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강근명(2017). 소셜 특성이 미디어의 브랜드 외식산업 태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대학원.
- 강소라.김유정.한수진(2016). 소셜미디어 사용에서 창의성과 콘텐츠 제작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7(8), 335-343.
- 곽동성.김성기(2004). 유명인 광고모델의 속성이 광고와 브랜드태도에 미치는 영향: 아동들의 제품유형을 중심으로. 한국방송광고공사. 광고연구, (62), 7-28.
- 국가통계포털(2020). 시도별 신생기업 생존율, 시도별 신생기업 생존율(년 2012~2021), (2023.10.10.), https://kosis.kr.
- 권수경(2013). 패션제품 블로그 리뷰를 통한 온라인 구전효과에 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구결이(2019). 뷰티 1인 미디어 크리에이터와 콘텐츠 특성이 구매의도 및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 김경인(2022). 뷰티 숏 폼 콘텐츠 특성을 고려한 사용자 태도 및 지속사용의도의 융 복합적 영향 연구.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40(5), 1-13.
- 김은영(2009). 브랜드 태도와 브랜드 이미지가 소비자-브랜드 관계 및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디지털 카메라 제품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 김정미(2010). 남녀 청소년의 학교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 완벽주의와 자기존중감의 매개효과 및 성별차이 검증. 상담학연구, 11(2), 809-829.
- 김준희.서상혁(2010). 온라인 정보 및 구전특성 요인이 고객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인터넷 서비스 포털 사이트를 중심으로. 한국벤처창업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83-97.
- 김진경(2022). 숏폼 관광콘텐츠 특성이 관광태도, 방문의도,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 김철완.최지호.문연희(2012). 브랜드 SNS 몰입이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상품학연구, 30(2), 107-116.
- 김춘곤.유희경(2008). 연예인 광고모델 속성이 외식브랜드에 미치는 광고효과분석. 호텔관광연구, 10(3), 18-36.
- 김현지.오세림.조수빈(2020). 숏폼 콘텐츠 트렌드. .한국마케팅연구원, 54(7), 60-69.
- 남종우(2013). 외식기업의 컬러마케팅이 브랜드인지도와 브랜드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패밀리 레스토랑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 낭윤서.김규정(2022). MZ 세대를 겨냥한 게이미피케이션 기반 효과적인 디지털 마케팅 방안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2(7), 202-215.
- 누립국.박만석.고준(2015). 유통업체 신뢰성이 유통업체 브랜드(PB)에 대한 태도 및 PB 상품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5(11), 467-485.
- 박수현(2011). 외식프랜차이즈 브랜드의 광고 모델속성이 광고태도와 브랜드태도 그리고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호텔리조트연구, 10(2), 227-247.
- 박정숙.변정우(2013). 기술 수용모델을 활용한 SNS의 지각된 즐거움이 고객만족과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호텔 외식사업부를 중심으로. 관광레저연구, 25(1), 419-435.
- 박지영(2014). 페이스북 이용 동기에 따른 상호작용성이 패션제품의 구전 의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동덕여자대학교.
- 방광수.조영주.박종철(2015). 기업의 문화마케팅활동이 기업이미지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호혜성 지각과 신뢰의 매개역할. 마케팅논집, 23(2), 1-22.
- 변상운(2019). 유튜브의 속성이 패션제품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 서몽운.김종무(2018). 시나 웨이보에서 정보제공유형 차이에 따른 사용자의 태도 분석: SNS 특성에 대한 이용자 태도, 구매의도 및 공유의도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63, 7-18.
- 서영수(2013). 소비자의 스마트폰 수용시점에 따른 만족도와 추천 의도 연구. 박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 손주관.김동균(2019). 중저가 관광호텔의 서비스품질이 고객신뢰 및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레저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95-113.
- 신동엽(1999). 신뢰의 경영: 신뢰기반 경영의 이론적 바탕과 실제 예들. 연세경영연구, 36(1), 65-105.
