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남화, 이은경(2013). 논변, 논의, 그리고 논증: 개념의 명료화를 위한 문헌조사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6), 1119-1138. https://doi.org/10.14697/JKASE.2013.33.6.1119
- 권용주, 이준기, 이일선, 김용진(2008). 중등예비교사들의 생명현상에 대한 과학적 의문 분석을 통한 의문생성력지수 산출식의 개발. 중등교육연구, 56(2), 553-576. https://doi.org/10.25152/SER.2008.56.2.553
- 권지숙, 김희백(2016). 실험 설계에서 나타난 소집단 논변활동 탐색: 활동에 대한 인식적 목표와 인식적 이해를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 36(1), 45-61.
- 김봉준, 김희백(2019). 소집단 과학 논변 활동에서 초임교사의 반응적 교수 실행의 특징과 한계 탐색 -프레이밍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9(6), 739-753. https://doi.org/10.14697/JKASE.2019.39.6.739
- 김성완, 박종화, 이명근(2010). 정교화 교수설계에 의한 과학적 논증 활동의 교수학습 효과. 교육공학연구, 26(2), 217-240.
- 김지숙, 최선영(2024). 초등학교에서 식물 기르기 활동을 통한 논변 생성 프로그램의 적용에 대한 효과. 생물교육, 52(2), 238-247.
- 박철진, 차희영(2017). 초등 과학 영재 학생들의 자연선택 개념 이해를 위한 논변 활동에서 나타난 인식적 이해와 논변활동 수준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7(4), 565-575. https://doi.org/10.14697/JKASE.2017.37.4.565
- 양일호, 이효정, 이효녕, 조현준(2009). 과학적 논증과정평가를 위한 루브릭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2), 203-220. https://doi.org/10.14697/JKASE.2009.29.2.203
- 윤선미(2016). 생산적 과학 논변활동에서 나타난 소집단규범의 형성 과정 이해.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 이동복, 강현석(2003). 과학적 설명과 과학교육 적용방안의 예비적 탐색.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51(1), 259-293.
- 이선경, 신명경(2017). 학교과학교육담론 개정판. (주) 도서출판 북스힐.
- 이신영, 김희백(2017). 배설에 대한 협력적 모델링 과정에서 나타난 중학교 학생들의 대화적 논변활동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7(6), 1037-1049. https://doi.org/10.14697/JKASE.2017.37.6.1037
- 이은주(2014). 변칙사례가 나타난 탐구활동에서 과학영재 학생들의 소집단 논변활동 이해 - 리더의 인식론적 신념에 따른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이은주, 윤선미, 김희백(2015). 변칙 사례에 대한 과학 영재 학생들의 반응에서 드러난 인식론적 프레이밍과 소집단 논변활동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5(3), 419-429. https://doi.org/10.14697/JKASE.2015.35.3.0419
- 이혜정, 박국태, 권용주(2005). 초등예비교사들의 관찰활동에서 나타난 인과적 의문의 사고 유형과 생성 과정, 초등과학교육, 24(3), 249-258.
- 임은희(2013). 소집단 과학 탐구활동에서 나타나는 학생의 역할 구성과 논변의 공동 구성.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임청환, 채동현(2016). SSI(Socio-Scientific Issues)에 관한 토론 수업에서 나타난 초등학생들의 논변 활동 과정 및 수업 참여도 분석, 과학.수학 교육연구, 39: 141-162.
- 임현주, 신영준(2012). 초등 단위 학교 영재 수업에서 나타나는 과학적 논증 과정에 대한 탐색. 초등과학교육, 31(4), 513-531.
- 임희준(2015). 초등학생의 증거에 기반한 과학적 설명의 수정 과정 고찰. 초등과학교육학회, 34(3), 346-356.
- 조한빛, 하희수, 김희백(2019). 소집단 논변 활동에서 협력적 성찰의 역할 탐색 -학생들의 인식적 고려와 실행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9(1), 1-12. https://doi.org/10.14697/JKASE.2019.39.1.1
- 채동현, 한제준(2013). 과학적 논증에 대한 교사의 인식 분석. 초등교육연구, 24(2), 223-235.
