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강릉 오죽헌 조경공간 내 식재 수종 변화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s Characteristics of Planting Tree Species in Landscape space of Ojukheon, Gangneung-si

  • 심재혁 (국립강릉원주대학교 환경조경학과) ;
  • 이현빈 (국립강릉원주대학교 환경조경학과) ;
  • 염정헌 (국립강릉원주대학교 환경조경학과)
  • Sim, Jae-Hyuck (Dept.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
  • Lee, Hyeon-Bin (Dept.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
  • Yeum, Jung-Hun (Dept.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24.02.27
  • 심사 : 2024.05.17
  • 발행 : 2024.06.30

초록

본 연구는 강릉 오죽헌을 대상으로 하여 1976년부터 약 50년간의 식재 수종 변화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현행화함으로써 외부 조경공간의 체계적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하였다. 과거 식재 수종에 대한 정보는 1976년 오죽헌 정화지 조경배식도와 2000년도 강릉 오죽헌 수목현황도를 기반으로 확인하였고, 현장 조사 결과와 중첩하여 분석하였다. 1976년부터 2023년까지 팽나무, 참죽나무, 배롱나무 등 총 18종의 교관목이 추가 보식 되거나, 국명 정리를 통해 현행화되었고, 가이즈까향나무, 서부해당, 해당화 등 3종은 확인되지 않았다. 또한, 전통 조경 공간으로서 어제각, 본채, 오죽헌·문성사 등 주요 공간별 시계열적 식재 수종의 변화를 확인하였고, 시기별 종명(정명, 이명) 불일치, 보식 및 제거 정보 부재, 외래종 식재 등에 대한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향후, 국가 문화재 내 외부 조경공간에 대한 기본적인 식재 정보를 포함하여 수목 관리 대장 기반의 체계적인 이력 관리가 시급한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systematic management of external landscaping spaces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changes in planting trees for about 50 years from 1976 to Ojukheon in Gangneung. Information on past planting species was confirmed based on the landscape plan of the Ojukheon Cleanup Site in 1976 and the current status plan of the Ojukheon Tree in 2000, and analyzed in overlap with the results of field surveys. From 1976 to 2023, a total of 18 additional species of trees such as Celtis sinensis, Toona sinensis and Lagerstroemia indica were planted or the tree species name was unified, and three species were not identifie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change in the planting species by Aojegag, Main house, Ojukheon, and Munseongsa in terms of traditional landscape space. And the problems were derived regarding species name (correct name and synonym), lack of information on planting and removal, and foreign species planting by period. In the future, it is judged that systematic history management based on the tree management register, including basic planting information on external landscaping spaces in national cultural properties, is urgent.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원특별자치도(1976). 오죽헌 정화지. 
  2. 문화재청(2000). 강릉 오죽헌 정밀 실측. 
  3. 이원호(2011). 장성 필암서원(筆巖書院)의 식재현황과 정비방안.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9(1): 131-141.  https://doi.org/10.14700/KITLA.2011.29.1.131
  4. 김준연(2013). 시대에 따른 소쇄원 수목의 변화에 대한 고찰. 인간식물환경학회지. 15(6): 511-515. 
  5. 공재희, 윤숙영, 최병진(2017). 소쇄원의 수목식재 현황 및 시대적 변천에 따른 변화. 인간식물환경학회지. 20(1): 73-79. 
  6. 김묘정(2008). 한국 전통 화목의 배치 원칙과 배치형식에 관한 연구. 농업사연구. 7(2): 249-264. 
  7. 김승민(2014). 조선시대 화훼식물의 이용과 상징성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2(2): 134-147.  https://doi.org/10.14700/KITLA.2014.32.2.134
  8. 송정화, 진혜영, 신지훈(2012). 한국 전통정원의 식재 배치 유형에 관한 연구. 인간식물환경학회지. 15(4): 287-299. 
  9. 진민령, 정명석, 심지연, 이혜숙, 이경미, 진혜영(2020). 전라도 지역 문화재 지정 민가정원의 현황 및 조영특성.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8(4): 25-38.  https://doi.org/10.14700/KITLA.2020.38.4.025
  10. 진혜영, 박소현, 신현실(2021). 향토문화유산 중 충청지역 민가정원의 역사 정원으로서의 가치와 보존 방향.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9(4): 77-84.  https://doi.org/10.14700/KITLA.2021.39.4.077
  11. 박은영(2011). 전통주택 마당에 나타나는 정원양식의 현대적 분화.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9(2): 28-38.  https://doi.org/10.14700/KITLA.2011.29.2.028
  12. 유윤진, 조동길(2015). 한국의 정원문화 활성화를 위한 전통주택정원과 현대주택정원 비교 분석. 한국공간디자인학회지. 35(5): 113-124. 
  13. 백지성(1994). 창덕궁 후원 어수당구역의 공간구성과 식재에 대하여 - 동궐도를 중심으로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12(11): 15-29. 
  14. 이원호, 김동현, 김재웅, 안혜인, 김대열, 조운연(2014). 전통공간 재현을 위한 광한루원의 수목정비방안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2(3): 82-95.  https://doi.org/10.14700/KITLA.2014.32.3.082
  15. 최승해, 유주한(2015). 경주 동궁과 월지의 현존 식물상과 조경식재종의 분석. 한국조경학회지. 43(3): 1-12.  https://doi.org/10.9715/KILA.2015.43.3.001
  16. 이상균(2015). 강릉(江陵) 오죽헌(烏竹軒)의 조선시대 사회사(社會史)적 의미. 문화재. 48(2): 64-81.  https://doi.org/10.22755/KJCHS.2015.48.2.64
  17. http://www.nature.go.kr 
  18. 김동영(2011). 한국 중국 주거건축 공간구성 비교. 주거환경. 9(1): 13-24. 
  19. 이선(2006). 韓國 傳統 造景 植栽. 수류산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