- 신서영.이범준.차성미(2011). 외식 정보 온라인 구전 특성이 구전 효과에 미치는 영향: 정보원 신뢰도의 매개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식품영양학회지, 24(2), 217-225.
- 안신희.고재윤(2017). 외식기업의 SNS 특성이 고객만족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e-비즈니스연구, 18(1), 91-106.
- 안주아(2003). 소비자에 근거한 브랜드 자산 측정의 타당성 검증. 광고학연구, 14(2), 253-278.
- 양정아.황선진(2010). 온라인 패션 커뮤니티의 정보특성이 관계품질 및 구전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 학술발표논문집, 130-130.
- 유서영(2018). 오픈마켓 입점업체의 SNS마케팅특성이 시장지향성 및 소비자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 유이산(2020). SNS광고 속성이 소비자 충동구매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 윤성임(2018). SNS특성이 SNS활용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소상공인 SNS교육 조절효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성대학교.
- 이강유.성동규(2018). 유튜브 이용자의 몰입경험과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콘텐츠학회추논문지, 18(12), 660-6
- 이기혁.강보현(2022). 디지털 마케팅 해외 연구 동향: SCOPUS DB 를 중심으로. 산업융합연구, 20(11), 11-17.
- 이소은(2008). 의류점포의 VMD와 브랜드 인지도에 따른 구조관계: 감정반응, 브랜드 이미지 및 태도, 구매의도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 이은영.이태민(2005). 온라인 환경에서의 정보특성이 구전효과에 미치는 영향: 소비자 제품지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16(2), 145-171.
- 이유정.조남혜(2014). 패션 브랜드 SNS의 특성, 관계의 질 및 구매의도의 관계: 페이스북을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22(5), 834-847.
- 이지원.강인원.정성운(2011). SNS 상의 콘텐츠 품질이 사용자의 수용태도와 구전활동에 미치는 영향. 지식경영연구, 12(5), 1-10.
- 이진(2020). 숏폼 동영상 콘텐츠의 유형 연구. 인문콘텐츠, 58, 121-139.
- 이한선(2017). 소비자 혁신성과 디지털전시에 대한 상호작용성과 몰입이 관람객의 유희성과 만족도, 공유의도에 미치는 영향: Team Lab World 사례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 장석주.윤우규.문영신(2008). 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 마케팅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벤처창업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255-301.
- 장심렬.천순덕(2014). SNS 관광정보의 특성이 확산성, 신뢰성 및 관광지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을 방문한 중국 관광객을 중심으로. Tourism Research, 39(4), 25-45.
- 전지혜(2016). 이미지 기반 SNS의 특성이 외식업체 브랜드에 대한 구전, 태도, 방문, 구매에 미치는 영향: 인스타그램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 정이령.남미우(2023). 메이크업 숏폼 콘텐츠의 특성이 MZ 세대의 메이크업 행동 및 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미용예술경영연구, 17(2), 221-247.
- 정인숙(2022). 미디어 플랫폼의 이해. 서울; 컴북스캠퍼스.
- 조영대(2013). 커피전문점 선택속성이 고객만족과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 28(5), 305-323.
- 조준희.최민석.이재학.박철(2012). SNS 마케팅 유형과 소기업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 IT 서비스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2012(1), 547-552.
- 증가녕.김인재(2018). 유튜브 뷰티 채널에서 화장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18(6), 409-425.
- 진엽(2020). 중국의 1인 미디어 PR특성이 소비자 만족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 채선영.이인재(2018). 외식기업의 지속가능경영활동이 기업신뢰 및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레저연구, 30(12), 325-346.
- 채혁기.박상언.강주영(2008). 인터넷 쇼핑몰을 위한 AISAS 모델 기반의 RSS 마케팅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전자거래학회지, 13(3), 21-49.
