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북한의 인삼 산업 현황과 연구 동향

Current Status and Trends of the Ginseng Industry and Research in North Korea

  • Seungjae Joo (College of Pharmacy, Seoul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23.10.07
  • 심사 : 2023.12.08
  • 발행 : 2024.03.02

초록

인삼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약용작물로 남한뿐만 아니라 북한에서도 매우 중요하게 취급되고 있다. 그러나 북한에 대한 정보 접근이 어렵기 때문에 실제 북한에서 인삼의 재배, 연구와 개발 동향, 관련 산업 현황에 대해서는 잘 알려지지 않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비록 제한적이긴 하나 구할 수 있는 서지 자료를 통해 북한에서의 인삼 산업 현황과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북한약전에는 인삼이 "고려인삼"으로 수재되어 있으며 '개성지방에서 재배한 6년생 인삼의 뿌리'로 정의하고 있다. 또한 북한약전에는 22종의 인삼제제가 수재되어 있다. 북한에서는 필수약품(2002) 중 건위소화약, 지사약, 보약 등 10개 약품에 인삼이 들어가고, 그 외에도 다양한 건강보조식품과 화장품, 치약 등이 개발되어 유통·판매되고 있다. 2014년 이후 북한에서 인삼 산업과 연구가 전반적으로 활발해지고 있다. 이때 개성의 인삼재배지역을 대폭 확장하고 설비를 보수하였다. 2016년, 개성고려인삼가공공장을 무균화, 현대화, 무진화된 설비로 정비하여 가동 중이라고 한다. 2017년 이후 품질관리 연구에 관심을 돌려 2019년 품질관리규정과 인증제를 도입하기에 이르렀다. 1990년대에 인삼 제품개발 연구가 많았고 2000년부터 인삼의 약리작용 및 치료·임상연구에 대한 연구가 보고되었다. 또한, 수확량을 높이기 위한 인삼재배와 인삼가공업 관련 연구가 중시되고 있다. 인삼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약용작물이라는 점, 남과 북이 모두 중요시하고 있다는 점, 남과 북이 상호 협력하면 큰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남북 교류협력에 있어서 매우 적합한 소재이다.

Ginseng, a representative medicinal plant of South Korea, is also highly valued in North Korea. However, due to limited access to information about North Korea, the actual cultiv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trends, and related industry status of ginseng in North Korea are not well known. In this study, we aimed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and research trends of the ginseng industry in North Korea based on limited available literature. In the North Korean pharmacopoeia, ginseng is referred to as "Koryo ginseng" and is defined as the roots of 6-year-old ginseng cultivated in the Kaesong region. The pharmacopoeia includes 22 types of ginseng preparations. In addition, 10 ginseng preparations are included in North Korea's Essential Drug List, and various health supplements, cosmetics, and toothpastes containing ginseng have been developed, distributed, and sold. Since 2014, the ginseng industry and research in North Korea have become more active overall. During this period, the ginseng cultivation area in Kaesong has been significantly expanded, and the facilities have been renovated. The Kaesong Koryo Ginseng Processing Plant has been equipped with sterilized, modernized facilities since 2016 and has been in operation. Since 2017,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quality control research, leading to the introduction of quality management regulations and certification systems in 2019. In the 1990s, there was significant research on ginseng product development, and since the 2000s, studies on the pharmacological effects and clinical research of ginseng have been reported. Additionally, research on ginseng cultivation and ginseng processing industries to increase yield has been emphasized. Ginseng, as a representative medicinal crop of Korea, holds great importance for both South and North Korea. Given its significance and the potential for synergy through mutual cooperation, ginseng serves as an ideal subject for inter-Korean exchange and collaboration.

키워드

과제정보

이 연구는 (사)고려인삼학회 및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의 연구비 지원에 의하여 수행되었음.

