숏폼(Short-form)을 활용한 창업기업의 디지털마케팅이 구매의도와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브랜드태도의 매개 효과

The Impact Of Short-form Digital Marketing On Purchase Inten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Of Startup Companies: The Mediating Effect Of Brand Attitude

  • 박일수 (대전대학교 융합컨설팅학과 ) ;
  • 민경세 (국립한밭대 경제학과) ;
  • 현병환 (대전대학교 융합컨설팅학과)
  • Park ilsu (Department of Business Consulting, Daejeon University) ;
  • Min kyungse (Department of Economics, Hanbat National University) ;
  • Hyeon byeonghwan (Department of Business Consulting, Daejeon University)
  • 투고 : 2024.09.13
  • 심사 : 2024.10.21
  • 발행 : 2024.10.31

초록

본 연구는 디지털 기술이 발전하고 소비자의 정보 처리 방식이 온라인 중심으로 이동하면서 창업기업은 최대한의 경험을 갖고 효과적으로 마케팅을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전략이 필요하다. 숏폼컨텐츠는 저렴한 제작 비용과 빠른 확산을 기반으로 창업기업이 디지털 마케팅에서 높은 부분을 담당할 수 있는 도구로 사용되고 있다. 본연구에서는 숏폼컨텐츠가 창업기업 마케팅 전략에서 왜 중요한지는 주목하고 소비자의 구매의도와 추천의도에 영향을 분석하고, 브랜드태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실증적으로 검토하였다. 연구는 숏폼 콘텐츠 특성을 유희성, 신뢰성, 창의성, 상호작용성으로 구분하여, 각 특성이 브랜드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 나아가 브랜드태도가 소비자의 구매의도와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실증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숏폼 콘텐츠의 유희성, 신뢰성, 상호작용성은 브랜드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의성은 브랜드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긍정적인 브랜드태도는 소비자의 구매의도와 추천의도 모두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즉, 브랜드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강화될수록 소비자는 해당 제품을 구매하려는 의도와 타인에게 추천하려는 의도가 높아졌다. 셋째, 브랜드태도는 숏폼 콘텐츠 특성과 구매의도 및 추천의도 사이에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숏폼 콘텐츠가 직접적으로 구매나 추천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뿐만 아니라, 브랜드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함으로써 그 효과가 더욱 강화된다는 점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창업기업이 숏폼 콘텐츠를 활용한 마케팅을 통해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고, 긍정적인 소비자 태도를 형성함으로써 구매 및 추천 의도를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논문은 창업기업이 쉽게 접근하기 어려운 TV, 유명연예인들을 활용한 매스마케팅에 대해 연구한 기존 선행 논문과 달리 창업기업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숏폼 콘텐츠를 활용한 마케팅이 소비자의 구매의도와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으며, 그 결과 숏폼콘텐츠는 소비자의 구매의도와 추천의도가 브랜드가치에 긍정정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향후 마케팅전략에 대한 연구에서는 창업기업이 활용할 수 있는 숏폼콘텐츠 마케팅의 효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더욱 깊게 연구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As digital technology evolves and consumers shift their information processing to online, startups need new strategies to maximize their experience and market effectively. Short-form content, with its low production costs and rapid dissemination, has become a tool for startups to take a greater role in digital marketing. This study focuses on the importance of short-form content in the marketing strategy of startups, analyzes its impact o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and empirically examines its impact on brand attitude. The study categorized short-form content characteristics into playfulness, credibility, creativity, and interactivity to examine the impact of each characteristic on brand attitude, and further analyzed the impact of brand attitude o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a survey, and the empirical analysis yield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playfulness, credibility, and interactivity of short form content positively influenced brand attitude. Creativity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brand attitude. Second, positive brand attitude had a positive effect on both purchase inten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i.e., the more positive the perception of the brand, the more likely consumers were to purchase the product and recommend it to others. Third, brand attitude was foun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hort-form content characteristics and purchase inten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This means that short-form content not only directly affects purchase and recommendation intentions, but also strengthens them by creating a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brand. This suggests that startups can use short-form content marketing to increase brand awareness and build positive consumer attitudes to increase purchase and recommendation intention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근명(2017). 소셜 특성이 미디어의 브랜드 외식산업 태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대학원.
