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ild Care Time, and Perceptions of and Satisfaction with Time Use, of Fathers and Mothers in Dual-Income Families with Preschool Children

영유아 자녀를 둔 맞벌이가정 아버지와 어머니의 자녀돌봄시간과 시간사용 인식 및 만족도

  • Kim, Yookyung (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oongeui Women's University)
  • 김유경 (숭의여자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24.03.13
  • Accepted : 2024.04.25
  • Published : 2024.05.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child care time, as well as the perceptions of and satisfaction with the time use, of fathers and mothers in dual-income families with preschool children. 444 time use data were gathered from the Statistics Korea Life Time Surveys in 2019.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otal child care time of the two parents per family on a working day was 72.1 min on average, and more time was spent on primary care than on developmental care. Second, the father's child care time on a working day was 40.8 min on average, and the mother's time, almost three times more-110.3 min, which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By type of care, the mother's care time was about three times more than that of father for primary care, and about two times more for developmental care. Third, the mother's primary care time differed by household income level, and the primary care time of both fathers and mothers differ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ir working hours weekly. Fourth, both fathers and mothers felt somewhat tired and had a time deficit, but mothers were less satisfied than fathers with the division of household tasks between them. To encourage fathers' voluntary participation in child care, they must be informed of their joint responsibility with their spouse as parents must be emphasized under the term "co-parenting." It is necessary to expand systems that support parental care and promote a family-friendly culture in workplaces to guarantee the rights of parents.

