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f the Bracelets Excavated from Fifth-and Sixth-century Silla Kingdom Tombs: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Wearing Practices

신라 5~6세기 무덤 출토 팔찌에 대한 연구 -물리적·형태적 특성 및 착장 양상을 중심으로

  • Yoon Sangdeok (Archaeology and History Division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 윤상덕 (국립중앙박물관)
  • Received : 2024.03.27
  • Accepted : 2024.05.02
  • Published : 2024.06.20

Abstract

Personal ornaments made from precious metals that have been excavated from tombs dating to the Maripgan period (4th-6th century) of the Silla Kingdom are a major subject of analysis in the study of gender and hierarchy among the tomb occupants. Nonetheless, bracelets had been neglected until Ha Daeryong's recent research on determining gender through bracelets attracted attention. Accordingly, an examination and organization of the fundamental elements of Silla bracelets was needed. In response, this paper examines their physical characteristics, appearance, changes over time, and related wearing practices. The data for this study is derived from 176 bracelets, mostly made from silver or gold. Copper and glass bracelets are also included. Many of them were cast in a single-use earthen mold. Even the notched and protruding designs were created by casting rather than carving. Glass bracelets and bracelets with dragon designs were made using molds with round cavities. Excluding those produced using metal sheets, the rest of the bracelets are thought to have been cast in a mold with a long-string-shaped cavity and then bent round. After being bent, the two ends were either soldered together (closed type) or left open (open type). As demonstrated in the study by Lee Hansang, Silla bracelets evolved from plain rounded rod-shaped bracelets, such as the one excavated from the Northern Mound of Hwangnamdaechong Tomb, to versions with notched designs, and eventually to those with protruding designs, which gained popularity by the sixth century. The precedents of plain rounded rod-shaped bracelets are presumed to have been thin rod-shaped bracelets from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Bracelets need to be fit to the wrists so that they do not slip off easily when worn. The open type design was the preferable way to achieve this. Moreover, given the ductility of gold, silver, and copper, it seems that it would have been possible to stretch or deform them. In the end, I concluded that even if a bracelet is too small to pass man's hand, the open type could have been worn. Furthermore, if a closed-type bracelet were pressed into an oval shape, it would not be impossible for a man to put it on. When bracelets are divided according to their degree of deformability into type A (the open type) through type D, which is almost impossible to deform, type A is commonly found with wearers of thin hollow earrings, and types C and D (which are difficult to deform) are not found with wearers of thin hollow earrings, but only with wearers of thick hollow earrings.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men were allowed to wear bracelets, and the existing studies that differentiate between men and women based on the wearing of thin hollow earrings, thick hollow earrings, and swords remain valid.

피장자의 성별 및 위계 연구에 신라 마립간기 무덤 출토 귀금속제 장신구는 주요 연구대상이다. 그럼에도 팔찌(釧)는 소홀히 다루어졌는데, 최근 하대룡이 팔찌를 통해 성별을 추정한 연구를 발표하여 주목받았다. 이에 신라 팔찌의 기본 요소에 대한 관찰과 정리가 필요해졌고 이 글에서 물리적인 성격부터 외관과 변천, 착장 양상을 검토하였다. 대상 팔찌는 총 176점으로 은제, 금제가 대부분이며, 동, 유리 등이 확인되었다. 제작방법은 대부분 일회용 토범(土范)을 사용해서 주조로 만들었으며, 특히 각목문이나 돌기문도 새긴 것이 아니라 주조임을 알 수 있었다. 유리 팔찌와 용문양 팔찌는 둥근 형태의 거푸집을 사용하고, 판금제작을 제외한 나머지 팔찌는 '一자'형 거푸집으로 주조하여 둥글게 구부린 것으로 보았다. 이렇게 구부린 뒤에 양 끝을 접합해서 땜한 경우(폐쇄형)와 접합하지 않고 열린 형태로 둔 경우(개방형)로 나눌 수 있다. 변천은 이한상의 연구와 같이 황남대총 북분에서 출토된 문양 없는 둥근 봉의 형태에 각목문이 부가되고, 6세기가 되면 돌기형이 유행하는 방향을 확인하였는데, 초기형태는 원삼국시대의 가는 봉형 팔찌에서 이어진 것으로 추정하였다. 팔찌는 착장 뒤에 쉽게 빠지지 않도록 손목에 맞춰서 제작해야 하며, 이를 위해 개방형의 디자인이 사용될 수 밖에 없다. 또 금, 은과 동의 연성을 고려하면 늘림이나 변형은 가능하다고 보았다. 결국 팔찌가 남성의 손에 들어가기에 작더라도 개방형은 착장할 수 있으며, 폐쇄형도 타원형으로 변형하면 남성도 착장이 불가능하지 않다고 판단하였다. 즉, 변형 가능 정도에 따라 개방형인 A유형에서 유리팔찌와 같이 변형이 거의 불가능한 D유형까지 나누었을 때, 개방형인 A유형이 세환이식 착장자에게 더 많이 확인되며, 변형이 어려운 C, D 유형은 세환이식 착장자에게는 보이지 않고 태환이식 착장자에게서만 발견되는 점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팔찌는 남성도 착장할 수 있었으며, 세환이식과 태환이식 및 대도 착장을 기준으로 남녀를 구별하는 기존의 연구는 여전히 유효하다고 생각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글의 작성에 국립중앙박물관 금속 보존처리 연구자인 신용비, 박학수와 함께 팔찌를 관찰하며 금속의 성질과 제작방법 등에 대해 많은 의견을 나눌 수 있었다. 금속의 물리적 성질에 대해 문외한이었던 필자가 이런 과정에서 많은 배움을 얻었고 이 글의 작성에 큰 힘이 되었다. 또한 국립경주박물관의 김현희, 김대환, 김연미는 팔찌를 실견하고 분석하는데 큰 도움을 주었다. 이 자리를 빌어 관우들에게 감사를 표한다.