  2. 강소라.김유정.한수진(2016). 소셜미디어 사용에서 창의성과 콘텐츠 제작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7(8), 335-343.
  3. 곽동성.김성기(2004). 유명인 광고모델의 속성이 광고와 브랜드태도에 미치는 영향: 아동들의 제품유형을 중심으로. 한국방송광고공사. 광고연구, (62), 7-28.
  4. 국가통계포털(2020). 시도별 신생기업 생존율, 시도별 신생기업 생존율(년 2012~2021), (2023.10.10.), https://kosis.kr.
  5. 권수경(2013). 패션제품 블로그 리뷰를 통한 온라인 구전효과에 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6. 구결이(2019). 뷰티 1인 미디어 크리에이터와 콘텐츠 특성이 구매의도 및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7. 김경인(2022). 뷰티 숏 폼 콘텐츠 특성을 고려한 사용자 태도 및 지속사용의도의 융 복합적 영향 연구.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40(5), 1-13.
  8. 김은영(2009). 브랜드 태도와 브랜드 이미지가 소비자-브랜드 관계 및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디지털 카메라 제품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9. 김정미(2010). 남녀 청소년의 학교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 완벽주의와 자기존중감의 매개효과 및 성별차이 검증. 상담학연구, 11(2), 809-829.
  10. 김준희.서상혁(2010). 온라인 정보 및 구전특성 요인이 고객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인터넷 서비스 포털 사이트를 중심으로. 한국벤처창업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83-97.
  11. 김진경(2022). 숏폼 관광콘텐츠 특성이 관광태도, 방문의도,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12. 김철완.최지호.문연희(2012). 브랜드 SNS 몰입이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상품학연구, 30(2), 107-116.
  13. 김춘곤.유희경(2008). 연예인 광고모델 속성이 외식브랜드에 미치는 광고효과분석. 호텔관광연구, 10(3), 18-36.
  14. 김현지.오세림.조수빈(2020). 숏폼 콘텐츠 트렌드. .한국마케팅연구원, 54(7), 60-69.
  15. 남종우(2013). 외식기업의 컬러마케팅이 브랜드인지도와 브랜드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패밀리 레스토랑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16. 낭윤서.김규정(2022). MZ 세대를 겨냥한 게이미피케이션 기반 효과적인 디지털 마케팅 방안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2(7), 202-215.
  17. 누립국.박만석.고준(2015). 유통업체 신뢰성이 유통업체 브랜드(PB)에 대한 태도 및 PB 상품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5(11), 467-485.
  18. 박수현(2011). 외식프랜차이즈 브랜드의 광고 모델속성이 광고태도와 브랜드태도 그리고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호텔리조트연구, 10(2), 227-247.
  19. 박정숙.변정우(2013). 기술 수용모델을 활용한 SNS의 지각된 즐거움이 고객만족과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호텔 외식사업부를 중심으로. 관광레저연구, 25(1), 419-435.
  20. 박지영(2014). 페이스북 이용 동기에 따른 상호작용성이 패션제품의 구전 의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동덕여자대학교.
  21. 방광수.조영주.박종철(2015). 기업의 문화마케팅활동이 기업이미지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호혜성 지각과 신뢰의 매개역할. 마케팅논집, 23(2), 1-22.
  22. 변상운(2019). 유튜브의 속성이 패션제품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23. 서몽운.김종무(2018). 시나 웨이보에서 정보제공유형 차이에 따른 사용자의 태도 분석: SNS 특성에 대한 이용자 태도, 구매의도 및 공유의도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63, 7-18.
  24. 서영수(2013). 소비자의 스마트폰 수용시점에 따른 만족도와 추천 의도 연구. 박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25. 손주관.김동균(2019). 중저가 관광호텔의 서비스품질이 고객신뢰 및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레저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95-113.
  26. 신동엽(1999). 신뢰의 경영: 신뢰기반 경영의 이론적 바탕과 실제 예들. 연세경영연구, 36(1), 65-105.
