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Grit on Resilience: Multigroup Analysis of Elementary Gifted and Non-Gifted Students in Science

그릿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초등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다집단 분석

  • Received : 2024.02.27
  • Accepted : 2024.05.02
  • Published : 2024.07.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grit on the resilience of elementary science gifted and general students in their daily lives, an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between science gifted students in university gifted centers and elementary school gifted classes and normal students. The grit and resilience test was administered to 154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and 98 non-gifted students. Based on the collected data,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measurement model analysis, and multigroup structural model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cross all sub-factors of grit and resilience, the gifted studen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resilience than non-gifted students. Second, the path from making perseverance of effort in grit to resilience showed a positive effect, while the path from consistency of interest in grit to resilience showed a negative effect. Third, in all groups, including regular classes, the school for gifted, and the university-affiliated gifted students, the perseverance of effort in grit exhibited a positive effect on resilience, and the consistency of interest in grit showed a negative effect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skills in resilience for both the non-gifted and the gifted students. Lastly, gifted student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ath from perseverance of effort in grit to the sub-factors of resilience, whereas non-gifted students did not.

본 연구는 초등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이 일상생활 속에서 경험하는 그릿이 그들의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고, 대학부설영재교육원·학교영재학급·일반학급의 교육기관별 집단 간 차이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대학 영재교육원에 속한 초등학교 6학년 과학영재 학생과 인근 학교의 영재학급 및 일반학급 학생 총 252명을 선정하여 그릿, 회복탄력성 검사를 시행하였다. 기술통계분석, 측정모형분석, 다집단 구조모형분석을 실시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릿의 꾸준한 노력과 회복탄력성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일반학생보다 영재학생이 유의미하게 높은 수준을 보였다. 둘째, 그릿의 꾸준한 노력에서 회복탄력성에 이르는 경로는 정(+)적 영향을 보였으며 그릿 관심의 지속성에서 회복탄력성에 이르는 경로는 부(-)적 영향을 보였다. 셋째, 그릿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교육 기관별 집단 간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다중집단분석을 시행한 결과 일반학급, 학교영재, 대학부설영재 모두 그릿의 꾸준한 노력 요인이 회복탄력성에 정(+)적 영향을 보였으며 그릿의 관심 지속성 요인은 일반학급과 학교영재학급에서 회복탄력성의 대인관계능력에 부(-)적 영향을 보였다. 넷째, 학교영재와 대학부설영재는 그릿의 꾸준한 노력에서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으로 가는 경로에서 일반학생과 비교하여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신영, 문혁준(2022). 보육교사 그릿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육아정책연구, 16(2), 29-52. https://doi.org/10.5718/KCEP.2022.16.2.29
  2. 강정아(2016). 중학생의 영재성과 성에 따른 행동특성, 심리적 가정환경과 회복탄력성과의 관계 연구.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고유민, 김유미(2013). 영재아 대상 스트레스 대처 프로그램이 영재아의 스트레스 인식 및 대처에 미치는 효과. 영재와 영재교육, 12(3), 135-157.
  4. 길현주, 김수영(2016). 유아 교사의 정서지능, 심리적 안녕감, 사회적 지지, 회복탄력성 간의 구조적 관계. 아동교육, 25(2), 201-220.
  5. 김나미, 김신섭(2013). 대학생 생활 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회복 탄력성의 매개효과. 한국상담학회지, 14(2), 1125-1144.
  6. 김순규(2007). 보호요인이 피학대 아동의 적응유연성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7. 김유미, 이지은(2010). 강렬한 삶을 살아가는 영재의 이해와 상담. 서울: 아카데미 프레스.
  8. 김정아(2016). 전문대학 비서학 전공생의 회복탄력성이 대학생활 적응과 진로장벽에 미치는 영향. 비서학논총, 25(1), 161-183.
  9. 김진구, 박다은(2017). 지능에 대한 암묵적 신념과 학업성취의 관계에서 투지의 매개효과. 교육심리연구, 31(1), 145-162.
  10. 김청택(2016). 탐색적 요인분석의 오, 남용 문제와 교정. 조사연구, 17(1), 1-29.
