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paring for the Second Baby Boom Retirement: A study on Entrepreneurship Education to Support a Fresh Start for Retirees

제2차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 준비: 퇴직자의 새로운 시작을 돕는 창업교육 연구

  • Park So Youn (Center for developement Career and Start-up, U1 university) ;
  • Choi Kyu Sun (Korea Science & Technology Holdings)
  • 박소연 (유원대학교 취창업지원센터) ;
  • 최규선 (한국과학기술지주)
  • Received : 2024.07.09
  • Accepted : 2024.10.14
  • Published : 2024.10.31

Abstract

While the large-scale retirement of the second baby boomers is predicted, new beginnings such as re-employment and start-up of prospective retirees who attempt to switch careers before and after retirement based on the skills and expertise accumulated in the industrial field are very important in terms of society. Therefore, this study established a research model based on Shapero's start-up event model, a representative theory explaining start-up intention and behavior. In the direct variable affecting the start-up motivation of prospective retirees, factors affecting positive (+) and negative (-) factors In order to comprehensively grasp it, family support and the burden of failure were set as parameters to verify the effect of these factors on the intention to start a business. As a result, a positive (+) influence relationship was found on the effect of the retiree's start-up motivation on the burden of failure, the start-up motivation on the family support, the start-up motivation on the start-up intention, and the family support on the start-up intention. It was found that the start-up motivation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start-up intention through family support. In other words, for prospective retirees, who are mainly middle-aged, the threshold for start-up has been very low due to technological advances, but nevertheless, family support was found to be a very important factor in the conditions of investing retirement funds and capital, which are important in family relationships.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the burden of failure had a negative (-) effect on the start-up intention, and the loss of investment and fear of repayment of the loan appeared as a large burden. Accordingly, it is proposed that prospective retirees who are considering starting a business be able to thoroughly prepare for a start-up through the support of their families, and to operate a specialized outplacement start-up education program that can learn about raising funds and efficient management of funds. It is expected to systematically support retirees' preparation for start-ups, reduce the burden of failure, and ultimately increase the likelihood of a successful start-up.

제2차 베이비붐 세대의 대규모 퇴직이 예고된 가운데, 산업 현장에서 축적해 온 기술과 전문성을 기반으로 퇴직 전·후 경력 전환을 시도하는 퇴직예정자의 재취업, 창업과 같은 새로운 시작은 사회적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창업의도와 행동을 설명하는 대표적인 이론인 Shapero의 창업이벤트모델을 기반으로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퇴직예정자의 창업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적 변인에서 정(+)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부(-)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종합적으로 파악하고자 가족지지와 실패부담감을 매개변수로 설정하여 이러한 요인들이 창업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퇴직예정자의 창업 동기가 실패 부담감에 미치는 영향과, 창업 동기가 가족지지에 미치는 영향, 창업 동기가 창업 의도에 미치는 영향, 가족지지가 창업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는 정(+)의 영향 관계가 나타났다. 창업 동기는 가족지지를 매개로 창업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주로 중장년층에 해당하는 퇴직예정자에게 있어서 기술의 발전으로 창업의 문턱은 매우 낮아졌지만, 그럼에도 가족 간 관계에 있어서 중요한 노후 자금과 자본을 투자해야 하는 여건상 가족지지는 매우 중요한 요소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실패부담감은 창업의도에 부(-)의 영향을 나타냈으며 투자금 손실과 차업금 상환에 대한 두려움 등이 많은 부담을 주는 것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창업을 고려하는 퇴직예정자의 경우 가족의 지지를 매개로 창업을 철저히 준비할 수 있도록 하며, 창업자금 조달과 자금의 효율적 관리 등을 학습할 수 있는 전문 아웃플레이스먼트 창업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할 것을 제안한다. 퇴직예정자들의 창업 준비를 체계적으로 지원하고, 실패에 대한 부담감을 경감시키며, 궁극적으로 성공적인 창업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유미.김재호(2015). 중장년층의 심리적 특성과 창업환경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및 개인자산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창업학회지, 10(3), 25-49.
  2. 고대장(2018). 기업 퇴직자 대상의 창업교육 프로그램 사례연구: A사 창업지원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산업교육연구, 36, 65-86.