  27. 신서영.이범준.차성미(2011). 외식 정보 온라인 구전 특성이 구전 효과에 미치는 영향: 정보원 신뢰도의 매개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식품영양학회지, 24(2), 217-225.
  28. 안신희.고재윤(2017). 외식기업의 SNS 특성이 고객만족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e-비즈니스연구, 18(1), 91-106.
  29. 안주아(2003). 소비자에 근거한 브랜드 자산 측정의 타당성 검증. 광고학연구, 14(2), 253-278.
  30. 양정아.황선진(2010). 온라인 패션 커뮤니티의 정보특성이 관계품질 및 구전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 학술발표논문집, 130-130.
  31. 유서영(2018). 오픈마켓 입점업체의 SNS마케팅특성이 시장지향성 및 소비자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32. 유이산(2020). SNS광고 속성이 소비자 충동구매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33. 윤성임(2018). SNS특성이 SNS활용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소상공인 SNS교육 조절효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성대학교.
  34. 이강유.성동규(2018). 유튜브 이용자의 몰입경험과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콘텐츠학회추논문지, 18(12), 660-6
  35. 이기혁.강보현(2022). 디지털 마케팅 해외 연구 동향: SCOPUS DB 를 중심으로. 산업융합연구, 20(11), 11-17.
  36. 이소은(2008). 의류점포의 VMD와 브랜드 인지도에 따른 구조관계: 감정반응, 브랜드 이미지 및 태도, 구매의도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37. 이은영.이태민(2005). 온라인 환경에서의 정보특성이 구전효과에 미치는 영향: 소비자 제품지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16(2), 145-171.
  38. 이유정.조남혜(2014). 패션 브랜드 SNS의 특성, 관계의 질 및 구매의도의 관계: 페이스북을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22(5), 834-847.
  39. 이지원.강인원.정성운(2011). SNS 상의 콘텐츠 품질이 사용자의 수용태도와 구전활동에 미치는 영향. 지식경영연구, 12(5), 1-10.
  40. 이진(2020). 숏폼 동영상 콘텐츠의 유형 연구. 인문콘텐츠, 58, 121-139.
  41. 이한선(2017). 소비자 혁신성과 디지털전시에 대한 상호작용성과 몰입이 관람객의 유희성과 만족도, 공유의도에 미치는 영향: Team Lab World 사례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42. 장석주.윤우규.문영신(2008). 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 마케팅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벤처창업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255-301.
  43. 장심렬.천순덕(2014). SNS 관광정보의 특성이 확산성, 신뢰성 및 관광지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을 방문한 중국 관광객을 중심으로. Tourism Research, 39(4), 25-45.
  44. 전지혜(2016). 이미지 기반 SNS의 특성이 외식업체 브랜드에 대한 구전, 태도, 방문, 구매에 미치는 영향: 인스타그램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45. 정이령.남미우(2023). 메이크업 숏폼 콘텐츠의 특성이 MZ 세대의 메이크업 행동 및 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미용예술경영연구, 17(2), 221-247.
  46. 정인숙(2022). 미디어 플랫폼의 이해. 서울; 컴북스캠퍼스.
  47. 조영대(2013). 커피전문점 선택속성이 고객만족과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 28(5), 305-323.
  48. 조준희.최민석.이재학.박철(2012). SNS 마케팅 유형과 소기업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 IT 서비스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2012(1), 547-552.
  49. 증가녕.김인재(2018). 유튜브 뷰티 채널에서 화장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18(6), 409-425.
  50. 진엽(2020). 중국의 1인 미디어 PR특성이 소비자 만족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51. 채선영.이인재(2018). 외식기업의 지속가능경영활동이 기업신뢰 및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레저연구, 30(12), 325-346.
  52. 채혁기.박상언.강주영(2008). 인터넷 쇼핑몰을 위한 AISAS 모델 기반의 RSS 마케팅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전자거래학회지, 13(3), 21-49.
