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Grounded Theoretical Analysis of the Career Transition Experience of Mid-life Career-interrupted Start-up Women

중년기 경력단절 창업여성의 진로전환 경험에 대한 근거이론적 분석

  • Won Jae Rho (Department of Liberal Arts, Howon University) ;
  • Jae Hee Han (Department of Counseling, Graduate School of Baekseok University)
  • 노원재 (호원대학교 교양학과 ) ;
  • 한재희 (백석대학교 상담대학원 )
  • Received : 2024.08.24
  • Accepted : 2024.10.17
  • Published : 2024.10.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eply analyze the career transition experience and the essence of the entrepreneurial process of women who experienced a career break in middle age, to understand the career transition experience of women who experienced a career break in middle age, and to present a theoretical framework for the entrepreneurial settlement process.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17 women who got a job in middle age after a career break or started a business through a career change during their career. Based on thi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a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by applying the grounded theory research method proposed by Strauss and Corbin (2008, 2001).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220 concepts, 58 subcategories, and 23 categories were derived. Second, the paradigm of the entrepreneurship process through the career transition experience of middle-aged women with a career gap was derived by setting the exhaustion of work and career identity due to decreased autonomy in uncertain jobs, and the limitations of the immediate jobs and job roles in middle age as the causal situations, and setting the employment barriers after the career gap, re-employment attempts, and job changes in middle age as the contextual situations, setting entrepreneurial efficacy and job maintenance awareness as the mediating conditions of middle-aged entrepreneurial transition, and setting entrepreneurial challenges as actions/interactions in the process of executing career transition behaviors, and setting the process of realizing entrepreneurial vision and business vision through career development. Third, the entrepreneurial decision-making process model through the career transition experience of middle-aged female entrepreneurs with a career gap was implemented in six stages: 'career gap and job maintenance stage', 'mid-aged career limitation recognition stage', 'subjective career and independent life accompanying stage', 'career transition and entrepreneurship execution stage', 'entrepreneurial career capacity building stage', and 'entrepreneurial career growth and change stage'. Fourth, the core category through the story outline was found to be 'career development and career development efforts and entrepreneurship tasks for overcoming adversity through career transition experience'. Through each category of the core category and paradigm model, the career transition experience and entrepreneurship competency performance in the entrepreneurship process of middle-aged female entrepreneurs were classified into three entrepreneurship types: entrepreneurship career development expansion type, entrepreneurship career meaning pursuit type, and entrepreneurship career stability maintenance type. This study presented what middle-aged start-up women with career interruptions actually experience in the entrepreneurship process through career transition experienc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revealing the entrepreneurship path of middle-aged women who recognize entrepreneurial efficacy by utilizing their strengths and competencies through career transition and work life after career interruption and pursue career development through the process of entrepreneurial challenge and settlement. Based on these results, the career transition experience and entrepreneurship path of middle-aged women who start a business after career interruption were discussed, and suggestions for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and follow-up research were made.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기 경력단절 창업여성들의 진로전환경험과 창업 전환과정의 본질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중년기 경력단절 여성들의 진로전환경험을 이해하고 창업 구축과정에 대한 이론적 틀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 참여자들은 경력단절 이후 취업하여 중년기에 직장생활을 하거나 직업 활동 중 진로전환하여 창업을 한 17명의 여성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한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바탕으로 Strauss와 Corbin (2008, 2001)이 제시한 근거이론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질적분석하였다. 결과는 첫째, 220개의 개념과 58개의 하위범주, 23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둘째, 중년 경력단절 여성들의 진로전환경험을 통한 창업 구축과정에 대해 도출된 패러다임은 불확실한 직업에서 자율적의지 쇠퇴로 일과 진로정체감의 번아웃을 중심현상으로 하며, 중년기의 당면한 직장과 직업역할의 한계직면을 인과적 상황으로, 경력단절과 재취업시도 및 중년기 직장 중도사퇴이후 구직장벽을 맥락적 상황으로 하였다. 중년기의 창업전환을 위한 창업효능감인식과 직업유지를 중재조건으로 하고, 진로전환행동 실행과정에서 창업도전을 작용·상호작용으로 하여, 커리어개발을 통한 창업구축과 창업비전실현 이라는 결과가 나타났다. 셋째, 중년기 경력단절 창업여성들의 진로전환경험을 통한 창업구축 결정에 대한 과정모형은'경력단절 및 직업유지단계', '중년기 진로 한계인식단계','주관적 진로와 주체적 삶 동행단계','진로전환 창업실행단계','창업커리어 역량구축단계','창업커리어 성장변화단계'의 여섯 단계로 구현되었다. 넷째, 이야기윤곽을 통한 핵심범주는' 역경을 이겨내고 창업도전을 위한 진로전환경험과 커리어 개발노력을 통한 창업발전 '으로 나타났다. 핵심범주와 패러다임 모형의 각 범주를 통해 중년기 경력단절 창업여성의 진로전환경험과 창업과정의 창업역량 결과에 따라 창업커리어 발전확장형, 창업커리어 의미추구형, 창업커리어 안정유지형의 세 창업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이 연구는 중년기 경력단절 창업여성들이 실제 진로전환경험을 통한 창업과정에서 어떤 경험을 하는지 제시하였다. 참여자들이 경력단절과 직장생활을 거쳐 진로전환으로 강점과 역량을 활용한 창업효능감 인식을 통해 창업도전과 구축과정에서 커리어발달을 추구하는 중년여성의 창업 경로를 밝혀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중년기 경력단절 창업여성의 진로전환경험과 창업 진로과정에 대해 논의하고, 연구의 의의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나경(2015). 경력단절여성의 자아개념, 창의적 성향,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취.창업 욕구에 미치는 영향. Global Creative Leader 연구, 5(3), 53-71.
