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Discourse Regarding the Lineage Transmission to Haewol in the Eastern Learning: Focused on Document Verification

해월의 동학 도통전수 담론 연구 - 문헌 고증을 중심으로 -

  • Received : 2024.01.25
  • Accepted : 2024.03.25
  • Published : 2024.03.31

Abstract

Among the records that attest to the period from July to August of 1863, when Suwun was believed to have transmitted the orthodox lineage to Haewol, the oldest documents are The Collection of Suwun's Literary Works (水雲文集), The Collection of Great Master Lord's Literary Works (大先生主文集), and The Records of Dao Origin of Master Choe's Literary Collection (崔先生文集道源記書, hereafter referred to as The Records of Dao Origin). The records regarding Suwun in these three documents are considered to have originated from the same context. The variances embedded in the three documents have led to arguments about which documents accurately reflect the fact of orthodox lineage transmission. Additionally, these variances highlight the necessity of a review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early Eastern Learning, such as its faith and organizational systems. Accordingly, by thoroughly examining these three documents, it is possible to elucidate the chronological order, establishment-date, accuracy, descriptive direc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faith system of early Eastern Learning as these are reflected in each document. If successful, this examination would provide a clearer description of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Eastern Learning from 1860 to 1880, facilitating a more in-depth analysis of the significance embedded in various forms of discourse on the movement's orthodox lineage transmission. In comparing the three documents and contrasting them with related sources, the results of the textual examination assert that the documents within the lineage of The Collection of Suwun's Literary Works, given they lack a clear record of the event regarding Haewol's orthodox lineage succession, may be the first draft of The Collection of Great Master Lord's Literary Works and The Records of Dao Origin, as these texts distinctly include that record. This reflects that Haewol's succession was not precisely recognized within and outside of the Eastern Learning order until the time when The Collection of Great Master Lord's Literary Works and The Records of Dao Origin were published. This is further attested to by the fact that during the late 1870s, when various Yeonwon (fountainhead) factions of Eastern Learning began to converge around Haewol, and his Yeonwon became the largest organization within Eastern Learning. At that point, the order's doctrine was reinterpreted, and its organization was reestablished. In this regard, it is necessary to view Eastern Learning after Suwun-especially the orthodox lineage transmission to Haewol-from a perspective that considers it more as competing forms of discourse than as a historical fact. This view enables a new perspective on Haewol's Eastern Learning, which forms a distinct layer from Suwun's, shedding ligh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aewol and the new religious movements in modern-day Korea.