  53. 최건림(2021). 소비자 구매의도 결정 모형 관점의 숏폼 동영상 광고 효과 연구.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54. 최효진(2009).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상호작용성이 구성원의 커뮤니티 동일시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55. 한지숙(2015). 스마트폰 위치기반광고가 지속적 이용의도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위치기반광고 사용자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포럼, 49, 65-74.
  56. 홍주빈(1997). 서비스 품질과 고객만족이 재구매의사와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 박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57. 황소미(2019). 1인 미디어 브랜디드 콘텐츠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설득지식모델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58. Aaker, D. A.(1996). Measuring brand equity across products and markets. California Management Review, 38(3).
  59. Abelson, R. P., Kinder, D. R., Peters, M. D., & Fiske, S. T.(1982). Affective and semantic components in political person percep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2(4), 619.
  60. Downes, E. J., & McMillan, S. J.(2000). Defining interactivity: A qualitative identification of key dimensions. New Media & Society, 2(2), 157-179.
  61. Engel, J. F., Blackwell, R. D., & Miniard, P. W.(1986). Consumer behavior. Dryden Press.
  62. Fazio, R. H., & Zanna, M. P.(1981). Direct experience and attitude-behavior consistency. In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14, 161-202). Academic Press.
  63. Fishbein, M., & Ajzen, I.(1977).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64. Gardner, J. (2022). Two-stage differences in differences. arXiv preprint arXiv:2207.05943.
  65. Grace, D., & O'Cass, A.(2005). Service branding: consumer verdicts on service brands. Journal of Retailing and Consumer Services, 12(2), 125-139.
  66. Guilford, J. P.(1950). Creativity. American Psychology. New World Encyclopedia, 5, 444-454.
  67. Kaplanidou, K., & Vogt, C. (2006). A structural analysis of destination travel intentions as a function of web site features. Journal of Travel research, 45(2), 204-216.
  68. Keller, K. L.(2003). Strategic brand management: Building, measuring, and managing brand equity (2nd ed.).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69. Kline, T. J. (2005). Psychological testing: A practical approach to design and evaluation. Sage publications.
  70. Low, G. S., & Lamb Jr, C. W.(2000). The measurement and dimensionality of brand associations. Journal of Product & Brand Management, 9(6), 350-370.
  71. Morgan, R. M., & Hunt, S. D.(1994). The commitment-trust theory of relationship marketing. Journal of Marketing, 58(3), 20-38.
  72. Nakamura, J., & Csikszentmihalyi, M.(2003). The motivational sources of creativity as viewed from the paradigm of positive psychology.
  73. Neuman, W. R.(1991). The future of the mass audien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Newcastle upon Tyne.
  74. Ohanian, R.(1990).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a scale to measure celebrity endorsers' perceived expertise, trustworthiness, and attractiveness. Journal of Advertising, 19(3), 39-52.
  75. Ohanian, R., & Tashchian, A.(1992). Consumers' shopping effort and evaluation of store image attributes: the roles of purchasing involvement and recreational shopping interest. Journal of Applied Business Research, 8(4), 40-40.
  76. Perse, E. M.(1998). Implications of cognitive and affective involvement for channel changing. Journal of Communication, 48(3), 49-68.
  77. Rafaeli, S.(1988). From new media to communication. Sage Annual Review of Communication Research: Advancing Communication Science, 16(1), 110-134.
  78. Taylor, S. A., & Baker, T. L.(1994). An assessmen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quality and customer satisfaction in the formation of consumers' purchase intentions. Journal of Retailing, 70(2), 163-178.
  79. Tseng, S., & Fogg, B. J.(1999). Credibility and computing technology. Communications of the ACM, 42(5), 39-44.
  80. White, A., & Smith, B. L.(2001). Assessing advertising creativity using the creative product semantic scale.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41(6), 27-34.
  81. Whyte Jr, W. H.(1954). The web of word of mouth. Fortune, 50(5), 140-143.
  82. Yang, J., Zhang, D., Liu, X., Hua, C., & Li, Z.(2022). Destination endorsers raising on short-form travel videos: Self-image construction and endorsement effect measurement. Journal of Hospitality and Tourism Management, 52, 101-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