  3. 권대봉(2006). 고령화 시대의 노동시장의 변화에 따른 중고령자 평생학습모델. 한국교육학연구, 12(1), 103-127.
  4. 권대봉.김재현.이형민.이윤수(2012). 아웃플레이스먼트(Outplacement) 연구의 경향 분석: 2000년대 이후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HRD연구, 14(3), 1-23.
  5. 김명숙.박태경(2019). 창업교육만족도와 가족지지가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창업효능감의 매개효과. 경영연구, 34(3), 103-123.
  6. 김석란.이영민(2015). 기업퇴직근로자 전직지원프로그램 비교분석.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5(1), 80-90.
  7. 김용태(2018). 체험형 창업강좌와 이론형 창업강좌 학습자간의창업 동기, 기업가정신 및 창업의도 비교 연구. 벤처창업연구, 13(4), 49-58.
  8. 김영태.허철무(2021). 시니어 창업자 역량과 창업지원정책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멘토링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벤처창업연구, 16(2), 109-121.
  9. 김혜윤.홍아정(2024). 퇴직 예정자의 인지적유연성이 심리적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리터러시 매개효과와 사회적지지 조절효과. Andragogy Today, 27(2), 65-95.
  10. 김홍(2014). 대학생의 직업성격유형이 창업의지 및 직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벤처창업연구, 9(5), 255-265.
  11. 박소연.최규선(2023). 아웃플레이스먼트 활성화를 위한 퇴직예정자의 창업의도 연구: 창업자기효능감 매개효과 중심. 경영교육연구, 38(4), 27-59.
  12. 박종현(2018). 시니어 창업교육프로그램과 창업지원 제도가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를 조절효과로. 석사학위논문, 호서대학교.
  13. 배병윤.이주헌(2018). 대학생의 조절초점 성향이 기업가지향성, 창업동기 및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창업학회지, 13(2), 1-24.
  14. 배점모(2015). 사회적 지지의 효과에 대한 이론적 고찰. 한국자치행정학보, 29(4), 49-70.
  15. 서다예(2022). 공기업 퇴직예정자의 창업 의지에 미치는 영향요인. 국내석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16. 성지미.안주엽.김동태(2015). 전직지원서비스 표준모델 개발. 서울: 노사발전재단.
  17. 손성곤.김형철(2018). 창업동기가 청년의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재기가능성의 조절효과검증. 경영컨설팅연구, 18(2), 149-160.
  18. 송경숙(2015). 소상공인 경영자의 창업환경이 실패부담감과 창업실패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2), 393-407.
  19. 오상훈.하규수(2013). 창업 환경 및 인식이 사업실패부담감을 매개로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11(8), 143-157.
  20. 유봉호(2013). 청년창업자의 심리특성과 내재적 동기가 창업성공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학회지, 26(10), 2669-2690.
  21. 유봉호(2015). 성취 욕구와 창업가정신이 창업 의도에 미치는 영향: 창업 동기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벤처창업연구, 10(3), 51-60.
  22. 윤방섭(2004). 창업의도의 결정 요인: 개인특성 및 환경요인. 산학경영연구, 17(2), 89-110.
  23. 이동진.표민호(2017). 사업장 내 전략 수준의 경영 참여와 교육 훈련 및 혁신성과에 관한 종단연구.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41(1), 117-142.
  24. 이선협.안은재(2018). 여성창업자의 창업동기가 기업가지향성과 창업의도를 매개로 창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23(6), 95-112.
  25. 이종오.김창수(2020). 창업교육의 품질이 창업교육 성과에 미치는 영향: 창업 교육 교수법에 대한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경영컨설팅연구, 20(1), 97-111.
  26. 이지우(2000). 개인특성과 창업의도 사이의 관계. 중소기업연구, 22(1), 121-146.
  27. 이재석.이상명(2015). 창업교육과 창업의도의 관계: 기업가 지향성과 환경적 요인의 조절효과. 벤처창업연구, 10(3), 61-74.
  28. 이현민(2023). 중장년 경력설계, 전직지원 상담의 주요 현황과 과제. 50+정책동향리포트, 40(2).