  2. 김민지.이수현(2020). 여성창업지원정책의 효과성 분석과 개선방안 연구. 벤처창업연구, 15(1), 45-68.
  3. 김보원.김소영.최용찬.장두석.김태형.양지원.차아진(2017). 4차 산업혁명 시대 청년여성의 벤처창업 활성화 방안 연구. 여성가족부 여성인력개발과. Retrieved from https://www.prism.go.kr/homepage/entire/researchDetail.do?researchId=1382000-201700086&menuNo=I0000002.
  4. 김봉환(2019). 진로상담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5. 김선우.김영환.이정우.손하늬(2017). 4차 산업혁명시대 기업가정신의 의의와 방향. STEPI Insignt, 218, 1-36.
  6. 김소연.정희숙(2015). 한 중년여성의 진로구성 과정.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5), 265-282.
  7. 김영환.오지선(2017). 여성기업가 정신증진 및 창업 활성화방안. STEPI Insignt, 20.
  8. 김윤한.이일한(2022). 여성창업 활성화를 위한 여성창업가의 특성 요인에 관한 연구: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벤처창업연구, 17(5), 49-65.
  9. 김은주.박미선(2019). 중년기 여성의 창업경험에 대한 근거이론적 연구. 창업학연구, 14(2), 45-70.
  10. 김이준.김봉환(2018). 프로티언 커리어와 구성주의 진로상담의 관련성탐구. 인문사회21, 9(3), 186-199.
  11. 김정희.변상해(2016). 직업교육과 경력단절여성의 창업의지, 재취업 욕구의 관계연구. 벤처창업연구, 11(4), 237-246.
  12. 김현아.최지영(2021). 중년 여성의 진로전환경험에 대한 근거이론적 접근: 삶의 재설계 과정. 여성학연구, 31(1), 55-80.
  13. 김희선(2019). 여성 창업가의 진로전환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석사학위논문,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14. 나중덕.김승호.최탁열(2004). 여성창업기업의 환경 및 경영자특성, 협력활동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 중소기업연구, 26(1), 175-201.
  15. 박민정(2021). 근거이론을 통한 여성의 경력전환 과정연구. 인적자원개발연구. 23(3), 89-112.
  16. 박성희.채연희(2017). 여성창업가의 사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지지, 사회적자본, 사업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경영교육연구, 32(6), 475-491.
  17. 박승민.김광수.방기연.오영희.임은미(2012). 근거이론 접근을 활용한 상담연구과정. 서울: 학지사.
  18. 박정열.손영미(2016). 경력단절여성의 진로적응성, 진로장벽 및 재취업 이득/손실의 지각이 재취업욕구에 미치는 영향. 진로교육연구, 29(1), 101-121.
  19. 박지영(2020). 디지털 전환시대의 여성창업전략. 한국전자거래연구, 25(2). 89-105.
  20. 박철우(2016). 기업가정신과 자기효능감이 지식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연구: 여성CEO 중심으로. 벤처창업연구, 11(6), 11-26.
  21. 손진희(2013). 고학력 전문직 여성들의 진로경험: 직장 경력 5-10년 여성을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14(1), 501-522.
  22. 송민경(2021a). 중년기 여성의 경력단절 이후 창업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창업학연구, 16(2), 67-90.
  23. 송민경(2021b). 여성창업 지원정책의 지역별 효과성 분석. 지방행정연구, 35(1), 77-95.