  11. 김혜정, 한기순(2013). 단위학교 영재학급 선발방식에 따른 영재 특성 비교. 영재교육연구, 23(2), 257-273.
  12. 류영주, 양수진(2017). 내재적⋅친사회적 동기와 삶 만족도의 관계에서 그릿(Grit)과 친사회적 행동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30(4), 93-115.
  13. 민현숙, 양연숙(2012). 초등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완벽주의, 학업스트레스 및 학습몰입 비교. 영재교육연구, 22(1), 157-171.
  14. 박경림(2011).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행동 비교.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박경진, 류춘렬(2017). 과학영재학교, 과학고, 일반고의 운영 형태에 대한 인식 비교: 과학영재교육 수혜자들의 교육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7(4), 625-636. https://doi.org/10.14697/JKASE.2017.37.4.625
  16. 박나정, 임나영, 이창훈(2018).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회복탄력성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대한공업교육학회지, 43(1), 20-40. https://doi.org/10.35140/KIIEDU.2018.43.1.20
  17. 박양규, 김은정, 박중재(2001). SPSS 통계분석 10. 서울: 21세기.
  18. 배병렬(2002). 구조방정식모델 이해와 활용. 서울: 대경.
  19. 송수영, 이상민(2022). 청소년의 회복탄력성과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그릿(grit)의 매개효과 검증. 직업교육연구, 41(4), 1-19.
  20. 신민, 안도희(2015). 영재와 평재 고등학생들의 성공에 대한 인식, Grit, 열망 및 성취 목적 비교. 영재교육연구, 25(4), 607-628.
  21. 신우열, 김민규, 김주환(2009). 회복탄력성 검사지수의 개발 및 타당도 검증. 한국청소년연구, 20(4), 105-131.
  22. 양재민, 유미현(2022). 중학교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완벽주의와 그릿(Grit)의 비교 및 관계 분석. 영재교육연구, 32(2), 229-248.
  23. 여상인(2023). 초등 과학영재의 그릿이 회복탄력성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과학영재교육, 15(3), 444-454.
  24. 오은희, 최인선, 정철상(2020). 대학생의 그릿이 자기결정성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21(1), 258-267.
  25. 오지현, 조미영(2015). 초기청소년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어머니 반응과 문제행동간 관계: 성별에 따른 탄력성의 매개효과. 정서.행동장애연구, 32(2), 225-249.
  26. 유영란, 유지원, 박현경(2015). 고등학생의 그릿(Grit)과 객관적 추론, 자기조절학습 효능감 간의 관계 규명. 청소년학연구, 22(10), 367-385.
  27. 윤상천, 최선영(2017). 초등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그릿(Grit)과 학업적 실패내성 및 심리적 안녕감과의 비교. 초등과학교육, 36(4), 439-446.
  28. 이경미, 성승민, 장낙한, 여상인(2015). 영재교육기관별 초등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회복탄력성 및 과제집착력 비교. 과학교육연구지, 39(3), 307-320. https://doi.org/10.21796/JSE.2015.39.3.307
  29. 이미란, 이혜원, 탁정화(2017). 예비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과 그릿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2), 491-512.
  30. 이병임, 이희수, 류형선(2012). 과학영재들의 회복탄력성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 자기조절능력, 대인관계, 긍정성을 중심으로. 창의력교육연구, 12(1), 155-178.
  31. 이수경(2016). 성인초기의 성장 마인드셋, 고정 마인드셋과 그릿의 관계: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2. 이수란, 손영우(2013). 무엇이 뛰어난 학업성취를 예측하는가?: 신중하게 계획된 연습과 투지(Grit).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10(3), 349-366.
  33. 이수란, 안태영, 박서단, 양수진(2021). 한국형 그릿 척도(The Korean Version of GRIT: K-GRIT) 개발 및 타당화: 측정학적 문제와 개념적 본질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40(3), 351-387. https://doi.org/10.22257/KJP.2021.9.40.3.351
  34. 이신숙(2012). 중학생의 회복탄력성이 학교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조선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5. 이애경(2012). 청소년의 비행과 성격강점, 심리 사회적 적응간의 관계: 낙관성, 탄력성, 억압적 대처유형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6. 이영훈, 김성수(2005). 부정 진술문을 포함한 자기통제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교육의 이론과 실천, 10(2), 29-51.