References

  1. 김동완, 2019, 「무령왕릉 신보고서」 V, 국립공주박물관
  2. 金龍星, 1998, 「신라의 高塚과 地域集團-大邱.慶山의 例」, 춘추각
  3. 金元龍, 1973, 「신라古墳의 몇가지 特性」, 東洋學國際學術會議
  4. 金元龍, 1974, 「考古學的 綜合考察」, 「天馬塚」, 文化公報部 文化財管理局
  5. 신용비, 2021a, 「신라 금제품의 화학조성과 누금기술」,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박사학위논문
  6. 신용비, 2021b, 「경주 금척리 신라묘 출토 금제이식의 성분과 제작기법」, 「慶州 金尺里 新羅墓」, 국립경주박물관
  7. 沈奉謹, 1991, 「梁山 金鳥塚.夫婦塚」 古蹟調査報告 第19冊, 東亞大學校博物館
  8. 尹相悳, 2009, 「유리팔찌 製作方法에 대한 小考」, 「新羅文物硏究」 3, 國立慶州博物館
  9. 尹相悳, 2016, 「金冠塚 被葬者의 性格 再考」, 「考古學誌」 第22輯, 국립중앙박물관
  10. 李漢祥, 2001, 「昌寧 桂城 III-1號墳 출토 裝身具의 年代」, 「昌寧 桂城 新羅高塚群」, 慶南考古學硏究所
  11. 李漢祥, 2004, 「황금의 나라 신라」, 김영사
  12. 李漢祥, 2020, 「무령왕릉 팔찌에 대한 새로운 이해」, 「百濟硏究」 第72輯
  13. 李熙濬, 2002, 「4~5世紀 신라 고분 被葬者의 服飾品 着裝 定型」, 「韓國考古學報」 第47輯
  14. 전효수.노지현, 2020, 「과학적 분석으로 살펴본 선사시대 청동기의 성분 조성」, 「특별전 한국의 청동기문화」, 국립청주박물관
  15. 崔秉鉉, 1981, 「古신라 積石木槨墳硏究 下-墓型과 그 性格을 중심으로」, 「韓國史硏究」 32
  16. 崔秉鉉, 2017, 「신라 전기 경주 월성북고분군의 계층성과 복식군」, 「韓國考古學報」 第104輯
  17. 崔秉鉉, 2021, 「신라 6부의 고분 연구」, 사회평론아카데미
  18. 하대룡, 2019, 「적석목곽묘 피장자의 성별 재고-성별이형성을 기초로 한 천(釧)의 계측적 분석을 중심으로」, 「韓國考古學報」 第111輯
  19. 함순섭, 2009, 「노동동 142호분」, 「韓國考古專門事典」 古墳篇, 국립문화재연구소
  20. 洪思俊, 1970, 「有文蓋의 靑銅盒」, 「考古美術」 第3卷 第1號(通卷 18號)
  21. 濱田耕作.梅原末治, 1924, 「慶州金冠塚と其遺寶」 圖版上冊, 古蹟調査特別報告 第3册, 朝鮮總督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