- 최건림(2021). 소비자 구매의도 결정 모형 관점의 숏폼 동영상 광고 효과 연구.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 최효진(2009).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상호작용성이 구성원의 커뮤니티 동일시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 한지숙(2015). 스마트폰 위치기반광고가 지속적 이용의도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위치기반광고 사용자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포럼, 49, 65-74.
- 홍주빈(1997). 서비스 품질과 고객만족이 재구매의사와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 박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 황소미(2019). 1인 미디어 브랜디드 콘텐츠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설득지식모델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 Aaker, D. A.(1996). Measuring brand equity across products and markets. California Management Review, 38(3).
- Abelson, R. P., Kinder, D. R., Peters, M. D., & Fiske, S. T.(1982). Affective and semantic components in political person percep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2(4), 619.
- Downes, E. J., & McMillan, S. J.(2000). Defining interactivity: A qualitative identification of key dimensions. New Media & Society, 2(2), 157-179.
- Engel, J. F., Blackwell, R. D., & Miniard, P. W.(1986). Consumer behavior. Dryden Press.
- Fazio, R. H., & Zanna, M. P.(1981). Direct experience and attitude-behavior consistency. In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14, 161-202). Academic Press.
- Fishbein, M., & Ajzen, I.(1977).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 Gardner, J. (2022). Two-stage differences in differences. arXiv preprint arXiv:2207.05943.
- Grace, D., & O'Cass, A.(2005). Service branding: consumer verdicts on service brands. Journal of Retailing and Consumer Services, 12(2), 125-139.
- Guilford, J. P.(1950). Creativity. American Psychology. New World Encyclopedia, 5, 444-454.
- Kaplanidou, K., & Vogt, C. (2006). A structural analysis of destination travel intentions as a function of web site features. Journal of Travel research, 45(2), 204-216.
- Keller, K. L.(2003). Strategic brand management: Building, measuring, and managing brand equity (2nd ed.).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 Kline, T. J. (2005). Psychological testing: A practical approach to design and evaluation. Sage publications.
- Low, G. S., & Lamb Jr, C. W.(2000). The measurement and dimensionality of brand associations. Journal of Product & Brand Management, 9(6), 350-370.
- Morgan, R. M., & Hunt, S. D.(1994). The commitment-trust theory of relationship marketing. Journal of Marketing, 58(3), 20-38.
- Nakamura, J., & Csikszentmihalyi, M.(2003). The motivational sources of creativity as viewed from the paradigm of positive psychology.
- Neuman, W. R.(1991). The future of the mass audien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Newcastle upon Tyne.
- Ohanian, R.(1990).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a scale to measure celebrity endorsers' perceived expertise, trustworthiness, and attractiveness. Journal of Advertising, 19(3), 39-52.
- Ohanian, R., & Tashchian, A.(1992). Consumers' shopping effort and evaluation of store image attributes: the roles of purchasing involvement and recreational shopping interest. Journal of Applied Business Research, 8(4), 40-40.
- Perse, E. M.(1998). Implications of cognitive and affective involvement for channel changing. Journal of Communication, 48(3), 49-68.
- Rafaeli, S.(1988). From new media to communication. Sage Annual Review of Communication Research: Advancing Communication Science, 16(1), 110-134.
- Taylor, S. A., & Baker, T. L.(1994). An assessmen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quality and customer satisfaction in the formation of consumers' purchase intentions. Journal of Retailing, 70(2), 163-178.
- Tseng, S., & Fogg, B. J.(1999). Credibility and computing technology. Communications of the ACM, 42(5), 39-44.
- White, A., & Smith, B. L.(2001). Assessing advertising creativity using the creative product semantic scale.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41(6), 27-34.
- Whyte Jr, W. H.(1954). The web of word of mouth. Fortune, 50(5), 140-143.
- Yang, J., Zhang, D., Liu, X., Hua, C., & Li, Z.(2022). Destination endorsers raising on short-form travel videos: Self-image construction and endorsement effect measurement. Journal of Hospitality and Tourism Management, 52, 101-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