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Dragon Symbol and its Meaning in the Painting Poetry

제화시에 나타난 용(龍)의 표상과 그 의미

  • Park Hae-young (School of Liberal Arts & Science, Korea Aerospace University)
  • Received : 2024.04.25
  • Accepted : 2024.06.25
  • Published : 2024.06.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symbolic meanings of dragons in the contemporary period through the painting featuring poetry based on the Hwaryong (paintings of dragons) and to analyze the literary representations and characteristics of dragons. First, the shape and aura of the dragon in the paintings should be confirmed. In dragon Painting Poetry (Paintings Featuring Poetry), the shape of the dragon is embodied in the aura of 'spirit.' However, people in previous eras customarily believed that dragons were real. In addition, the main spirit of the Hwaryong was in the representation of the dragon's aura, or "Jeonsin (transmission of spirit)," such as the creature's dragonly virtue or Heavenly Perfection. Next, the rhetorical representation of the dragon in the painting is to be examined. In the actual Painting Poetry, dragon images were relatively common in descriptions of pines, bamboo, and plum trees. The pine-bamboo-plum motif is known as Sehan Samwu (the three friends of the cold season), and since the Northern Song Dynasty, it has become a symbol of literary incision. Manifested as a dragon, the pine-bamboo-plum motif has a common denominator of winding branches, tangled stems, and bluish jade coloration, and like the dragon, it is used as a backdrop for weather phenomena such as rain, wind, and lightning. In the schematic that connects the Hwaryong, dragon Painting Poetry, the original meaning of the dragon is transformed into shapes and language. This is the meaning conveyed by the dragon, and this symbolic meaning was shared among the writers of the period who viewed the poems and paintings.

본 연구는 용 그림을 소재로 한 제화시(題畫詩)를 통해 당대 용에 함축된 상징의미를 파악하고, 용의 문학적 형상화 방식과 특징을 분석한 것이다. 먼저 그림 속 용을 대상으로, 화룡(畫龍)의 형상과 기운을 살폈다. 제화시에서 화룡의 형상은 '신(神)'의 기운으로 구체화된다. 신은 신이(神異)함, 즉 신묘·신령·기이·괴이 등으로 풀이할 수 있는데, 이는 용이 상상 속 동물인 데에 기인한다. 그렇지만 당대 사람들은 관습적으로 용이 실재한다고 믿었다. 이에 눈, 발톱, 뿔과 갈기, 비늘 갑옷 등으로 용의 형상을 실체화하고, 이 형상에서 신이함을 구현하고자 노력했다. 또한 화룡의 본령은 용덕·천진 등과 같은 용의 기운, 즉 '전신(傳神)'의 형상화에 있었다. 다음으로 그림에서 떠오른 용의 표상들을 짚었다. 제화시에서 용의 심상이 빈번하게 등장하는 것은 '송(松)·죽(竹)·매(梅)' 그림을 형용할 때였다. 용으로 현현되는 송죽매는 외형적으로 구불구불한 가지와 얽히고설킨 줄기, 푸른 옥빛의 자태 등을 공통분모로 하여, 화룡과 같이 비·바람·번개 등의 기상현상을 배경으로 삼는다. 이를 통해 '기(奇)'를 표출해 사람들에게 신이로움을 느끼게 만든다. 다만 조선 후기로 갈수록 송죽매가 세한삼우로서 선비의 절개로 상징의미가 굳어지면서 용의 비유적 수사는 점차 줄어드는 경향을 보인다. '용-화룡/그림-제화시'로 연결되는 도식엔 원래 용의 의미가 형상으로, 언어로 그 모습을 바꾸어 나타난다. 이 의미가 용의 표상이며, 이 상징의미는 시와 그림을 본 당대 문인들 사이로 공유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三國史記」, 「三國遺事」, 「世說新語」, 「新增東國輿地勝覽」, 「朝鮮王朝實錄」.
  2. 권헌, 「震溟集」.
  3. 김안로, 「希樂堂文稿」.
  4. 남태응, 「聽竹畫史」.
  5. 박제가, 「貞蕤閣初集」.
  6. 서거정, 「四佳詩集」.
  7. 오도일, 「西坡集」.
  8. 이규보, 「東國李相國全集」.
  9. 이서, 「弘道先生遺稿」.
  10. 임억령, 「石川先生詩集」.
  11. 조식, 「浦渚先生集」.
  12. 정두경, 「東溟先生集」.
  13. 정약용, 「與猶堂全書」.
  14. 허균, 「惺所覆瓿稿」.
  15. 강희안, 「양화소록」, 이종묵 옮김, 서울: 아카넷, 2012.
  16. 고연희, 「제화시문(題畵詩文)을 통해 본 수직구도 매화도(梅花圖)의 전개상」, 「동방학」 6, 2000.
  17. 국립민속박물관, 「한국민속상징사전: 용」, 서울: 국립민속박물관, 2023.
  18. 국토조사과, 「우리 국토 곳곳에 담겨 있는 십이지 동물 "띠 지명" 이야기」, 2021.
  19. 김수경, 「남성성과 여성성과 대립으로 본 헌화가」, 「이화어문논집」 17, 1999.
  20. 김찬호, 「정약용 회화의 전신론(傳神論) 연구」, 「동양예술」 18, 2012. http://uci.or.kr/G704-SER000000828.2012..18.009
  21. 김희진, 「용왕각을 통해 본 사찰의 용 신앙 수용 양상」, 「한국학논집」 90, 2023. https://doi.org/10.18399/actako.2023..90.009
  22. 박혜영, 「조선 전기 제화시 연구」, 경희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21.
  23. 박혜영, 「조선 전기 묵죽도(墨竹圖) 제화시의 상징방식과 그 의미」, 「열상고전연구」 73, 2021. https://doi.org/10.15859/yscs..73.202102.123
  24. 박혜영, 「조선 전기 매화도(梅花圖) 제화시의 상징의미 연구」, 「동양고전연구」 89, 2022.
  25. 유경환, 「처용가(處容歌)에 나타난 용(龍)의 상징성(象徵性) : 영웅출현(英雄出現) 원리(原理)를 중심(中心)으로」, 「어문연구」 26, 1998.
  26. 윤열수, 「용, 불멸의 신화」, 서울: 대원사, 1999.
  27. 이혜화, 「용사상과 한국고전문학」, 서울: 깊은샘, 1993.
  28. 임재해, 「호국용설화(護國龍說話)의 전승양상과 신인관계」, 「한국민속학」 13, 1980.
  29. 장진엽, 「다산 정약용의 제화시 연구」, 「동양학」 84, 2021. https://doi.org/10.17320/orient.2021..84.39
  30. 조정현, 「마을공동체신앙과 생태민속: 하회별신굿의 생태민속학적 해석」, 「비교민속학」 41, 2010. http://uci.or.kr/G704-000738.2010..41.006 https://doi.org/10..41.006
  31. 차미애, 「근기남인(近畿南人) 서화가(書畵家) 그룹의 계보와 예술 활동: 17C 말.18C 초 윤두서(尹斗緖), 이서(李漵), 이만부(李萬敷)를 중심으로」, 「인문연구」 61, 2011. http://uci.or.kr/G704-001840.2011..61.004
  32. 최연식.이승규,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와 조선 건국의 정당화: 신화와 역사의 긴장」,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7-1, 2008.
  33. 《국립민속박물관 소장품 목록》 https://www.nfm.go.kr
  34. 《국립중앙박물관 소장품 목록》 https://www.museum.go.kr
  35. 《국토지리정보원 콘텐츠센터》 https://www.ngii.go.kr
  36. 《한국고전종합DB》 https://db.itkc.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