- 하희수(2020). Exploring student agency during the shift to collaborative contributors in small-group argumentation activity in middle school science classrooms. 국내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서울
- 하희수, 김희백(2017). 소집단 논변 활동에서 반응적 교수법이 학생들의 인식론적 프레이밍에 미치는 영향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7(1), 63-75. https://doi.org/10.14697/JKASE.2017.37.1.0063
- 한문현(2020). 불확실함에서 벗어나기까지: "왜 강낭콩이 싹트지 않았을까?" 논변 활동에서 초등학생들의 정서-인지적 반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0(1), 1-12. https://doi.org/10.14697/JKASE.2020.40.1.1
- 허 명(1993). 초.중.고 학생의 과학 및 과학교과에 대한 태도 조사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3(3), 334-340.
- 홍준희(2018). 인지적 자원 기반 반응적 교수법이 고등학생의 인식론적 프레이밍과 논변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충청북도.
- 황신영(2011). 과학글쓰기 프로그램이 중학생들의 과학창의성과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몬.
- Berland, L. K., & Reiser, B. J. (2009). Making sense of argumentation and explanation. Science Education, 93(1), 26-55. https://doi.org/10.1002/sce.20286
- Chin, C., & Osborne, J. (2010). Students' questions and discursive interaction: Their impact on argumentation during collaborative group discussions in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7(7), 883-908. https://doi.org/10.1002/tea.20385
- Collins, A. (1997).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Looking forward and backward.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97(4), 299-313. https://doi.org/10.1086/461867
- Copi, I. M., Cohen, C., McMahon, K. (2011). INTRODUCTION TO LOGIC. Person Education, Inc.
- Driver, R., Asoko, H., Leach, J., Mortimer, E., & Scott, P. (1994). Constructing scientific knowledge in the classroom. Educational researcher, 23(7), 5-12. https://doi.org/10.3102/0013189X023001005
- Fraser, B. J. (1981). Test of Science-Related Attitude: Handbook. Hawthorn, The Australian Council for Education Research.
- Kim, J., & Choi, S. (2023). Effects of a Teaching Strategies to Strengthen Scientific Explanations on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Interest in Science, and Question Generation in Science Class. East-Asi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EASE). 2(3), 35-49.
- Lemke, J. L. (1990). Talking Science: Language, Learning, and Values. Ablex Publishing Corporation; Part of the Language and Educational Processes Series.
- McLure, F. (2023). The thinking frames approach: improving high school students' written explanations of phenomena in science.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53:173-191.
- Monk, M., & Osborne, J. (2000). Good practice in science teaching: What research has to say. In Monk, M. and Dillon, J.(eds) McGraw Hill Open University Press.
- Osborne, J., Erduran, S., & Simon, S. (2004). Enhancing the quality of argumentation in school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1(10), 994-1020. https://doi.org/10.1002/tea.20035
- Sampson, V., & Clark, D. B. (2009). The impact of collaboration on the outcomes of scientific argumentation. Science Education, 93(3), 448-484. https://doi.org/10.1002/sce.20306
- Sampson, V., & Grooms, J. (2010). Generate an argument: an instructional Model. The Science Teacher, 77(5), 32-37.
- Sandoval, W. A. (2003). Conceptual and epistemic aspects of students' scientific explanations.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s, 12(1), 5-51. https://doi.org/10.1207/S15327809JLS1201_2
- Sandoval. W. A., & Reiser, B. J. (2004). Explanation-driven inquiry: Integrating conceptual and epistemic scaffolds for scientific inquiry. Science Education, 88(3), 345-372. https://doi.org/10.1002/sce.10130
- Zohar, A., & Nemet, F. (2002). Fostering students' knowledge and argumentation skills through dilemmas in human genetic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9(1), 35-62. https://doi.org/10.1002/tea.10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