참고문헌

  1. 권성원.주승재.박정일, 「인삼을 통한 지속가능한 남북협력방안 연구」, 「2019 통일평화기반구축과제 보고서」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2020)
  2. 김성철, 「우리의 것이 제일이야」 (평양출판사, 2020)
  3. 남북교류협력지원협회, 「북한수출상품자료집」 (2017.12)
  4. 도봉섭.심학진.임록재, 「조선식물도감 3」, (과학원출판사, 1958)
  5. 목성균, 「북한 인삼재배 현황과 남북협력사업 추진 방향」, 「제3회 통일약학심포지엄 프로시딩」 (통일약학연구회, 2019.6.26.)
  6. 목성균 외, 「북한의 인삼재배 현황과 전망」, 고려인삼학회 춘계학술대회(2003)
  7. 박정일, 「개성인삼을 중심으로 한 남북협력사업 방안」, 「제3회 통일약학심포지엄 프로시딩」 (통일약학연구회, 2019)
  8. 박종희, 「한국약초도감」 (신일북스, 2004)
  9. 배기환, 「한국의 약용식물」 (교학사, 2000)
  10. 식품의약품안전처, 「대한민국약전」 제12개정 (신일북스, 2019)
  11. 식품의약품안전처, 「대한민국약전외 한약(생약)규격집」 제16판 (신일북스, 2021)
  12. 유혜현.주승재.박정일, 「서울시의회 용역과제 최종보고서 : 남북 보건의료 교류협력 방안 연구 - 의약품을 중심으로」, 한양대에리카산학협력단, 2021
  13. 윤금성, 「의약품생산의 품질관리」, 평양: 과학백과사전출판사, 2019
  14. 이경순 외 공저, 「남.북한산 생약의 생물학적.생약학적비교연구」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2000)
  15. 이우철, 「한국 식물명의 유래」 (일조각, 2005)
  16. 임록재 외, 「조선식물지 4」 (과학출판사, 1976)
  17. 「경제식물자원사전」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89)
  18. 임록재 외, 「조선약용식물(원색)」 (농업출판사, 1993)
  19. 임록재 외, 「조선식물지 5」 (과학기술출판사, 1998)
  20. 임록재 외, 「조선약용식물지 2」 (농업출판사, 1998)
  21. 임록재 외, 「조선식물원색도감 1」 (과학백과사전출판사, 2000)
  22. 장일무, 「한국인삼산업사」, ((주)한국인삼공사, 2018)
  23.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약전위원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약전」 제8판, (과학백과사전출판사, 2018)
  24. 최정철, 「조선상품(Korean Commodities)」 (조선국제무역촉진위원회, 2019)
  25. 최태섭, 「필수약품」 (세계보건기구전통의학협동연구중심, 2002)
  26. 평화문제연구소, 「조선향토대백과」 (과학백과사전출판사, 2004)
  27. 한국인삼사편찬위원회, 「한국인삼사」 증보판 ((주)한국인삼공사, 2002)
  28. 김현정, 「북한의 지리적 표시제 인식 및 현황 연구」, 「한국과 국제사회」 4 (2020).
  29. 주승재, 「세종실록을 통해 본 고려인삼」, 「인삼문화」, 3 (2021).
  30. 최명신 등, 「남.북한 약전에 대한 비교조사연구」, 「약제학회지」 34 (2004).
  31. 하응백, 「한국 인삼시의 전개와 의미망」, 「인삼문화」, 제4권,(고려인삼학회, 2022)
  32. 개성 인삼 농협, http://www.ginsam.com
  33.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 지식정보시스템, http://www.nature.go.kr
  34. 두산백과, http://www.doopedia.co.kr
  35. 연합뉴스, "북한 경공업 특화대학 고려성균관 인삼상품개발 박차", 20150815
  36. 연합뉴스, "北 외화벌이 수단 건강보조식품, 알고보니 '중금속 투성이'"20160628
  37.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38. 한국의약품수출입협회, http://www.kpta.or.kr
  39. 한국전통지식포탈, http://www.koreantk.com
  40. 북한 신문 : 「로동신문」, 「민주조선」 (이상 본문 [표 2] 참조), 「교육신문」 (20021128, 20091231)
  41. 북한 잡지, 학술지 : 「고려의학」, 「과학원통보」, 「기술혁신」, 「기초의학」, 「김일성종합대학학보」생명과학, 자연과학, 「민족문화유산」, 「내과」, 「발명공보」, 「식료공업」, 「예방의학」, 「의학」, 「조선약학」, 「조선의학」, 「천리마」(이상 본문 [표 3]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