  37. 이하리, 이영선(2015). 청소년의 교사⋅또래애착과 회복탄력성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청소년상담연구, 23(2), 467-486. https://doi.org/10.35151/KYCI.2015.23.2.021
  38. 이현미(2016).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9. 임현희, 조한익(2018). 청소년용 학업적 그릿 척도의 개발과 타당화. 교육심리연구, 32(3), 495-523.
  40. 임효진(2017). 그릿의 요인구조와 타당도에 관한 탐색적 연구. 아시아교육연구, 18(2), 169-192.
  41. 임효진, 류재준(2021). 그릿-S 척도 문항의 타당성 및 차별 기능 탐색. 교육심리연구, 35(3), 415-435.
  42. 임효진, 하혜숙(2017). 원격대학 여성 성인학습자들의 끈기(Grit)와 목표인식, 학업-가정갈등 및 사회적 지지가 학업적응에 미치는 영향. 교육심리연구, 31(1), 59-81.
  43. 정은주, 정경은(2019). 청소년 회복탄력성 관련 변인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1(48), 243-273.
  44. 주석진(2011). 청소년이 지각한 학업 및 부모관련 스트레스와 인터넷 중독과의 관계에서 탄력성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검증. 청소년학연구, 18(11), 61-83.
  45. 주영주, 김동심(2016). 영재학생의 그릿(꾸준한 노력, 지속적 관심), 교사지원, 부모지원의 자기조절학습능력, 영재교육 만족도에 대한 예측력 검증. 특수교육, 15(1), 29-49.
  46. 차화연, 박은아, 김희진(2021). 유아교사용 그릿 척도(Grit Scale) 개발 및 타당화. 교육치료연구, 13(1), 99-119.
  47. 한국교육개발원(2024). 영재교육종합데이터베이스.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48. 한미라, 김광수(2018). 유아교사의 그릿과 회복탄력성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27(3), 411-427.
  49. 허수현(2016). 초등 수학영재학급 학생과 일반학급 학생의 회복탄력성과 창의적 태도와의 상관관계 분석.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0. 허지성, 박만구(2022). 초등수학영재 판별 도구로서 그릿 검사 타당성 검증. 수학교육 논문집, 36(3), 355-372.
  51. 홍세정(2020). 영재의 자기조절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완벽주의, 마인드셋 및 그릿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2. 홍세희, 노언경, 정송(2011). 부정문항이 포함된 검사의 요인 구조: 자아존중감 검사의 예. 교육평가연구, 24(3), 713-732.
  53. 홍세희(2000).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9(1), 161-177.
  54. Anastasi, A. (1982). Psychological testing (5th ed). New York Macmillan.
  55. Bagozzi, Richard, P., & Youjae, Yi. (1988). On the Evalua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16(1), 74-94. https://doi.org/10.1007/BF02723327
  56. Benson, J., & Hocevar, D. (1985). The impact of item phrasing on the validity of attitude. Journal of Educational Measurement, 20(3), 231-240.
  57. Bollen, K. (1989). Structural equations with latent variables (Vol. 210). John Wiley & Sons.
  58. Byrne, B. M. (2001).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Perspectives on the present and the future. International Journal of Testing, 1(3-4), 327-334. https://doi.org/10.1207/S15327574IJT013&4_11
  59. Chen, F. F. (2007). Sensitivity of goodness of fit indexes to lack of measurement invarianc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14(3), 464-504.