  29. 이현주.곽윤경.전지현(2020). 한국의 사회적 불안과 사회보장의 과제: 청.중년의 사회적 불안. 세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0. 임교순.전인오(2015). 창업지원제도가 잠재적 창업가의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11), 422-432.
  31. 임운택(2006). 이직/실직 근로자를 위한 국내 전직지원 서비스(Outplacement Services)현황과 활성화 방안. 사회과학논총, 25(2), 167-194.
  32. 장영미.하규수(2018). 시니어의 창업역량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사회적지지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벤처창업연구, 13(3), 13-36.
  33. 정동섭.박지근(2003). 전직지원서비스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연구. 직업능력개발연구, 6(1), 275-298.
  34. 정용회.하규수(2012). 예비창업자 개인적 특성요인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양: 예비창업자 경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유통학회지, 15(4), 41-53.
  35. 정지영.임정하(2011). 청소년의 기질, 가족건강성, 사회적 지지가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23(1), 37-51.
  36. 정호성.강성원.문외솔.박준.손민중.이찬영.이은미.이민훈.박번순(2010). 베이비붐 세대 은퇴의 파급효과와 대응방안. 서울: 삼성경제연구소.
  37. 최진숙.황금주(2018). 예비 창업가의 긍정심리자본과 커리어 야망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식경영학회, 19(3), 135-171.
  38. 통계청 KOSIS(2017). https://www.kostat.go.kr/board.es?mid=a10301090700&bid=11469&act=view&list_no=371939.
  39. 통계청(2022a). 2022 고령자 통계. 통계청 보도자료. Retrieved from https://www.kostat.go.kr/board.es?mid=a10301060500&bid=10820&act=view&list_no=420896&tag=&nPage=1&ref_bid=.
  40. 통계청(2022b). 2022년 5월 경제활동인구조사 고령층 부가조사 결과. 통계청 보도자료, Retrieved from https://www.gov.kr/portal/gvrnPolicy/view/H2207000000913926.
  41. 하규수(2012). 사업에 대한 태도와 실패에 대한 두려움이 창업의욕에 미치는 영향. 기업경영연구, 19(5), 59-74.
  42. 한만선.손성문.공재형(2019). 시니어창업 교육서비스 품질이 만족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경영컨설팅연구, 19(1), 193-205.
  43. 홍성표(2022). 중장년의 창업 결정 및 과정에 대한 질적연구. 한국창업학회지, 17(2), 1-27.
  44. 황지영.남정민(2019). 한국, 일본, 싱가포르 시니어 창업가의 기회형 창업수준이 창업성과에 미치는 효과: 정부 창업지원 프로그램의 조절효과. 한국창업학회지, 14(6), 271-294.
  45. Ajzen, I. & Fishbein, M.(1980). Understanding Attitudes and Predicting Social Behavior. New Jersey: Englewood Clif. 
  46. Ajzen, I.(1991).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ur. Organizational Behaviou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50(2), 179-211.
  47. Arenius, P., & Minniti, M.(2005). Perceptual Variables and Nascent Entrepreneurship. SmallBusiness Economics, 24(3), 233-247.
  48. Breznitz, S. M., & Zhang, Q.(2022).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firm creation. Regional Studies, 56(6), 940-955.
  49. Bird, B.(1988). Implementing Entrepreneurial Ideas: The Case for Intention.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3(3), 442-453.
  50. Bird, M., & Wennberg, K.(2016). Why family matters: The impact of family resources on immigrant entrepreneurs' exit from entrepreneurship.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31(6), 687-704.
  51. Burgelman, R. A.(1988). Strategy making as a social learning process: The case of internal corporate venturing. Academic Journal, 18(3), 74-85.
  52. Butter, E, H., & Moore, D. P.(1997). Women's Organizational Exodus to Entrepreneurship: Self-reported Motivations and Correlates with Success. Journal of Small Business Management, 24(4), 18-29.
  53. Carsrud, A., & Brannback, M.(2011). Entrepreneurial Motivations: What Do We Still Need to Know?. Journal of Small Business Management, 49, 9-26.
  54. Cervello-Royo, R., Moya-Clemente, I., Perello-Marin, M. R., & Ribes-Giner, G.(2020). Sustainable development, economic and financial factors, that influence the opportunity-driven entrepreneurship. An fsQCA approach.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115, 393-402.
