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orecasting the Demand and Supply and Diagnosing the Shortage of Marine Officer for Korean Coastal Shipping

내항 해기사 인력 수요 및 공급 예측과 인력 부족 진단

  • Received : 2024.01.19
  • Accepted : 2024.03.29
  • Published : 2024.03.31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the number of ships and marine officers in the coastal shipping in order to successfully solve the problem of the shortage of manpower. Then it forecast the number of costal ships by ship size and the demand of coastal marine officers by applying the crew quota of the Ship Personnel Act. In addition, The supply of manpower was predicted using the Markov model, reflecting the number of turnover and retirements by year, as well as the number of new entrants and incomer from ocean-going shipping. As a result of forecasts, the demand for coastal marine officers is forecast to increase from 6,057 in 2023 to 7,079 in 2030, and the supply is forecast to decrease from 5,771 in 2023 to 5,130 in 2030, showing that the manpower of shortage is worsening. This study analyzed the problem of the shortage of lower-level licensed coastal marine officers and objectively forecast the demand and supply of manpower through quantitative analysis. In order to resolve the manpower shortage, it was proposed to expand the training and supply of 5th and 6th grade low-level licensed coastal marine officers. This study will be able to provide useful data to solve the problem of shortage of manpower for coastal shipping.

이 연구는 내항 해기사 인력 부족 문제가 성공적으로 해결될 수 있도록 내항 선박 척수와 해기사 현황을 고찰하고, 선박규모별 척수를 예측하여 선박직원법상의 선박 규모별 승무정원을 적용하여 내항 해기사 인력 수요를 급수별로 예측하였다. 인력 공급은 Markov모형을 활용하여 항해사와 기관사의 연도별 이직 및 퇴직 인원과 신규 진입 및 외부 전입인원수를 반영하여 예측하였다. 내항 해기사 인력 수요는 2023년 6,057명, 2030년 7,079명으로 증가하고, 공급은 2023년 5,771명, 2030년 5,130명으로 예측되어 인력부족이 심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내항 해기사의 하급 해기사 부족과 고령화의 고용실태를 반영하고 정량적 분석을 통해 인력 수요와 공급을 정확히 예측하고, 5급 및 6급의 하급면허 해기사 인력 확충 필요성을 제시함으로써 내항해운의 해기사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기선.이창희.조소현.전영우(2020), 내항해운 경쟁력 확보 및 내항상선 해기사 수급 안정화 방안 연구, 해사법연구, 32(3), pp.193-216.
  2. 김영모.김세원.최계열.신용존.배후석.이종해(2022), 해기사 양성사업 추진 타당성 검토 및 기본계획수립연구, 한국해운조합.
  3. 김용복.김종화(2013), 최근의 어선 해기 인력 수급 실태에 관하여, 수산해양교육연구, 25(3), pp.697-704.
  4. 박경규(2019), 신인사관리, 홍문사.
  5. 박상익(2016), 국적선 증감에 따른 양성 해기인력의 적정성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대학교 석사 논문.
  6. 박성진, 배후석, 신용존 (2012), 연안해운 선원인력 수요 예측에 관한 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지, 36(3), pp.205~213.
  7. 박창호.전석산.신영태.이청환.김선태.김욱성.류원.남홍식.김경석.손승표.이승은.김대근.이지혜(2018), 선원인력수급계획 및 선원정책기본계획 수립 연구, 국제물류연구회, 한국해양수산연수원, 한국표준품질선진화포럼.
  8. 신용존(2023), 국적 외항 상선 해기사 인력 수요 및 공급 예측, 한국해사포럼 발표자료집(2023.09.15.).
  9. 이정경(2022), 상선 해기사 수요 및 공급 예측과 인력부족의 진단 및 대응효과 분석, 한국해양대학교 박사 논문.
  10. 전상길(2020), 창조경영을 위한 인적자원관리, 길을 묻다, 도서출판 창명.
  11. 정성윤.장종원(2016), 원양어업의 안정적인 선원수급을 위한 근로조건 개선, 수산해양교육연구, 28(6), pp.1651-1661.
  12. 정이규, 남홍석, 류원 (2019) 내항상선 선원인력 수급 예측모형에 관한 연구, 2019년 한국해양환경안전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233.
  13. 해양수산부(2004~2023), 선원통계연보.
  14. 해양수산부(2013~2022), 해양계.수산계 학교 졸업생 현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