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zing the Determinants of SPACs for SMEs after COVID-19: A Focus on Prospect Theory

COVID-19 이후 성장기 중소벤처기업의 기업인수목적회사(SPAC) 결정요인 분석: 전망 이론(Prospect Theory)을 중심으로

  • Yoon, Hyun Joong (College of Business Administration & Department of Data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윤현중 (강원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회계학부, 데이터사이언스학과)
  • Received : 2024.09.14
  • Accepted : 2024.10.25
  • Published : 2024.10.31

Abstract

As corporate listing became difficult after the foreign exchange crisis in 2008, the public offering method was changed in Korea in 2009 to allow listing through the SPAC (Special Purpose Acquisition Company) program. In the early stages of implementation, the negative perception that it was a backdoor listing rather than a direct listing through an IPO (Initial Public Offering) was dominant, but after COVID-19, many companies at home and abroad began to pursue listing through the SPAC program, and listing through SPAC has recently become very popular. In order to confirm the changes in SPAC after COVID-19,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overall trend related to the selection of a special purpose acquisition company (SPAC) after COVID-19 by adding variables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in product and the outlook for corporate growth in addition to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financial status of the company identified in previously published papers as the reasons for unlisted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to choose the SPAC program. Specifically, this study additionally examined the degree of product innovation and the outlook for corporate growth after COVID-19 in addition to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difficulties in traditional corporate management identified as performance indicators as the reasons for unlisted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to choose SPAC. Based on 200 sample data surveyed on unlisted SM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reasons why Korean unlisted SMEs choose SPAC programs did not produce significant analysis results for the variables presented in previously published studies, but similar patterns were confirmed, and the hypotheses related to product innovation and corporate growth prospects after COVID-19, which were the focus of this study, were significantly supported. These analysis results include the recent changes in perceptions surrounding SPACs, and expand existing knowledge by adding the reasons why unlisted SMEs choose SPAC programs.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implications for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interested in SPAC programs.

본 연구는 성장기 중소벤처기업의 창업가가 기업인수목적회사(SPAC) 프로그램을 고려하는 이유를 검토하고 있다. 비상장기업들이 왜 SPAC 프로그램을 선택하는지와 관련된 논의들이 계속 진행되어 왔고 많은 연구들에서 기업경영의 어려움이라고 추론할 수 있는 재무적성과 지표 변수들이 비상장기업 창업가들이 SPAC 프로그램을 선택하게 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제시되고 있지만, 기본적으로 성장기 비상장 중소벤처기업 창업가의 인식과 전망이 반영되지 않았으며, 무엇보다 COVID-19 이후 변화되고 있는 변화상이 포함되지 않은 한계가 있다. 하지만 최근 연구들에서 한국의 SPAC 상장과 관련된 트랜드가 COVID-19 이후에 변화되었다고 보고되고 있어 창업가의 기대와 인식을 연구에 포함하여 성장기 중소벤처기업이 SPAC 프로그램의 선택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들에서 확인된 재무적 성과 지표 변수 이외에 COVID-19 이후 기업성장에 대한 전망 변수 및 주력 제품·서비스의 혁신성 변수를 추가하여, 성장기 중소벤처기업의 창업가가 SPAC 프로그램을 선택하는 이유를 분석하였다. 성장기 중소벤처기업을 대상으로 조사된 167개 표본 자료를 기반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한국의 비상장중소벤처기업의 주력 제품·서비스의 혁신 정도가 클수록 SPAC 프로그램을 선택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COVID-19 이후 기업성장에 대한 전망이 밝지 않은 중소벤처기업일수록 SPAC 프로그램을 선택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SPAC 프로그램의 선택을 둘러싸고 COVID-19 이후에 변화되고 있는 성장기 중소벤처기업 창업가들의 인식과 전망을 포함하고 있어 기존 지식을 확장하고 있을 뿐 아니라, 한국의 비상장 중소벤처기업의 창업가가 SPAC 프로그램을 고려하는 이유를 전망 이론을 적용하여 분석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론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SPAC 프로그램의 선택에 기업의 재무적 성과 지표가 중요할 수 있지만, 이 보다는 주력 제품·서비스의 혁신 정도와 COVID-19 이후 기업성장에 대한 전망이 성장기 중소벤처기업 창업가로 하여금 SPAC 프로그램을 선택하게 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이는 SPAC 프로그램 선택에 관심을 가진 연구자들과 실무자들에게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았음 (RS-2023-00242528)