  55. Conroy, D. E.(2001). Fear of Failure: An Exemplar for Social Development Research in Sport. Quest, 53(2), 165-183.
  56. Crant, J. M.(1996). The Proactive Personality Scale as a Predictor of EntrepreneurialIntentions. Journal of Small Business Management, 34(3), 42-4.
  57. Erikson, E. H.(1963). Childhood and society. New York: Norton.
  58. Golinkoff, R. M., & Hirsh-Pasek, K.(2016). Becoming brilliant: What science tells us aboutraising successful children. US: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59. Hunter, E., Jenkins, A., & Mark-Herbert, C.(2020). When fear of failure leads to intentions to act entrepreneurially: Insights from threat appraisals and coping efficacy. International Small Business Journal, 0266242620967006.
  60. Krueger Jr, N. F., & Brazeal, D. V.(1994). Entrepreneurial potential and potential entrepreneurs.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18(3), 91-104.
  61. Lakhal, S., Frenette, E., Sevigny, S., & Khechine, H.(2012). Relationship between choice of a business major type (thing-oriented versus person-oriented) and Big Five personality traits.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Management Education, 10(2), 88-100.
  62. Lee, S. H., Peng, M. W., & Barney, J. B.(2007). Bankruptcy law and entrepreneurship development: A real options perspectiv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32(1), 257-272.
  63. Levinson, D. J.(1978). The season of a man's life. New York: Knopf.
  64. Luthans, F., Avolio, B. J., Avey, J. B., & Norman, S. M.(2007).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Measurement and relationship with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Personnel Psychology, 60(3), 541-572.
  65. McGrath, R. G.(1999). Falling forward: Real options reasoning and entrepreneurial failur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4(1), 13-30.
  66. Mitchell, J. R., & Shepherd, D. A.(2011). Afraid of Opportunity: The Effects of Fear ofFailure on Entrepreneurial Action. Frontiers of Entrepreneurship Research, 31(6), 195-209.
  67. Yoon, N. S.(2012). The Effect of Potential Entrepreneurial Motivations on Entrepreneurship and Commitment to Starts-up: Mediating Role of Entrepreneurship. Industrial Economics Research, 25(2), 1537-1557.
  68. Naffziger, D. W., Hornsby, J. S., & Kuratko, D. F.(1994). A proposed research model of entrepreneurial motivation.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18(3), 29-42.
  69. Renzulli, L. A., Aldrich, H., & Moody, J.(2000). Family Matters: Gender, Networks, and Entrepreneurial Outcomes. Social Forces, 79(2), 523-546.
  70. Sadler, A. W.(2006). The Third Age, Da Capo Press, third age, 30 years after forty(revised). Seoul: sai.
  71. Suryadi, A., Hufad, A., Komar, O., & Riswanto, A.(2019). Entrepreneurial skills at retirement age: Analysis of the importance of training for retiring employees in Bandung city. International Journal of Entrepreneurship, 23(2), 1-6.
  72. Shane, S.(2009). Why encouraging more people to become entrepreneurs is bad public policy. Small business economics, 33, 141-149.
  73. Shapero, A., & Sokol, L.(1982). The Social Dimensions of Entrepreneurship. NJ: Prentice Hall.
  74. Sharma, S., Sharma, J., & Devi, A.(2009).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he key role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Business intelligence journal, 2(1), 205-213.
  75. Shepherd, D.(2015). Party on!: A call for entrepreneurship research that is more interactive, activity based, cognitively hot, compassionate, and prosocial.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30, 489-507.
  76. Sutter, C., Webb, J., Kistruck, G., Ketchen Jr, D. J., & Ireland, R. D.(2017). Transitioning entrepreneurs from informal to formal markets.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32(4), 420-442.
  77. Wyrwich, M., Stuetzer M., & Sternberg, R.(2016). Entrepreneurial Role Models, Fear ofFailure, and Institutional Approval of Entrepreneurship: A Tale of Two Regions, Small Business Economics, 46(3), 467-492.
  78. Zhao, H., O'Connor, G., Wu, J., & Lumpkin, G. T.(2021). Age and entrepreneurial career success: A review and a meta-analysis.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36(1), 106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