  24. 송성화(2016). 고학력 진로단절여성의 진로전환 및 진로적응 성공요인분석. 박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25. 신경림.고명숙.공병혜(2004). 질적연구방법론.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6. 송혜령(2015). 장년의 진로서술에 나타난 생애역할과 진로주제 분석. 박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27. 안후남.이제경(2017). 중년전환기 기혼직장여성의 진로구성에 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8), 363-389.
  28. 안혜성.오혜미(2024). 조직문화가 여성기업가정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력개발행동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벤처창업연구, 17(5), 49-65.
  29. 오영환.정양헌(2021). 공공기술 기반 여성기술창업에 관한 탐색적 연구: 여성연구소기업을 중심으로. 경영교육연구, 36(4), 135-166.
  30. 오영환.정양헌(2022). 정부의 지원을 바탕으로한 MZ세대 여성기술창업의 동기, 목적, 과정 등에 관한 탐색적 연구. 경영교육연구, 37(1), 1-30.
  31. 오지선.김영환(2016). 한국 기혼여성창업가의 경영방식에 대한 사례 연구. 가정과 일 병행전략을 중심으로. 중소기업연구, 38(4), 27-52.
  32. 오지은(2021). 여성 사회적 기업가를 위한 정책지원 방안 연구. 사회경제와 정책연구, 10(2), 101-120.
  33. 유승옥(2018). 대학생의 자기관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취업진로연구, 8(4), 49-72.
  34. 윤혜경(2008). 고학력 경력단절 여성의 직업진로 탐색 경험분석. 평생교육학연구, 14(1), 84-112.
  35. 은혜경.김창대(2011). 경력단절 기혼여성의 재취업을 위한 진로유연성 탐색: 재취업 성공 기혼여성의 인식을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12(2), 651-671.
  36. 이덕훈(2009). 창업학의 이해. 서울: 비엔엠북스.
  37. 이명희.김현주(2018). 고학력 경력단절 여성의 역할전환 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12(3), 141-168.
  38. 이미영.조항(2020). 기혼여성 디자이너의 진로전환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질적탐구연구, 6(3), 499-535.
  39. 이상석(2006). 여성기업의 창업동기, 성공요인, 성과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중소기업연구, 28(4), 45-64.
  40. 이상화(2015). 창업가정신, 창업역량 및 창업가 특성이 창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플로우(Flow) 경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호서대학교.
  41. 이수진(2020). 중년기여성의 진로전환경험에 대한 근거이론적 연구. 상담학연구, 21(2), 123-145.
  42. 이정민(2018). 근거이론을 통한 경력단절 중년여성의 창업설립 경험연구. 여성학연구, 25(3), 89-110.
  43. 이정민(2020). 중년기 여성의 진로전환을 위한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연구. 평생교육연구, 26(2), 89-112.
  44. 이현림.송병국.박완성.어윤경.김기홍.박성미.김순미.이지연.이동혁.박가열.변정현.김민순(2013). 새롭게 보는 진로상담. 경기: 교육과학사.
  45. 이현주.정은지(2020). 디지털시대의 여성창업 정책방향 연구. 경영학연구, 50(3), 123-140.
  46. 이희정.김금미(2010). 경력단절여성의 진로장벽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11(2), 623-640.
  47. 임은정.오상도.조인숙(2020).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자본이 여성의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여성경제연구, 17(3), 51-75.
  48. 임이숙(2020). 중소기업연구 40년간의 여성기업/여성창업관련연구와 해외연구동향, 향후 연구방향에 대한 제언. 중소기업연구, 42(3). 77-100.
  49. 임정숙.김성숙(2020). 여성의 셀프리더쉽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벤처창업연구, 15(5), 65-76.
  50. 임현선(2013). 인적자원개발 관점에서 본 한국여성의 생애단계 유형별 경력전환 결정요인 분석.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51. 장성희.정지연.반성식(2009). 환경 불확실성을 고려한 여성창업가의 특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생산성논집, 23(4), 151-175.
  52. 장계영.김봉환(2009). 진로전환검사 타당화 연구. 상담학연구, 10(1), 399-415.
  53. 전연숙.강혜영(2010). 탈북여성의 진로장벽 지각: 연령별, 학력별, 남한거주기간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15(3), 469-487.
  54. 전현영(2013). 8인8색의 진로전환 이야기. 박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55. 전혜진.박재환(2015). 창업생태계 변화가 여성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벤처창업연구, 10(2), 2015.
  56. 정인구.양동우(2020). 경력단절여성의 계획된 우연역량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양향에 관한 연구: 개인 환경요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벤처창업연구, 15(5), 129-143.
  57. 정희선(2001). 여성기업의 경영특성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 7, 197-221.
  58. 주성희.주용국(2017). 경력단절 여성의 진로인식전환 과정분석: 근거이론적 접근. 평생학습사회, 13(3), 33-56.