본 연구는 영유아 자녀를 둔 맞벌이 가정 아버지와 어머니의 자녀돌봄 실태를 돌봄유형별 자녀돌봄에 사용한 시간과 시간사용 관련 인식을 중심으로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2019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자료 중 영유아 자녀를 둔 아버지와 어머니의 근무일의 시간일지 444부를 분석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 자녀를 둔 맞벌이 가정 부모의 근무일의 전체 자녀돌봄 시간은 평균 72.1분이며, 발달돌봄보다 필수돌봄에 좀 더 많은 시간을 사용하고 있었다. 둘째, 맞벌이 가정 아버지의 근무일의 자녀돌봄시간은 40.8분, 어머니의 자녀돌봄시간은 110.3분으로 크게 차이 났다. 돌봄유형별로도 어머니의 돌봄시간이 아버지의 돌봄시간보다 필수돌봄, 발달돌봄 각각 3배, 2배 정도로 더 많았다. 셋째, 가구소득 집단별로 어머니의 근무일 필수돌봄 시간에 차이가 있었으며, 아버지와 어머니 모두 주당 근로시간이 많은 집단과 적은 집단 간에 필수돌봄 시간에 차이가 있었다. 넷째, 영유아 자녀를 둔 맞벌이 가정 아버지와 어머니는 피로감과 시간부족감을 다소 느끼고 있으며, 가사분담 만족도는 어머니의 만족도가 아버지에 비해 낮았다. 아버지들의 자발적 참여를 이끌어낼 수 있도록 부모로서의 공동 책임을 강조하는 '공동육아'개념을 반영한 부모교육이 필요하며, 맞벌이 가정 아버지와 어머니의 부모로서의 권리를 보장한다는 측면에서 부모의 돌봄을 지원하는 제도의 확대와 가족친화적 직장문화의 확산이 요구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선강(2020). 중년세대의 가사노동시간 변화.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020 온라인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71-77.
  2. 고은주.김진욱(2016). 자녀연령과 계층적 요인이 영유아 자녀 직접돌봄시간 유형에 미치는 영향: 퍼지셋 이념형 분석의 활용. 보건사회연구, 26(4), 35-62. DOI : 10.15709/hswr.2016.36.4.35.
  3. 권순범.진미정(2016). 취업 여부에 따른 어머니의 미취학 자녀 돌봄시간 사용 양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4(3), 27-43. DOI : 10.7466/JKHMA.2016.34.3.27.
  4. 기은광.이기영(2003), 맞벌이부부의 가사노동공평성 인지와 그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1(5), 61-75.
  5. 김광웅.이인수(1998).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와 유아의 사회 정서적 능력. 아동학회지, 19(2), 65-72.
  6. 김나영(2017). 맞벌이 부부의 자녀돌봄시간 결정에 영향을 주는 요인. 노동정책연구, 17(4), 31-54. DOI : 10.16975/kjfsw.67.3.1.
  7. 김세리.이강이(2018). 영유아 어머니의 자녀돌봄시간 사용유형화와 유형별 시간사용만족도 및 시간부족감.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4(3), 1-19. DOI : 10.14698/jkcce.2018.14.03.001.
  8. 김소영(2017). 남편의 가사노동과 자녀돌봄 분담 유형별 관련요인 및 부부의 가사분담만족도: 맞벌이 부부와 비맞벌이 부부 비교.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2(3), 47-72. DOI : 10.21321/jfr.22.3.47.
  9. 김소영.진미정(2015). 미취학자녀를 둔 기혼 취업 남성의 주말 시간사용 유형화와 유형별 시간사용만족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3(2), 71-88. DOI : 10.7466/JKHMA.2015.33.2.71.
  10. 김소영.진미정(2016). 부모의 미취학자녀 돌봄시간 관련 요인 변화와 가족정책에의 함의. 가정과삶의질연구, 34(5), 1-19. DOI : 10.7466/JKHMA.2016.34.5.1.
  11. 김외숙.송혜림.조희금.김주희(2016). 미취학자녀를 둔 맞벌이 집단의 근무일과 비근무일 생활시간배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0(3), 25-43.
  12. 김유경(2022). 미취학자녀를 둔 아버지의 근무일과 비근무일의 자녀돌봄시간과 영향 요인 -맞벌이 여부 및 돌봄유형별 차이를 중심으로-.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26(2), 71-84. DOI : 10.22626/jkfrma.2022.26.2.005.
  13. 노혜진(2014). 행위주체별 자녀 돌봄시간의 배열과 계층간 차이. 사회복지정책, 41(3), 213-238. https://doi.org/10.15855/SWP.2014.41.3.213
  14. 박은정.이성림(2013). 미취학자녀를 둔 맞벌이부부의 자녀양육시간 유형에 따른 시간부족감 및 시간사용만족도의 차이.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1(4), 97-111.
  15. 박은정.조미라.윤지연.류연규.윤자영(2022). 평등한 돌봄권 보장을 위한 자녀돌봄 시간정책 개선방안 연구(I) : 고용형태별 돌봄 격차 해소를 중심으로. 육아정책연구소.
  16. 박희숙(2016). 영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 양육참여와 영유아기 발달 간 관련성에 대한 메타분석.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0(3), 251-272.
  17. 서석원.이대균(2014).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아동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의 매개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19(2), 157-178.
  18. 서지원(2020). 청년세대의 가사노동시간 변화.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020 온라인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55-69.
  19. 서지원.이정은(2022). 미취학자녀를 둔 맞벌이부모의 평일여가에서 나타난 변화(2004-2019).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26(4), 39-52. DOI : 10.22626/jkfrma.2022.26.4.004.
  20. 손문금(2005). 맞벌이 부부의 무급노동분담에 대한 실증적 연구: '생활시간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페미니즘 연구, 5, 239-287.
  21. 송유진(2011). 한국인의 일상생활 시간변화: 부모의 교육수준에 따른 자녀양육 시간. 한국인구학, 34(2), 45-65.
  22. 유계숙.강수향.오아림.이주현(2011). 맞벌이 부부의 가사분담이 남편과 부인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5(1), 117-136.
  23. 안수미.이기영.이승미(2013).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와 자녀양육시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7(2), 93-119.
  24. 양심영.김유경(2013). 학령 전 발달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시간과 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7(2), 75-91.
  25. 윤자영(2018). 돌봄노동 시간 개념과 측정: 자녀 돌봄노동을 중심으로. 여성학논집, 35(2), 171-200. https://doi.org/10.18341/WSR.2018.35.2.171
  26. 이승미(1997). 가족의 공유시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7. 이영환(2012). 아버지와 어머니의 자녀양육 참여시간 비교. 아동과 권리, 16(3), 307-330.
  28. 이영환.백지은(1998). 아버지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애착,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5(1), 1-28.
  29. 이재림.손서희(2013). 미취학 자녀를 둔 맞벌이 여성의 일-가족 갈등 : 직장 및 자녀양육 관련 자원과 지각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8(1), 93-114.
  30. 이정은.서지원(2021). 아버지의 미취학자녀 돌봄시간 변화 추이 분석(2004-2019).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25(3), 103-120. DOI: 10.22626/jkfrma.2021.25.3.007.
  31. 이현아.김선미.이승미(2016). 학령기 아동을 둔 아버지의 가사노동시간고하 자녀돌봄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자치행정학보, 30(2), 231-261. https://doi.org/10.18398/KJLGAS.2016.30.2.231
  32. 주익현.주이화(2021). 유급노동.가사.돌봄.여가 시간사용이 여가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맞벌이 부부의 배우자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44(1), 109-133. DOI : 10.31693/KJPS.2021.03.44.1.109
  33. 장영애.이영자(2009). 취학전아동의 친사회적 행동과 어머니, 아버지의 양육행동 및 양육참여도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8(3), 619-629.
  34. 주은선.김사현.김민성(2014). 한국 부모의 미취학아동 돌봄시간에 관한 연구. 사회보건연구, 30(2), 367-400.
  35. 통계청(2020). 2019 생활시간조사보고서 제1-1권 생활시간량편(표1-5).
  36. 차성란(2006).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가 인지하는 시간부족 및 피곤함에 대한 연구. 자연과학, 16, 145-159.
  37. 차은호.유조안(2020). 부모의 교육수준에 따른 자녀돌봄시간의 불평등 -돌봄시간 격차의 변화와 분해-. 한국가족복지학, 67(3), 5-33. DOI : 10.16975/kjfsw.67.3.1.
  38. 최유정.최미라.최샛별(2019). 가정 내역할 수행 및 돌봄노동 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남녀 차이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논집, 50(1), 1-28. DOI : 10.31502/SSRI.50.1.1.
  39. Bianchi, S., Cohen, P. N., Raley, S. & Nomaguchi, K. (2004). Inequality in parental investment in child-rearing: Expenditures, time, and health. Social Inequality.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189-219.
  40. Craig, L. & Powell, A.(2011). Non-standard work schedules, work-family balance and the gendered division of childcare. Work, Employment and Society, 25(2), 274-291. https://doi.org/10.1177/0950017011398894
  41. Del Boca, D., Flinn, C. & Wiswall, M.(2013). Household choices and child development. The Review of Economic Studies, 81(1), 137-185.
  42. Sullivan, O.(2010). Changing differences by educational attainments in fathers' domestic labour and child care. Sociology, 44(4), 716-733. https://doi.org/10.1177/00380385103693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