수운이 해월에게 도통을 전수(傳授)한 때로 알려진 1863년 7~8월에 관한 기록 중 가장 앞선 것으로 평가되는 문헌은 『수운문집(水雲文集)』, 『대선생주문집(大先生主文集)』, 『최선생문집도원기서(崔先生文集道源記書)』(이하 『도원기서』)이다. 이 세 문헌의 수운 관련 기록은 구조, 내용, 기술 방식으로 본다면 같은 문헌에서 기원했음이 분명하다. 세 문헌이 지닌 차이는 어느 문헌이 도통전수의 실상을 정확히 반영하고 있는지에 대한 논쟁을 초래했으며 신앙과 조직 체계 등 초기 동학의 성격에 대한 재검토의 필요성을 환기하고 있다. 따라서 세 문헌을 고증하여 각 문헌의 선후 관계와 성립연대, 정확성, 기술 방향, 문헌에 반영된 초기 동학 신앙체계의 특징을 밝혀낼 수 있다면 1860~1880년의 동학 전개 과정을 보다 명확히 기술할 수 있으며 여러 도통전수 담론이 지닌 의미를 보다 깊이 분석할 수 있다. 세 문헌을 비교하고 관련 문헌과 대조하여 고증한 결과, 해월의 도통전수 사건이 기록되지 않은 『수운문집(水雲文集)』 계통의 문헌이 이를 명확히 기록한 『대선생주문집(大先生主文集)』과 『도원기서』의 저본일 가능성이 크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는 『대선생주문집(大先生主文集)』과 『도원기서』가 편찬되는 시기까지 해월의 도통전수는 동학 교단 내외에서 명확하게 인정받지 못했다는 것을 뜻한다. 해월의 연원이 동학의 최대 조직이 된 1870년대 후반에 이르러서야 해월을 중심으로 동학의 교리가 재해석되고 조직이 재건되었다는 사실을 통해서도 이는 방증 된다. 따라서 해월의 도통전수를 역사적 사실이라기보다는 하나의 담론으로 보는 관점에서 수운 이후의 동학은 조망될 필요가 있다. 이는 '수운의 동학'과는 단층을 이루는 '해월의 동학', 그리고 해월과 한국의 근대 신종교 운동의 관계를 새로운 관점에서 볼 수 있도록 해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대순진리회 교무부, 「전경」 초판,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1974.
  2. 박창동, 「시천교종역사」 경성: 시천교본부, 1915.
  3. 오지영, 「동학사」, 경성: 영창서관, 1940.
  4. 이돈화, 「천도교창건사」, 서울: 천도교중앙종리원, 1933.
  5. 천도교중앙총부 편, 「천도교경전」 6판, 서울: 천도교중앙총부출판부, 2008.
  6. 최유현, 「시천교역사」 경성: 시천교총부, 1920.
  7. 「古文眞寶 前集」
  8. 「古文眞寶 後集」
  9. 「高宗實錄」
  10. 「대동여지도」, 서울: 진선출판사, 2019.
  11. 「대선생사적」, 「한국학자료총서9 : 동학농민운동편」, 성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6.
  12. 「대선생연혁사」, 상주동학교당소장.
  13. 「대선생주문집」, 「水雲齋文集 通章」 (https://kyudb.snu.ac.kr)
  14. 「대선생주문집」, 「동학농민혁명국역총서」 13, 정읍: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2015.
  15. 「대선생주문집」, 「한국민중운동사자료대계: 1894년의 농민전쟁 부(付) 동학관계자료 1」, 여강출판사, 1985.
  16. 「大韓季年史」
  17. 「陶淵明集」
  18. 「도원기서」, 「동학사상자료집」 1, 서울: 아세아문화사, 1978.
  19. 「東經大全」
  20. 「東經大全」, 독립기념관 소장 1-012968-000, 1880.
  21. 「본교역사」, 「한국학자료총서9 : 동학농민운동편」, 성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6.
  22. 「備邊司謄錄」
  23. 「世宗實錄」
  24. 「承政院日記」
  25. 「新增東國輿地勝覽」
  26. 「용담유사」, 「한국학자료총서9 : 동학농민운동편」, 성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6.
  27. 「천도교서」, 「아세아연구」 5-1, 1962.
  28. 「천도교서(II)」, 「아세아연구」 5-2, 1962.
  29. 「천도교회사초고」, 「동학사상자료집」 1, 서울: 아세아문화사, 1978.
  30. 「최선생문집도원기서」, 「한국학자료총서9 : 동학농민운동편」, 성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6.
  31. 「최수운선생문집도원기」, 대동학연구원, 1978.
  32. 김기현(편저), 「최초의 동학혁명: 병풍바위의 영웅들」, 서울: 황금알, 2005.
  33. 김대권(편저), 「동학 천도교 용어사전」, 부산: 신지서원, 2000.
  34. 김상기, 「수운행록: 원제 수운문집」, 「아세아연구」 7-1, 1964.
  35. 김상기, 「동학과 동학란」, 서울: 한국일보사, 1975.
  36. 김용옥, 「동경대전1 : 나는 코리안이다」, 서울: 통나무, 2021.
  37. 김용휘, 「최제우의 시천주에 나타난 천관」, 「한국사상사학」 20, 2003.
  38. 라명재, 「천도교 경전 공부하기」, 서울: 모시는사람들, 2010.
  39. 목정균, 「동학운동의 구심력과 원심작용: 동학교단의 커뮤니케이션을 중심으로」, 「한국사상」 13, 1975.
  40. 박맹수, 「동학사서 「최선생문집도원기서」와 그 이본(異本)에 대하여」, 「한국종교」 5, 1990.
  41. 박맹수, 「최시형 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박사학위 논문, 1995.