  59. 최문경(2015). 여성창업가의 기업가정신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60. 최윤아.김도현(2021). 여성창업정책의 성과와 한계: 창업자의 관점을 중심으로. 기업경영연구, 58(4), 50-68.
  61. 최윤정.안후남.이지은.최정순.박선주(2013). 여성 진로발달 및 상담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상담학연구, 14(2), 1285-1308.
  62. 최은영.곽현주(2015). 기혼여성의 경제활동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가정과 노동시장 성불평등 구조를 중심으로. 여성연구, 88(1), 429-456.
  63. 최진숙.이남희.황금주(2019). 경력단절여성의 창업행위에 대한 태도와 주관적 규범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벤처창업연구, 14(4), 113-132.
  64. 최희주(2020). 타 직종 출신 상담자의 진로전환 및 직업 적응과정 연구. 박사학위논문, 인제대학교.
  65. 추승엽.공혜원(2023). 여성의 일반 기업 및 사회적 기업 창업의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기업가정신 및 사회적 가치지향성을 중심으로. 인문사회 21, 14(2), 13-26.
  66. 한국여성경제인협회.중소기업청(2001). 여성기업 실태조사 및 차별적 관행조사보고. 41-42.
  67. 홍정임.김선우(2021). 여성 창업가의 성공과 혁신활동에 대한 사례 연구: 스타트업을 중심으로. 벤처창업연구, 16(1), 55-69.
  68. 황미애(2007). 여성창업가의 특성이 경영성과와 사회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박사학위논문, 숭실대학교.
  69. 황윤주(2015). 중년기 기혼여성 재취업과정에서의 학습경험 유형연구.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70. Bandura, A.(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1-215.
  71. Bartol, K. M., & Martin, D. C.(1998). Applicant referent information at hiring interview and subsequent turnover among part-time worker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53(3), 334-352.
  72. Betz, N. E.(2006). Basic issues and concepts in the career development and counseling of women. In Bruce, Walsh & M. J. Heppner(Eds.). Handbook of Career counseling for women. NJ: Lawrence Erlbaum.
  73. Bian, X., & Wang, J.(2020). Women's career interruptions: An integrative review. European Journal of Training and Development, 44(9), 801-820.
  74. Boyd, N. G., & Vozikis, G. S.(1994). The influence of self-efficacy on the development of entrepreneurial intentions and actions.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18(4), 63-63.
  75. Dawis, R. V., & Lofquist, L. H.(1984). A psychological theory of work adjustment. Minneapolis, MN: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76. Emslie, C., & Hunt, K.(2009). 'Live to work' or 'Work to live'? a qualitative study of gender and work-life balance among men and women in mid-life.. Work and Organization, 16(1), 151-172.
  77. Greer, T. W., & Kirk, A. F.(2022). Overcoming barriers to women's career transitions: A systematic review of social support types and providers. Frontiers in Psychology, 13, 777110.
  78. Krueger Jr, N. F., & Dickson, P. R.(1994). How Believing in Ourselves Increases Risk Taking: Perceived Self- Efficacy and Opportunity Recognition. Decision Sciences, 25(3), 385-400.
  79. Lincoln, Y. S., & Guba, E. G.(1985). Effective evaluation. San Francisco: Jossey-Bass Publication.
  80. Morse, J. M.(2001). Situating grounded theory within qualitative inquiry, In Schreiber, R. S. & Stern, P. N.(Eds.), Using grounded theory in nursing. USA: Publishing Company.
  81. OECD(2004). Woman's entrepreneurship: Issue and Policies. Retrieved from https://www.oecd-ilibrary.org/docserver/5k43bvtkmb8v-en.pdf?expires=1729866345&id=id&accname=guest&checksum=E6761CDEDB806719293600E8160BDB41.
  82. Peterson, N., & Gonsalez, R. C.(2000). Career counseling for Adults: Career Transition. In the Role of Work in People's Lives. US: Brooks & Cole.
  83. Savickas, M. L.(2000). Renovating the psychology of careers for the twenty-first century. In A. Collin & R. A. Young (Eds.), The future of career, 53-68. Cambridge, Engla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84. Savickas, M. L.(2005). The theory and practice of career construction. In S. D. Brown & R. W. Lent (Eds), Career development and counseling: Putting theory and research to work 42-70. New York, NY: John Wiley.
  85. Schlossberg, N. K.(2011). The challenge of change: The transition model and its applications. Journal of Employment Counseling, 48(4), 159.
  86. Strauss, A., & Corbin, J.(1998).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US: Sage Publications.
  87. Super, D. E.(1957). The psychology of careers. New York: Harper & 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