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경균.김병근(2014). 청소년의 기업가정신 형성 과정 탐색. 창의력교육연구, 14(3), 37-58.
- 강경균.이춘우.김주영(2015). 청소년 기업가정신 함양 및 창업 활성화 방안 연구 II: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 모형 개발 및 창업 활성화 방안(15-R14-1). 세종: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강경균(2017). 청소년의 기업가정신 교육 모형 개발. 창의력교육연구, 17(2), 17-36.
- 강정찬.이상수(2011). 수업개선을 위한 현장연구방법으로서 설계기반연구. 교육방법연구, 23(2), 323-354.
- 강지혜.박태정(2022). 설계.개발연구와 설계기반연구의 연구동향 분석: 주제범위 문헌고찰. 교육공학연구, 38(3), 661-698.
- 교육부(2019). 보도자료 「한-OECD 국제교육컨퍼런스」 개막. Retrieved(2020.04.07) from https://www.moe.go.kr/boardCnts/view.do?boardID=294&boardSeq=78782&lev=0&searchType=null&statusYN=W&page=1&s=moe&m=020402&opType=N.
- 교육부(2022). 2022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교육과정. 교육부.
- 교육부.한국청년기업가정신재단(2021). 학교급별 창업가정신 함양 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Retrieved(2023.10.30) from https://www.yeep.go.kr/noti/eduExlntCaseDetail.do?bltnNo=33051.
- 김도현.정선영.이우진(2018). 청소년을 위한 기업가 정신교육이 기업가정신과 창의성 역량 및 창업의지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7), 371-391.
- 김세광(2018). 청소년 기업가정신 및 창업역량 함양 프로그램 개발: 벤처스타: Venture 'STAR'. 한국청소년활동연구, 4(1), 97-126.
- 김연경(2016). 대학수업을 위한 활동이론 기반 플립드 러닝수업모형 개발.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 김영수.성상기(2015). 기업가정신교육의 교과내용과 방법에 관하여: HAKS모형에 기반한 모듈식 교육방안. 상업교육연구, 29(5), 1-30.
- 김준태(2014). 기업가정신의 본질이해 및 교육방안 탐색. 사회과교육, 53(4), 47-67.
- 김지윤(2021). 디자인사고를 활용한 노블 엔지니어링 기반 메이커 교육 수업모형 개발. 박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 김진옥(2018). 메이커 기반 STEAM 교육을 위한 수업모형 개발. 박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 김현주(2014). 스마트 러닝 기반의 협력적 문제해결 수업모형 개발을 위한 설계기반연구. 박사학위논문, 인천대학교 대학원.
- 문진.소경희(2016). 중학교 진로교육 운영 실태 분석. 진로교육연구, 29(4), 135-155.
- 박수홍(2009). Entrepreneurial Competence 강화를 위한 Blended Learning Service 모형개발. e-비즈니스연구, 10(4), 277-297.
- 백민정.강경균.이범진(2017). 초.중등 기업가정신 교육 현황과 교육요구도 분석. 한국산학협력학회지. 18(12), 564-574.
- 양현봉(2019).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 추진실태와 발전과제: 선진국 사례 벤치마킹을 중심으로. 중소기업금융연구, 39(3), 57-77.
- 윤성혜.장지은.김세영(2017). 청소년 기업가정신 함양을 위한 메이커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교육공학연구, 33(4), 839-867.
- 윤성혜.이우진(2022). 기업가정신(entrepreneurship) 교육자는 어떠한 역량을 갖추어야 하는가?: TPACK 모델을 적용한 역량 개념화 및 교육요구도 분석. 벤처창업연구, 17(1), 79-87.
- 윤성혜.김세영(2023). 기업가정신 교육에서의 TPACK 강화를 위한 중등 교사 연수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벤처창업연구, 18(4), 51-63.
- 윤종혁.김은영.최수진.김경자.황규호(2016). OECD '교육 2030: 미래 교육과 역량'을 위한 현황분석과 향후과제 (2016-10).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 이상은.김은영.김소아.유예림.최수진.소경희(2018). OECD 교육 2030 참여 연구: 역량의 교육정책적 적용 과제 탐색(RR 2018-08). 진천: 한국교육개발원.