  42. 박맹수, 「동학과 동학농민혁명 연구에 대한 재검토」, 「동학연구」 9.10, 2001.
  43. 박맹수, 「(사료로 보는) 동학과 동학농민혁명」, 서울: 모시는사람들, 2009.
  44. 박맹수, 「해제」, 「한국학자료총서9 : 동학농민운동편」, 성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6.
  45. 박상규, 「근대 한국 신종교의 조직 연구: 연원제를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학위 논문, 2022.
  46. 박성주, 「동학의 창도와 기존 종교와의 관계」, 「동학연구」 28, 2010. http://uci.or.kr/G704-000450.2010..28.002 https://doi.org/10..28.002
  47. 배상현, 「수운 최제우의 사상고(思想考)」, 「동학연구」 2, 1998.
  48. 성봉덕, 「영해 교조신원운동」, 「한국사상」 24, 1998.
  49. 신일철, 「「동학사상자료집」 해제」, 「동학사상자료집」 1, 서울: 아세아문화사, 1979.
  50. 유탁일, 「한국 옛 '문집'의 양태와 출판과정」, 「영남지방출판문화논고」, 부산: 세종출판사, 2001.
  51. 윤석산, 「새로 발견된 목판본 「동경대전」에 관하여」, 「동학학보」 20, 2010. http://uci.or.kr/G704-001606.2010..20.007 https://doi.org/10..20.007
  52. 윤석산 역주, 「초기동학의 역사」, 서울: 신서원, 2000.
  53. 윤석산, 「동경대전」, 서울: 모시는사람들, 2014.
  54. 이현종, 「수운재문집(관몰기록)에 대하여」, 「이해남박사화갑기념 사학논총」, 1970.
  55. 이현종, 「「수운문집」해제 (I)」, 「신인간」 284, 1971.
  56. 이현종, 「「수운문집」해제 (II)」, 「신인간」 285, 1971.
  57. 장영민, 「동학의 정치사회운동」, 파주: 경인문화사, 2004.
  58. 조경달, 「이단의 민중반란: 동학과 갑오농민전쟁 그리고 조선 민중의 내셔널리즘」, 박맹수 옮김, 서울: 역사비평사, 2008.
  59. 조동일, 「동학 성립과 이야기」, 서울: 홍성사, 1981.
  60. 조성환, 「동학 문헌 「도원기서」와 「대선생주문집」의 선후 관계: 최제우 전기의 성립연대에 관한 비판적 고찰」,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94, 2022.
  61. 조용일, 「근암에서 찾아본 수운의 사상적 계보」, 「한국사상」 12, 1974.
  62. 주희, 「국역주자시선」, 서정기 옮김, 파주: 한국학술정보, 2010.
  63. 차선근, 「증산계 신종교 일괄기술에 나타난 문제점과 개선방향」, 「신종교연구」 30, 2014. https://doi.org/10.22245/jkanr.2014.30.30.57
  64. 최원식, 「동학가사 해제」, 「동학가사I」, 성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79.
  65. 최종성.박병훈 역주, 「시천교조유적도지」, 서울: 모시는사람들, 2020.
  66. 표영삼, 「수운대신사의 생애: 년대에 대한 새로운 고증」, 「한국사상」 20, 1985.
  67. 표영삼, 「동학의 신미 영해 교조신원운동에 관한 소고」, 「한국사상」 21, 1989.
  68. 표영삼, 「접포조직과 남북접」, 「동학연구」 4-1, 1999.
  69. 표영삼, 「동학사상과 접(接).포(包) 조직」, 「한국사상」 22, 1995.
  70. 표영삼, 「동학 1: 수운의 삶과 생각」, 서울: 통나무, 2004.
  71. 표영삼, 「동학 2: 해월의 고난 역정」, 서울: 통나무, 2005.
  72. 표영삼, 「표영삼의 동학이야기」, 서울: 모시는사람들, 2014.
  73. 한국종교연구회, 「한국 종교문화사 강의」, 서울: 청년사, 1998.
  74. 한글학회, 「한국지명총람 3」, 서울: 한글학회, 1970.
  75. 한글학회, 「한국지명총람 6」, 서울: 한글학회, 1970.
  76. 홍기조, 「사문에 길을 열든 때」, 「신인간」 29, 1928.
  77. 황선희, 「동학.천도교 역사의 재조명」, 서울: 모시는사람들, 2009.
  78. 「동학천도교인명사전」, 서울: 모시는사람들, 1994.
  79. 「상주동학교당 소장유물도록」, 상주: 상주시, 2006.
  80. 「해제 대선생주문집」, 「동학농민혁명국역총서」 13, 정읍: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2015.
  81. 村山智順, 「朝鮮の類似宗敎」, 京城: 朝鮮總督府, 1935.
  82. 성강현, 「해월 최시형 평전: 교조신원운동의 여파로 일월산을 떠나 강원도로」,《울산저널i》2018. 3. 21.
  83. 「최제우-최시형의 비밀 포교기록 동학 「도원기」 발견」,《중앙일보》1978. 4. 4.
  84. 《규장각원문검색서비스》https://kyudb.snu.ac.kr
  85. 《동학농민혁명사료아카이브》http://e-donghak.or.kr/archive
  86. 《울산저널i》http://www.usjournal.kr/news
  87. 《한국고전번역원》http://db.itkc.or.kr
  88.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s://encykorea.aks.ac.kr/Article
  89. 《한국사데이터베이스》http://db.history.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