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대학생들의 과학교육 강의시간에 나타난 외계행성에 대한 인식 변화 연구

Study on the Changes in College Students' Perception of Exoplanets during Science Education Lectures

  • 투고 : 2024.03.30
  • 심사 : 2024.04.28
  • 발행 : 2024.04.30

초록

이 연구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외계행성 교육을 받기 전, 후의 인식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비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고 주제분석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계행성 교육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외계행성에 대한 지식을 증진시키고, 우주에 대한 관심과 호기심을 높이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학생들은 외계행성 탐사의 중요성과 외계행성 탐사에 대한 다양한 방법에 대한 이해도가 깊어졌다. 셋째, 학생들은 외계행성 탐사가 인류에게 다양한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으며, 외계행성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외계행성과 관련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에 있어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This study conducted unstructured interviews with college students to explore changes in their perceptions before and after receiving education on exoplanets. The analysis utilized thematic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xoplanet education program enhanced students' knowledge about exoplanets and increased their interest and curiosity about space. Second, students deepened their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ce of exoplanet exploration and the various methods of such exploration. Third, students recognized that exoplanet exploration holds significant importance for humanity in various aspects and acknowledged the need for education on exoplanets. These findings can provide important insights for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future educational programs related to exoplanets.

키워드

참고문헌

  1. 교육부(2021).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2. 이선화(2012). 제7차 및 2009개정교육과정에 따른 지구과학I, 지구과학II 교과서 천문단원 비교 분석. 부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이호, 조현준, 이효녕(2007). 달 크레이터 생성에 대한 대학생들의 정신모형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28(6), 655-672.
  4. 정소윤(2016). 외계행성의 특성에 관한 연구: 통계학적 접근 및 측광관측 분석.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한국과학창의재단(2022).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시안(최종안) 개발 정책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6. 한신, 김용기, 김형범(2020).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대학생들의 외계행성 개념 변화 연구.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3(3), 305-316.
  7. 홍성욱, 권윤영, 김윤종, 강현우, 김민선(2023). 외계행성과 생명 가능성. 천문학논총, 38(2), 13-24.
  8. Braun, V., & Clarke, V. (2006). Using thematic analysis in psychology. Qualitative Research in Psychology, 3(2), 77-101.
  9. Brennan, P. (2019). Why do scientists search for exoplanets? Here are 7 reasons. Retrived March 5, 2024, from https://exoplanets.nasa.gov/news/1610/why-do-scientists-search-for-exoplanets-here-are-7-reasons
  10. Chon-Torres, O. A., Ramos, J. C., Hoyos, F., Yance-Morales, X., Choy, R. A., Sergo, I., Rios-Ruiz, F. G. A., Murga-Moreno, C. A., & Alvarado, J. P. L. (2020). Attitudes and perceptions towards the scientific search for extraterrestrial life among students of public and private universities in Peru. International Journal of Astrobiology, 19(5), 360-368.
  11. Gould, R., Sunbury, S., & Krumhansl, R. (2012). Using online telescopes to explore exoplanets from the physics classroom. American Journal of Physics, 80(5), 445-451.
  12. Han, J. (2013). Activity of Korea Astronomy Society in search for extrasola planets. Bulletin of the Korea Astronomical Society, 38(1), 28.
  13. International Space University (2014). Exoplanet exploration collaboration initiative. TP Exoplanets Final Report.
  14. McKay, C. P. (2014). Requirements and limits for life in the context of exoplanet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111(35), 12628-12633.
  15. Susanti, D., Serevian, V., & Kartini. (2022). The effectiveness of discovery learning model on exoplanet materials in distances learning. Journal of Physics; Conference Series, 1-5.
  16. Trottier Institute For Research on Exoplanets (2024). Exoplanets in the classroom. Retrived March 5, 2024, from https://exoplanetes.umontreal.ca/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