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Havruta-based math learning on elementary students'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and mathematical attitude

하브루타 기반 수학 수업이 초등학생의 수학 학업성취도와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24.09.11
  • Accepted : 2024.10.11
  • Published : 2024.10.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students' attitude and achievement in mathematics by employing Havruta-based Learning to third grade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class to which the Havruta-based Learning was applied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of third grade students. In particular, when analyzing the responses of the students, the students themselves were also aware that their understanding of the 'Fraction and Decimal' unit had improved.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class to which the Havruta-based Learning was applied had a significant improvement effect on value among the factors of students' mathematical attitude. Analyzing the students' responses, it was able to know a positive change of value. But when learning Havruta-oriented question, conducting students' level of understanding, It seems necessary to develop more performance tasks that can provide enough time to come up with questions or show many examples and allow students to lower their psychological barriers.

본 연구는 초등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브루타 기반 수학 수업이 학생들의 수학 학업성취도와 수학적 태도 측면에서 어떤 영향이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하브루타를 활용한 수학수업이 3학년 학생들의 수학 학업성취도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집단 학생들의 반응을 분석한 결과, 학생들도 '분수와 소수' 단원의 개념에 대한 이해도가 향상되었다는 점을 인식하고 하브루타의 효과에 대해 느끼고 있었다. 둘째, 하브루타를 활용한 수학 수업이 학생들의 수학적 태도의 하위요인 중 가치 하위요인에는 유의미한 향상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학생들의 반응을 분석해 보니 흥미 하위요인에서도 학생들의 긍정적인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학생들의 이해 수준을 고려하여 질문 중심 하브루타를 진행할 때는 질문을 생각해 낼 시간을 충분히 제공하거나 많은 예시를 보여주며 학생들이 심리적 장벽을 낮출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수행 과제를 더 개발할 필요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완, 백석윤(1998). 초등수학교육론. 동명사.
  2. 교육부(2015).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8].
  3. 교육부(2022).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22-33호. [별책 8].
  4. 권점례, 권미선(2023). 초등학생의 정의적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학교에서의 수학 교육 및 사회적 환경을 중심으로. 초등수학교육, 26(3), 199-217.
  5. 김가영(2024). 하브루타를 활용한 수학 수업이 초등학생의 수학 학업성취도와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선숙(2018). 하브루타 수업이 수학 학습에 미치는 영향-학습태도와 학업성취를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성준, 김은경, 권미선(2024). 2022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내용 체계의 세 범주와 초등학교 1~2학년 수학 교과서 차시명의 연계성 분석. 수학교육 논문집, 38(2), 167-186.
  8. 김성여, 강언진, 강요한, 고창수, 김보현, 김영준, 노시현, 박용준, 박희정, 안효은, 이대현, 정선혜, 정유화, 정지호, 황윤정(2023). 초등학교 수학 3-1. 아이스크림.
  9. 김은지(2018). 하브루타를 적용한 입체도형 지도에서 초등학생들의 학습 효과 분석.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박상민, 류성림(2022). 백워드 설계 모형을 적용한 '시각과 시간' 단원 수업이 초등학생의 수학 학업성취도와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교육연구논총, 38(3), 195-220.
  11. 박소윤(2017). 하브루타 국어수업이 초등학생의 질문 생성 능력과 읽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윤정훈(2016). 하브루타를 바탕으로 한 수학과 토론수업의 효과.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이광상, 임해미, 박인용, 서민희, 김부미(2016).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수학과 정의적 영역 설문 문항 개발. 교육과정평가연구, 19(4), 45-70.
  14. 이석영(2017). 초등학교 하브루타 수업이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영향 분석.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이임복(2023). 챗GPT 질문하는 인간, 답하는 AI. 천그루숲.
  16. 임수현(2017). 하브루타를 적용한 초등학교 수학 '수와 연산' 학습 효과 연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장봉석(2018). 국내 하브루타 학습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교육과정연구, 36(2), 1-24.
  18. 장영숙(2015). 하브루타 소집단 주제 토론 과학수업이 과학탐구능력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전성수(2012). 부모라면 유대인처럼 하브루타로 교육하라. 예담.
  20. 전성수(2014). 최고의 공부법 유대인 하브루타의 비밀. 경향BP.
  21. 전혜경(2016). 하브루타 수학 수업이 수학적 태도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분석.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채민희(2024). 질문중심 하브루타를 적용한 초등수학수업 사례 연구.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한옥영(2023). GPT 시대의 소프트웨어 교육 패러다임 변화.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7(2), 43-46.
  24. Hozler, E. (2009). Either a Havruta partner of death: A critical view on the interpersonal dimentions of Havruta learning. Journal of Jewish Education, 75(2), 130-149.
  25. Kent, O. (2010). A theory of Havruta learning. Journal of Jewish Education, 76(3), 215-245.
  26. Kent, O. & Allison, C. (2012). Three partners in study: two people and a text. A Journal of Jewish Ideas, 42(2), 90-115.
  27. Kent, O. & Cook, A. (2012). 'Havruta' inspired pedagogy: Fostering an ecology of learning for closely studying texts with others. Journal of Jewish Education, 78(3), 227-2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