References

  1. 강형철.변희섭(2022). 스팩(SPAC)의 성공적 합병을 위한 결정요인: 스폰서의 이해상충 vs. 협상력. 금융연구, 36(3), 1-52.
  2. 김동철(2007). 기업수익성과 경영자의 경영위험 선택. 관리회계연구, 7(2), 69-88.
  3. 김동한.이미영(2019). 상장유형에 따른 기업의 장기성과에 관한 연구. 상업교육연구, 33(2), 87-115.
  4. 김범(2010). 자본시장법상 기업인수목적회사(SPAC) 제도의 도입과 법적 과제. 기업법연구, 24(2), 119-148.
  5. 김배정(2024). SPAC의 규제 동향과 개선과제. 저스티스, 200, 42-80.
  6. 김애경(2008). Special Purpose Acquisition Companies(SPAC)의 도입 및 제도보호를 위한 법적 고찰. 증권법연구, 9(2), 271-314.
  7. 김종일.이장순(2008). 우회상장의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코스닥시장 우회상장을 중심으로. 대한경영학회지, 21(3), 2023-2046.
  8. 김종일.이장순(2009). 우회상장과 IPO에 대한 의사결정 비교연구. 세무와 회계저널, 10(3), 81-103.
  9. 김한준(2010). 국내기업인수목적회사(Special Purpose Acquisition Company, SPAC)의 재무적 특성과 제도적 고찰. 기업법연구, 24(3), 329-352.
  10. 박해식.김남종(2022). 국내 스팩(SPAC)의 성과와 시사점, 서울: KIF 연구보고서.
  11. 성희활(2020). 우회상장 규제의 역사와 현황 및 개선방안. 기업법연구, 34(1), 9-39.
  12. 유상수.양동우(2011). 우회상장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 코스닥시장을 중심으로 기업가정신과 벤처연구, 14(4), 73-100.
  13. 윤현중(2018). 벤처기업의 제품개발 전략 실행과 제품개발 성과간의 관계에서 제품 혁신성의 매개효과 검증. 벤처창업연구, 13(4), 23-34.
  14. 윤현중(2021). 벤처기업의 제품개발 프로젝트와 제품개발 성과: 비즈니스 모델의 역할 탐색. 벤처창업연구, 17(5), 265-278.
  15. 윤현중.이종용(2019). 기업경영의 어려움, 기업가적 지향성과 성장 단계 벤처기업의 출구 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창업학회지, 14(5), 113-138.
  16. 이관영(2018). 국내 신규공모절차 및 관련 제도의 변화. 재무관리연구, 35(2), 205-231.
  17. 이우백(2017).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와 합병을 통한 중소기업의 상장 성과 분석. 한국증권학회지, 46(3), 591-622.
  18. 이호선(2014). 기업인수목적회사(SPAC) 제도 도입의 효과. 경영과 정보연구, 33(2), 263-279.
  19. 정도범.김병일.유화선(2021). ICT 벤처기업의 경영 성과와 위험 선택의 관계: 전망 이론(Prospect Theory)을 바탕으로 한 시사점. 기술혁신학회지, 24(3), 421-437.
  20. 정도범.유화선(2022). 코로나19(COVID-19)와 제조기업의 유연근무제도 활용 여부: 전망 이론(Prospect Theory)을 중심으로. 연세경영연구, 59(1), 21-45.
  21. 차재영.서영택.윤병섭(2019). 비상장기업의 코스닥시장 상장방법 선택: IPO와 SPAC비교. 중소기업연구, 41(2), 51-78.
  22. 홍지헌.양동우(2021). 우리나라 비상장기업의 코스닥 SPAC 합병상장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대한경영학회지, 34(3), 527-557.
  23. Boyer, C., & Baigent, G.(2008). SPACs as alternative investments: An examination of performance and factors that drive prices. Journal of Private Equity, 11(3), 8-15.
  24. Cumming, D., Haβ, L. H., & Schweizer, D.(2014). The fast track IPO-Success factors for taking firms public with SPACs. Journal of Banking & Finance, 47, 198-213.
  25. Dartar, C., Emmb, E., & Incec, U.(2012). Going public through the back door: A comparative analysis of SPACS and IPOs. Banking & Finance Review, 4(1), 17-36.
  26. Hosmer Jr., D. W., & Lemeshow, S.(2000). Applied logistic regression(2nd Ed.). New York. John Wiley & Sons, Inc.
  27. Heyman, D. K.(2007). From blank check to SPAC: The regulator's response to the market and the market's response to the regulation. Entrepreneurial Business Law Journal, 2(1), 531-552.
  28. Kang, C. K., & Lee, S.(2023). What has been changed in SPAC mergers? Evidence from Korea since their introduction. Finance Research Letters, 56, 1-7.
  29. Kang, C. K., & Lee, S.(2024). SPACs and the COVID-19 pandemic: Evidence from Korea. Research in International Business and Finance, 72, 1-24.
  30. Kahneman, D., & Tversky, A.(1979). Prospect theory: An analysis of decision under risk. Econometrica, 47(2), 263-292.
  31. Kolb, J., & Tykvova, T.(2016). Going Public via special purpose acquisition companies: Frogs do not turn into princes. Journal of Corporate Finance, 40, 80-96.
  32. Lakicevic, M., & Vulanivic, M.(2011). Determinants of mergers: A case of special purpose acquisition companies(SPACs). Investment Management & Financial Innovations, 8(3), 114-120.
  33. Lakicevic, M., & Vulanivic, M.(2013). A story on SPACs. Managerial Finance, 39(4), 384-403.
  34. March, J. G.(1991).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in organizational learning. Organization Science, 2(1), 71-87.
  35. Rodrigues, U., & Stegemoller, M.(2015). What all-cash companies tell us about IPOs and acquisitions. Journal of Corporate Finance, 29, 111-121.
  36. Schein, E.(2004). Organizational culture and leadership (3rd ed.). San Francisco, CA: Jossey-Bass.
  37. Stinchcombe, A. L.(1965). Social Structure and Organizations. In J. G. March (Ed.). Handbook of Organizations(pp. 142-193). New York, Rand McNal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