  60. Cheung, G. W., & Rensvold, R. B. (2002). Evaluating goodness-of-fit indexes for testing measurement invarianc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9(2), 233-255. https://doi.org/10.1207/S15328007SEM0902_5
  61. Crede, M., Tynan, M. C., & Harms, P. D. (2016). Much ado about grit: A meta-analytic synthesis of grit literatur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13(3), 492-511. https://doi.org/10.1037/pspp0000102
  62. Crowley, S., & Fan, X. (1997).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Basic concepts and applications in personality assessment research.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68, 508-531. https://doi.org/10.1207/s15327752jpa6803_4
  63. Datu, J. A. D., Valdez, J. P. M., & King, R. B. (2016). Perseverance counts but consistency does not! Validating the short grit scale in a collectivist setting. Current Psychology, 35, 121-130. https://doi.org/10.1007/s12144-015-9374-2
  64. Davis, G. A., & Rimm, S. B. (2004). Educa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 (5th ed.) (이경화, 최병연, 박숙희 역). 서울: 박학사. (원저, Boston: Allyn & Bacon)
  65. Duckworth, A. L., & Quinn, P. D. (2009).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hort Grit Scale (GRIT-S).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91(2), 166-174. https://doi.org/10.1080/00223890802634290
  66. Duckworth, A. L., Kirby, T. A., Tsukayama, E., Berstein, H., & Ericsson, K. A. (2011). Deliberate practice spells success why grittier competitors triumph at the National Spelling Bee. Social Psychological and Personality Science, 2(2), 174-181. https://doi.org/10.1177/1948550610385872
  67. Duckworth, A. L., Peterson, C., Matthews, M. D., & Kelly, D. R. (2007). Grit: Perseverance and passion for long-term goal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2(6), 1087-1101. https://doi.org/10.1037/0022-3514.92.6.1087
  68. Dyer, J. G., & McGuinness, T. M. (1996). Resilience: Analysis of the concept. Archives of Psychiatric Nursing, 10(5), 276-282. https://doi.org/10.1016/S0883-9417(96)80036-7
  69. Fornell, C., & Larcker, D. F. (1981).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8(1), 39-50. https://doi.org/10.1177/002224378101800104
  70. Fraering, M., & Minor, M. S. (2006). Sense of community: An exploratory study of US consumers of financial services. International Journal of Bank Marketing, 24(5), 284-306. https://doi.org/10.1108/02652320610681738
  71. Gerbing, D. W., & James C. A. (1988). An updated paradigm for scale development incorporating unidimensionality and its assessment.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25(2), 186-192. https://doi.org/10.1177/002224378802500207
  72. Horan, P. M., DiStefano, C., & Motl, R. W. (2003). Wording effects in self-esteem scales: Methodological artifact or response styl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10(3), 435-455. https://doi.org/10.1207/S15328007SEM1003_6
  73. Hu, L. T., & Bentler, P. M. (1998). Fit indices in covariance structure modeling: Sensitivity to underparameterized model misspecification. Psychological Methods, 3(4), 424-453. https://doi.org/10.1037/1082-989X.3.4.424
  74. Ivcevic, Z., & Brackett, M. (2014). Predicting school success: Comparing conscientiousness, grit, and emotion regulation ability.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52, 29-36. https://doi.org/10.1016/j.jrp.2014.06.005
  75. Kline, R. (2015).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4th ed.). New York, NY: Guilford publications.
  76. Lee, S. S., & Lee, D. K. (2018). What is the proper way to apply the multiple comparison test?.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71(5), 353-360. https://doi.org/10.4097/kja.d.18.00242
  77. Maddi, S. R., Matthews, M. D., Kelly, D. R., Villarreal, B., & White, M. (2012). The role of hardiness and grit in predicting performance and retention of USMA cadets. Military Psychology, 24(1), 19-28. https://doi.org/10.1080/08995605.2012.639672
  78. Marsh, H. W. (1987). The Factorial invariance of response by males and females to a multidimensional self concept instrument: Substantive and methodological issues.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22, 457-480. https://doi.org/10.1207/s15327906mbr2204_5
  79. Marsh, H. W., Hau, K. T., & Wen, Z. (2004). In search of golden rules: Comment on hypothesis-testing approaches to setting cutoff values for fit indexes and dangers in overgeneralizing Hu and Bentler's (1999) finding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11(3), 320-341. https://doi.org/10.1207/s15328007sem1103_2
  80. Meredith, W. (1993). Measurement invariance, factor analysis and factorial invariance. Psychometrika, 58, 525-543. https://doi.org/10.1007/BF02294825
  81. Muenks, K. M., Wigfield, A., Yang, J., & O'Neal, C. (2016). The facture structure of grit in two age groups and its relations with self-regulation and engagement. Paper presentedat the annual meeting of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Washington, DC.
