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Origin of Records and Archives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Formation of Archival System: Focusing on the Period from the Early 17th Century to the Mid 20th

미국의 기록(records) 및 아카이브즈(archives)의 역사적 기원과 관리·보존의 역사 17세기 초부터 20세기 중반까지를 중심으로

  • 이선옥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반대학원 정보.기록학과, 미국 국립문서기록관리청)
  • Received : 2024.03.28
  • Accepted : 2024.04.16
  • Published : 2024.04.30

Abstract

The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NARA) is a relatively quiet latecomer to the traditional archives of the Western world. Although the United States lacks a long history of organized public records·archives management, it has developed a modern system optimized for the American historical context. This system focuses on the systematic management and preservation of the vast amount of modern records produced and collected during the tumultuous 20th century. As a result, NARA has established a modern archival system that is optimized for the American historical context. The U.S. public records·archives management system is based on the principle that records·archives are the property of the American people and belong to the public. This concept originated during the British colonial era when records were used to safeguard the rights of the colonies as self-governing citizens. For Americans, records and archives have long been a symbol of the nation's identity, serving as a means of protecting individual freedoms, rights, and democracy throughout the country's history. It is natural, therefore, that American life and history should be documented, and that the recorded past should be managed and preserved for the nation's present and future. The public records·archives management system in the United States is the result of a convergence of theories, practices, lessons learned, and ideas that have been shaped by the country's history, philosophies, and values about records, and its unique experience with records management. This paper traces the origins of records and archives in the United States in a historical context to understand the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American life and records. It examines the process of forming a modern public records management system that is both uniquely American and universal to the American context without falling into the two forms of traditions that reflect the uniqueness of American history.