- 이상은(2019). OECD Education 2030에 나타난 역량교육의 주요 특징 및 시사점. 비교교육연구, 29(4), 123-153.
- 이수영(2021). 초등 예비교사의 창업가정신 교육에 대한 경험 및 태도와 창업가정신 핵심역량 분석. 벤처창업연구, 16(1), 99-111.
- 이윤준(2017). 이 시대가 필요로 하는 기업가정신: 한미일중 4개국 비교. STEPI Insight, 206,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이은주.오성은(2020). 핵심역량에 기초한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과정 개발 방향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20), 145-173.
- 이지연(2024a). 중등 진로교육을 위한 기업가정신 교수학습 모형 개발: OECD 학습 나침반 2030을 기반으로. 박사학위 논문, 동국대학교 대학원.
- 이지연(2024b). 중학생을 위한 OECD 학습 나침반 2030 기반 기업가정신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진로개발역량과 창의성역량을 중심으로.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 8(5), 289-306.
- 이지연.전병훈(2020). OECD 학습 나침반 2030에 기초한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 방향 고찰.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15), 415-433.
- 이지연.전병훈(2023). OECD 학습 나침반 2030에 기반한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 프로그램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4), 765-782.
- 이철기.안태욱.이상곤.이상숙(2020). 역량기반 기업가정신 교육모델 개발: K대학의 사례. 실천공학교육논문지, 12(1), 61-72.
- 임언(2008). 역량중심 교과통합 진로교육 위한 탐색(2008-7).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임철일(2012). 교수설계 이론과 모형. 경기: 교육과학사.
- 임효신.정철영(2015). 중학생 진로개발역량 검사도구 개발. 진로교육연구, 28(4), 107-137.
- 장근영.성은모.모상현.진성희.최효선.김균희(2018).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 및 국제비교 연구V: IEA ICCS 2016 - 총괄보고서(18-R15). 세종: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장지은.김세영.윤성혜(2019). 청소년 기업가정신 함양을 위한 메이커교육 프로그램 개발.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3(1), 55-64.
- 정대율(2021). 청소년들을 위한 기업가정신 함양 교육프로그램 개발 방안. 한국창업학회지, 16(5), 1-27.
- 정미나.임영식(2013). 청소년 진로개발역량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진로교육연구, 26(4), 65-84.
- 정미나(2014). 청소년의 진로개발과 웰빙에 관한 구조적 관계 검증.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 정선영.김도현.김래영(2019). 기업가정신 교육이 청소년의 자아개념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0), 1067-1089.
- 정철영(2011). 초등학교 진로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 실과교육연구, 17(4), 1-30.
- 정철영.정진철.이종범.정동열.임효신.이서정.임정훈(2015). 우리나라 진로교육 현황 및 발전 방향 연구. 진로교육연구, 28(3), 155-171.
- 정현진.김창완(2018). 4차산업혁명 시대 디자인씽킹 기반의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 프레임워크 연구. 한국창업학회지, 13(1), 175-200.
- 조윤주(2021). 소프트웨어 진로교육 교수.학습모형 개발 및 적용. 박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 지현경(2021). 창의적 문제해결을 위한 교과-소프트웨어융합 수업설계 모형 개발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 진미석.손유미.송창용(2012). 중학생을 위한 '창의적 진로개발 프로그램' 효과 분석: 진로성숙도를 중심으로. 진로교육연구, 25(1), 169-185.
- 진미석(2013). 초.중등 진로교육 활성화. The HRD Review, 16(1), 50-63.
- 진미석.윤수린.김효정(2019). 아시아.유럽 6개국 교육이해관계집단의 핵심역량으로서의 기업가정신에 대한 인식. 핵심역량교육연구, 4(1), 1-27.
- 진성희.성은모.최창욱(2015). 청소년 진로개발역량지수 타당화 연구. 한국청소년연구, 26(3), 195-220.
- 진성희.성은모(2017). 청소년 진로개발역량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진로교육연구, 30(1), 67-90.
- 한상근.정윤경.정지은.안중석(2021). 학교 진로교육 목표 및 성취기준 연구(2021-17). 세종: 한국직업능력연구원.