  82. Mulaik, S. A., James, L. R., Van Alstine, J., Bennett, N., Lind, S., & Stilwell, C. D. (1989). Evaluation of goodness-of-fit indices for structural equation models. Psychological Bulletin, 105(3), 430-445. https://doi.org/10.1037/0033-2909.105.3.430
  83. Mullen, M. R. (1995). Diagnosing measurement equivalence in cross-national research. Journal of International Business Studies, 26, 573-596.
  84. Myers, M. B., Calantone, R. J., Page Jr, T. J., & Taylor, C. R. (2000). Academic insights: An application of multiple-group causal models in assessing cross-cultural measurement equivalence. Journal of International Marketing, 8(4), 108-121. https://doi.org/10.1509/jimk.8.4.108.19790
  85. Nunnally, J. C. (1967). Psychometric theory. New York: McGraw-Hill.
  86. Pilotte, W. J. (1991). The impact of mixed item stems on the responses of high school students to a computer attitude scale.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50(3), 603-610. https://doi.org/10.1177/0013164490503016
  87. Pilotte, W. J., & Gable, R. K. (1990). The impact of positive and negative item stems on the validity of a computer anxiety scale.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50, 603-610.
  88. Reivich, K., & Shatte, A. (2002). The resilience factor: 7 essential skills for overcoming life's inevitable obstacles. New York: Broadway books.
  89. Reivich, K., & Shatte, A. (2003). The resilience factor: 7 keys to finding your inner strength and overcoming life hurdles. New York: Broadway Book.
  90. Robert, R. E., Lewinsohn, P. M., & Seeley, J. R. (1993). A brief measure of loneliness scale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22, 231-240.
  91. Rojas, J. P., Reser, J. A., Toland, M. D., & Usher, E. L. (2012). Psychometrics of the Grit scale. Poster presented at the 2012 Spring Research Conference at University of Kentucky, Louisville, KY.
  92. Ruf, D. L. (2009). 5 levels of gifted: School issues and educational options. Scottsdale, AZ: Great Potential Press.
  93. Schmitt, N., & Kuljanin, G. (2008). Measurement invariance: Review of practice and implications. Human Resource Management Review, 18(4), 210-222. https://doi.org/10.1016/j.hrmr.2008.03.003
  94. Schriesheim, C., & Hill, K. (1981). Controlling acquiescence response bias by item reversals: The effect on question validity.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41, 1101-1114.
  95. Silverman, L. K. (1993). Counseling the gifted and talented. Love Publishing Co., Denver, CO, USA.
  96. Spector, P. E. (1992). Summated rating scale construction: An introduction. Newbury, Park, California: Sage Publications Inc.
  97. Stevens, J. (1996). Applied multivariate statistics for the social sciences (3rd ed.).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98. Strayhorn, T. L. (2013). What role of does grit play in the academic success of Blackmale collegians at predominantly White institutions? Journal of African American Studies, 18(1), 1-10.
  99. Tepper, B. J., & Tepper, K. (1993). The effects of method variance within measures. Journal of Psychology, 127(3), 293-302. https://doi.org/10.1080/00223980.1993.9915563
  100. Terrassier, J. C. (1985). Dyssynchrony-uneven development. The Psychology of Gifted Children, 265-274.
  101. Vandenberg, R. J., & Lance, C. E. (2000). A review and synthesis of the measurement invariance literature: Suggestions, practices, and recommendations for organizational research. Organizational Research Methods, 3(1), 4-70. https://doi.org/10.1177/109442810031002
  102. Webb, J., Meckstroth, E., & Tolan, S. (2020). Guiding the gifted child. SCB Distributors.
  103. West, S., Finch, J., & Curran, P. (1995).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learning organizational culture, non normal variables: Problems and remedies. In R. H. Hoyle (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pp. 56-75). Sage, Thousand Oaks.
  104. Wolters, C. A., & Hussain, M. (2015). Investigating grit and its relations with college students'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Metacognition and Learning, 10(3), 293-311. https://doi.org/10.1007/s11409-014-9128-9
  105. Yoshitsu, J., & Nishikawa, K. (2013). Development of the Japanese grit scale. Japanese Journal of Research on Emotion,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