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조선시대 궁능 석축의 가치속성 및 수리실태 연구

A Study on Value Properties and Repair Status of Stone Structures in Royal Palace and Tomb Heritages of the Joseon Dynasty

  • Jo, Heok-Jun (Daeheung Environment Engineering) ;
  • Kim, Min-Seon (Landscape Architecture and Culture) ;
  • Kim, Choong-Sik (Dept. of Heritage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Graduate School of Korea Heritag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Heritage)
  • 투고 : 2024.05.15
  • 심사 : 2024.06.21
  • 발행 : 2024.06.30

초록

본 연구는 문화유산 수리규범을 중심으로 조경유산인 석축의 수리 실태를 평가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으로 문화재청에서 간행한 총 296건의 수리보고서를 검토하여 8건의 석축 수리 사례를 선정하였다. 국내외의 문화유산에 적용되는 수리 규범에서 제시된 형태와 디자인, 재료와 재질, 전통과 기술의 3가지 가치속성으로 석축의 수리 실태를 평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형태와 디자인적 측면에서 가시적인 형태의 면석보다 비가시적 구조인 기초와 뒷채움석 위주의 변형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변형의 원인은 석축유산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나 판단 근거를 확인하기 어려웠다. 둘째, 재료와 재질적 측면에서는 검증과 고증이 미흡한 경우가 많았다. 석재는 산지에 따라 강도와 색상 등에 차이가 커서 석축의 가치속성에 미치는 영향이 큰데도 불구하고 교체되는 재료에 대한 원산지 검증 과정이 생략되었다. 셋째, 전통과 기술의 가치속성을 유지하기 위해 중요한 요소인 연장, 도구, 기술에 대한 사항들이 기록되지 않고 있었다. 문화재수리표준시방서에 규정된 기술과 도구를 사용하는데 보편화되면서 수리 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기록이 누락되는 경향이 높았다. 석축의 수리에서 문화유산 수리규범의 준용율은 높지 않았다. 석축유산의 수리 품질 개선을 위해서는 비가시적 구조에 대한 가치속성의 유지를 위해 규범 준수 기준을 강화하고 재료와 재질에 대한 원산지 고증과 검증을 강화하며, 수리기술의 투입과 절차를 상세히 기록하는 방안의 마련이 요구된다.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repair status of stone structures, which are landscape heritage, focusing on cultural heritage repair norms. The study reviewed 296 repair reports published by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nd selected 8 cases of stone structure repairs. The repair status of these stone structures was evaluated based on three value attributes in the repair norms applied to cultural heritage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form and design, materials and quality, and tradition and technolog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form and design, changes were mainly focused on the foundation and backfill stones, which are non-visible structures, rather than the visible face stones. Second, in terms of materials and quality, there were numerous cases of inadequate verification and historical investigation. Despit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trength and color of stones depending on their origin, which greatly impact the value attributes of the stone structures, the process of verifying the origin of replacement materials was omitted. Third, crucial elements such as tools, instruments, and techniques, which are vital for maintaining the value attributes of tradition and technology, were not recorded. Adherence to cultural heritage repair norms in the repair of stone structures was low. To enhance the repair quality of stone heritage, it is essential to strengthen compliance standards for maintaining the value attributes of non-visible structures, improve the historical investigation and verification of material origins, and establish detailed recording methods for the repair techniques and procedures used.

키워드

참고문헌

  1. 문화재청(2022). 문화유산 가치보존을 위한 한국원칙. 
  2. 최종덕(2009). ICOMOS 건축문화재 보존원칙을 통해 살펴본 경복궁 흥례문 재건축과 근정전 수리의 문제점에 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5(3). 
  3. 이현성(2012). 보존원칙에 비추어 본 목조문화재 수리의 문제점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정강인(2010). 전통조경공간 석축기법 해석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강영식(2015). 중요무형문화재 제120호 석장(석구조물분야) 이의상의 전통기법 연구. 한국건축역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6. 문화재청(2019). 궁능 전통조경 용어 조사 및 해설 연구: 47. 
  7. UNESCO(1964). 베니스헌장. 
  8. UNESCO(1994). 나라문서. 
  9. 유네스코세계유산센터.문화재청(2022). 세계유산협약 이행을 위한 운영지침. 
  10. 문화재청(1999). 경복궁 동궁지역 중건공사보고서: 45. 
  11. 문화재청(2002). 창덕궁 반도지 보수.정비공사 준공보고서: 7-11. 33. 
  12. 문화재청(2007). 창경궁 통명전 연지 실측조사 및 수리보고서: 138. 
  13. 조선고적도보. 
  14. https://sillok.history.go.kr/main/main.do. 
  15. ICOMOS(2003). 건축 유산의 분석, 보존,구조복원 원칙. 
  16. 문화재청(2022). 문화재수리표준시방서. 
  17. 문화재청(2016). 창덕궁 애련정 해체 보수공사 수리보고서: 13. 209. 
  18. 문화재청(2017). 창경궁 명정전 월대 보수공사 보고서: 31. 
  19. 문화재청(2018). 창덕궁 의두합 권역 보수공사 보고서: 55. 192. 209. 278. 279. 
  20. 문화재청(2022). 경복궁 향원정 보수공사 해체실측 및 수리보고서: 472. 
  21. 문화재청(2022). 남양주 홍릉과 유릉 내 연지 및 유릉 침전 월대 보수 공사 보고서: 17-20. 80. 34. 
  22. 문화재청(2011). 문화재수리 업무편람. 11. 
  23.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s://www.law.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