- 현순안.김세광(2018). 소셜러닝과 액션러닝을 활용한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의 교육적 함의. 청소년시설환경, 16(2), 145-157.
- Alain, F.(2013). Personal views on the future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Entrepreneurship & Regional Development, 25(7-8), 692-701.
- Bannan, R. B.(2003). The role of design in research: The integrative learning design framework. Educational Researcher, 32(1), 21-24.
- Barnett, R.(2012). Learning for an unknown future. Higher Education Research & Development, 31(1), 65-77.
- Baron, R. A., & Shane, S. A.(2005). Entrepreneurship: A Process Perspective. Thomson, Ohio: South-Western.
- Bielaczyc, K.(2013). Informing design research: Learning from teachers' designs of social infrastructure. The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s, 22(2), 258-311.
- Brown, A.(1992). Design experiments: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challenges in creating complex interventions in classroom setting. The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s, 2(2), 141-178.
- Brush, C. G., Duhaime, I. M., Gartner, W. B., Stewart, A., Katz, J. A., Hitt, M. A., Alvarez, S. A., Meyer, G. D., & Venkataraman, S.(2003). Doctoral Education in the Field of Entrepreneurship. Journal of Management, 29(3), 309-331.
- Davis, L. L.(1992). Instrument review: Getting the most from a panel of experts. Applied nursing research, 5(4), 194-197.
- DBRC(2003). Design-based research: An emerging paradigm for educational inquiry. Educational Researcher, 32(1), 5-8.
- Dimov, D.(2016). Toward a Design Science of Entrepreneurship. in J. Katz and A. C. Corbett (Eds.). Models of Start-up Thinking and Action: Theoretical. Empirical and Pedagogical Approaches, Bingley, UK:Emerald Group Publishing, 1-31.
- Dyer, J. H., Gregersen, H. B., & Christensen, C.(2008). Entrepreneur Behaviors, Opportunity Recognition, and The Origins of Innovative Ventures. Strategic Entrepreneurship Journal, 2(4), 317-338.
- Gibb, A. A.(2008). Entrepreneurship and enterprise education in schools and colleges. International Journal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6(2), 101-144.
- Joseph, D.(2004). The practice of design-based Rearch: Uncovering the interplay between design, research, and the real-world Context. Educational Psychologist, 39(4), 235-242.
- Lawshe, C. H.(1975).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Personnel Psychology, 28(4), 563-575.
- McKenny, S., & Reeves, T.(2012). Conducting educational design research. London: Routledge.
- Neck, H. M., & Greene, P. G.(2011). Entrepreneurship education: Known worlds and new frontiers. Journal of Small Business Management, 49(1), 55-70.
- OECD(2018). The future of education and skills Education 2030: Position Paper. Retrieved April 7, 2020, from http://www.oecd.org/education/2030-project/contact/.
- OECD(2019). OECD Future of Education and Skills 2030: OECD Learning Compass 2030 - A Series of Concept Notes. Retrieved April 12, 2020, from http://www.oecd.org/education/2030-project/contact/
- Richey, R. C., & Klein, J. D.(2008). Design and Development Research. 정현미.김광수 역(2012). 교육공학연구를 위한 설계.개발연구. 서울: 학지사.
- Rideout, E. C. & Gray, D. O.(2013). Does Entrepreneurship Education Really Work. Journal of Small Business Management, 51(3), 329-351.
- Rubio, D. M., Berg-Weger, M., Tebb, S. S., Lee, E. S., & Rauch, S.(2003). Objectifying content validity: Conducting a content validity study in social work research. Social work research, 27(2), 94-104.
- Sanchez, J. C.(2013). The Impact of an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 on Entrepreneurial Competencies and Intention. Journal of Small Business Management, 51(3), 447-465.
- Shavelson, R. J., Phillips, D. C., Towne, L., & Feuer, M. J.(2003). On the science of education design studies. Educational Researcher, 32(1), 25-28.
- Voigt, C., & Swatman, P.(2006). Learning through interaction: Improving practice with design-based research. Interactive Technology and Smart Education, 3(3), 207-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