미국의 국립문서보존소(현 국립문서기록관리청)는 서구의 전통적인 기록물보존소들 중에서도 후발주자로 조용히 등장했다. 미국의 공공기록물관리역사는 유럽에 비해 길지 않다. 그럼에도 미국은 20세기 격동의 세기를 지나며 생산되고 수집된 방대한 양의 현대기록물을 체계적으로 관리·보존하는 일에 집중하며 미국 역사적 상황에 최적화된 현대적인 기록물 관리체계를 확립해 왔다. 또한 미국은 국제적인 공공기록물 관리 발전을 견인하는 강력한 위상을 견지하고 있다. 미국의 공공기록물 관리체계의 중심에는 기록이 미국민의 공공재산이라는 공공소유권 개념이 확고하게 자리한다. 이는 기록을 통해 식민지 자치 시민으로서 그들의 권리를 보호받던 영국 식민지 시대로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미국민에게 기록과 아카이브즈는 미국의 짧은 역사에서 '미국인'로서의 정체성은 물론 개인의 자유와 권리 더 나아가 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한 수단이자 국가의 상징 그 자체였다. 따라서 미국민의 삶과 역사는 기록되어야 하고 기록된 과거는 미국의 현재와 미래를 위해 관리·보존되는 것은 당연하고 자연스러운 것이었다. 미국의 공공기록물 관리체계는 미국의 역사와 함께 형성된 기록에 대한 그들의 철학과 가치관 그리고 미국 고유의 기록물관리 경험을 통해 정립된 이론과 실무, 교훈, 아이디어 등이 융합된 결과물이다. 본 논문에서는 미국의 기록(records)과 아카이브즈(archives)의 기원을 역사적 맥락에서 추적하여 미국민의 삶과 기록 간의 유기적 관계를 파악해 본다. 또한 미국 고유의 역사성이 반영된 두 형태의 기록물관리 전통(공공 기록·아카이브즈 관리 전통과 역사 메뉴스크립트 관리전통)을 살펴본다. 이에 더 나아가 미국의 역사적 현실에 부합하여 가장 미국적이면서도 세계적으로 보편적인 현대 공공기록물 관리체계가 형성되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역사적·개념적 연구 방법을 통해 미국 공공기록물 관리체계를 더욱 심층적이고 본질적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Engrossed Declaration of Independence, RG360, Miscellaneous Papers of the Continental Congress, 1774-1789, M332
  2.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Constitution of the United States, RG11, The Constitution of the United States, 9/17/1787-9/17/1787.
  3.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Papers of The Continental Congress 1774-1789, RG360, M247.
  4.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Registers of Enlistments in the United States Army, 1798-1914, RG94, M233.
  5.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Transfer of Charters of Freedom to the National Archives, RG64, Historical Photograph File of National Archives Eventsand Personnel, 1935-1975, 64-NA-1-434.
  6. 노명환, 배은경, 조민지, 고임정, 이선옥, 이정연(2020). 세계의 최고 행정기관 기록물 이관: 사례와 쟁점. 선인.
  7. 설문원 (2021). 기록학의 지평. 조은글터.
  8. 쉘렌버그 Theodore R. (2002). 이원영 역. 현대기록학개론. 진리탐구.
  9. 신정현 (1994). 정치학, 법문사.
  10. 이선옥, 조민지 (2020). 미국 대통령기록의 이관, 세계의 최고 행정기관 기록물 이관: 사례와 쟁점. 선인, 47-86.
  11. 한국기록관리학회 (2020). 기록관리의 이론과 실제. 조은글터.
  12. Berner, Richard C. (1983). Archival Theory and Practice in the United States: A Historical Analysis. Th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Seattle and London.
  13. McCoy, Donald R. (1978). The National Archives: America's Ministry of Documents 1934-1968.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14. O'Toole, James M. (1990). Understanding Archives and Manuscripts. Society of American Archivists.
  15. O'Toole, James M. (2004). 이승억 역, 기록의 이해. 한국국가기록연구원 기록학 번역 총서 50. 진리탐구.
  16. 노경란, 박희영 (2004). 북미지역 기록관리체제에 관한 비교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4(2), 164-191. https://doi.org/10.14404/JKSARM.2004.4.2.164
  17. 노명환 (2006). 19세기 독일의 역사주의 실증사학과 기록관리제도의 정립: 랑케, 지벨 그리고 레만과 출처주의/원질서 원칙. 기록학연구 (14), 359-388. https://doi.org/10.20923/KJAS.2006.14.359
  18. 노명환 (2010). 공론장으로서 기록보존소의 역할: 그 역사와 현황, 패러다임 변호와 미래 발전방향: 역사학에 주는 시사점을 중심으로. 서양사론 (110), 95-119.
  19. 노명환 (2012). 역사연구와 기록관리 상호 관계의 패러다임 변화를 통해 본 역사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 랑케의 역사주의와 실증사학에 대한 본질주의(Essentialism)와 구성주의(Constructivism) 시각의 검토와 함께. 역사문화연구 (41), 145-172.
  20. 노명환 (2013). 구성주의 이론 시각에서 본 기록학/기록관리의 패러다임 변화와 기록화 전략의 의미와 의의: 거버넌스 사회의 실현과 역사연구의 새 지평을 위하여. 역사문화연구 (45), 313-358.
  21. 박종연 (2020). 한국 근현대 기록관리체계의 역사성 연구: 1919~1950년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정보.기록학과.
  22. 윤용희, 윤이화 (2005). 미국의 건국정신과 헙법정신의 함의. 사회과학 (17), 1-38. https://doi.org/10.31625/ISSDOI.2015..17.1
  23. 정경희 (2008). 미국 헌법의 제정과 연방공화국의 건국. 역사학보 (198), 255-283.
  24. Carlin, John W. (2001). Building NARA's Archives of the future. NARA Prologue 33(1).
  25. Carlin, John W. (2002). The Constitution of the United States: Document of the People. NARA Prologue 34(3).
  26. Cox, Richard J. (1983). American Archival History: Its Development, Needs, and Opportunities. American Archivist 46(1), 31-41. https://doi.org/10.17723/aarc.46.1.n43kl32721m250g1
  27. Harper, Josephine L. (1952). Lyman C. Draper and Early American Archives. American Archivist 15(3), 205-212. https://doi.org/10.17723/aarc.15.3.26113227n79q5g43
  28. Grover, Wayne C. (1951). Recent Developments in Federal Archival Activities. American Archivists 14(1), 3-12. https://doi.org/10.17723/aarc.14.1.36g4k56w5302u106
  29. Grover, Wayne C. (1954). The National Archives at Age 20. American Archivist 17(2), 99-107. https://doi.org/10.17723/aarc.17.2.351347j377326n01
  30. Hondefield, Jacob (1944). Archives-What Are they?. American Archivist 7(2), 128-129. https://doi.org/10.17723/aarc.7.2.130p1k338244m353
  31. Kratz, Jessie Kratz (2017). The First Records. NARA Prologue 49(2).
  32. Fitzroy, Herbert William Keith (1938). The Part of the Archivist in the writing of American Leagal History. American Archivist 1(3), 118-129. https://doi.org/10.17723/aarc.1.3.ur00746143274130
  33. Gordon, Robert S. (1971). In search of Pre-American Ancestors- A New Approach, American Archivist 34(3), 251-257. https://doi.org/10.17723/aarc.34.3.05v0u66455743001
  34. Musick, Michael P. (1995). Civil War Records: An Introduction and Invitation. NARA Prologue 27(2).
  35. Posner, Ernst (1940). Some Aspects of Archival Development since the French Revolution. American Archivist 3(3), 159-172. https://doi.org/10.17723/aarc.3.3.q64h3343h663402j
  36. Posner, Ernst (1955). The National Archives and Archival Theorist. American Archivist 18(3), 207~216. https://doi.org/10.17723/aarc.18.3.g503072842452823
  37. Shelle, Fred (1949). Franklin Jameson in National Archives, American Archivist 12(2), 98~130.
  38. Trudy H. Peterson (2001). 이상민 역. 민족주의와 국립기록보존소에 관한 불쾌한 진실. 기록학연구 (4), 197-212. https://doi.org/10.20923/KJAS.2001.4.197
  39. Ziegler, Alexander (2006). From Colonies to Nation: The Emergence of American Nationalism, 1750-1800. Annual Review of Undergraduate Research. Schoo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School of Languages, Cultures, and World Affairs. College of Charleston 5, 347-375.
  40. 국회도서관 (2010). 미합중국 헌법. 세계의 헌법 35개국 헌법전문 번역본 1. 466-481.
  41. Public Law 113-187. The Presidential and Federal Records Act Amendments of 2014. 44 U.S.C.
  42. 미국 국립기록관리청(NARA). http://www.nara.gov
  43. 미국무성. 메이플라워 협약서(1620). http://www.usinfo.state.gov/infousa/
  44. 미국 각 주의 역사학회 웹사이트.
  45. 세계법제정보센터. https://world.moleg.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