore the interaction effect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grit on college students' academic procrastination behavior and created an online questionnaire. Next,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39 students at University A in Chungnam Province.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bivariate correlation analysis to verify the normality of the data and multicollinearity between factors. Nex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tepwise selection) was performed to explore the effects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grit on academic procrastination behavior,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plore the interaction effect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grit on academic procrastination behavior. The results of the data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academic procrastination behavior had a negative effect at the highest level of grit's academic persistence. Next, performance-approach goal orientation and performance-avoidance goal orientation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had an effect. Second, the interaction between the subfactors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grit on academic procrastination behavior appeared in all subfactors. Grit was found to have an interactive effect regardless of the type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Conclusion and Recommendations : This study explored the interaction effect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grit on college students' academic procrastination behavior.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suggested to provide support for controlling the level of grit by predicting academic procrastination behavior through an investigation of the types of learner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