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고려인삼

Search Result 2,890,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Proper Understanding and Globalization Strategy of Korean Ginseng (고려인삼의 약리효능의 올바른 이해와 세계화 전략)

  • Seong, Nak-Sul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1.10a
    • /
    • pp.4-4
    • /
    • 2011
  • 고려인삼의 학명은 Panax ginseng으로 그리스 어원을 해석하면 '모든 질병을 치료 할 수 있는 약재'이다. 본 발표에서는 첫째, 고려인삼의 약리효능에 대한 과학적인 연구 결과를 소개해 고려인삼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둘째, 국제인삼시장의 현황과 중앙정부의 지원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고려인삼은 재배기간인 4~6년 소요되고 수삼, 백삼, 홍삼, 태극삼, 흑삼의 형태로 사용된다. 고려인삼은 사포닌, 알칼로이드, 다당체 등을 함유하고 있으며 생리활성의 유효성분은 ginsenoside로 알려져 있다. 고려인삼의 ginsenoside는 약 35종이 알려져 있고 각 ginsenoside에 따라 항아토피, 알츠하이머 예방, 항당뇨, 면역 증강효과를 보이고 있으며 아직도 그 효능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고려인삼의 국제거래가격은 캐나다산의 4.8배, 중국산의 5.5배이고 토지 임차료는 미국, 중국의 약 5배, 캐나다의 2.6배이며 인건비는 중국의 13배에 달하나 수량성은 10a 당 450~600kg으로 미국 캐나다(800~1,000kg), 중국(950~1,250kg)의 수량성 보다 낮다. 고려인삼의 산업적 발전을 위해 중앙정부는 생산기반, 유통구조, 안전성, 과학화를 포함한 중장기적인 계획을 수립하고, 이에 따라 다양한 지원시책을 준비하고 있다.

  • PDF

인삼 가공식품 개발

  • Lee, Bu-Yong
    • Bulletin of Food Technology
    • /
    • v.15 no.4
    • /
    • pp.3-16
    • /
    • 2002
  • 한국담배인삼공사의 민영화에 따라 인삼의 공익적 연구기능을 수행해 왔던 한국인삼연초연구원이 한국담배인삼공사의 중앙연구원으로 흡수되어 민간연구소화 되면서 공익적 인삼연구기관의 공백 상태가 되었다. 이에 한국을 대표하는 상품인 고려인삼의 공익적 연구를 수행할 인삼연구기관의 설립 필요성 및 방안에 대한 관계 부처 협의에 따라 한국식품개발연구원(정부출연 연구기관)에 2002년 11월부로 인삼연구단이 발족하게 되었다. 한식연의 인삼연구단은 2003년 순수 인삼관련 연구비로만 12억을 확보하고 앞으로 "고려인삼의 효능에 대한 우수성의 과학적 입증과 품질차별화", "인삼 가공 연구와 가공산업 활성화 및 수출촉진", "인삼 및 인삼제품류 고품질 유지를 위한 유통 및 품질관리 기술 확립", "국제경쟁력 강화를 위한 인삼 및 인삼제품류의 규격기준 설정" 등의 연구를 수행하여 고려인삼을 한국을 대표하는 세계 초일류상품으로 발전시킬 것입니다.

  • PDF

새로운 인삼 기능성식품 개발

  • Lee, Bu-Yong
    • Bulletin of Food Technology
    • /
    • v.15 no.4
    • /
    • pp.17-28
    • /
    • 2002
  • 한국담배인삼공사의 민영화에 따라 인삼의 공익적 연구기능을 수행해 왔던 한국인삼연초연구원이 한국담배인삼공사의 중앙연구원으로 흡수되어 민간연구소화 되면서 공익적 인삼연구기관의 공백 상태가 되었다. 이에 한국을 대표하는 상품인 고려인삼의 공익적 연구를 수행할 인삼연구기관의 설립 필요성 및 방안에 대한 관계 부처 협의에 따라 한국식품개 발연구원(정부출연 연구기관)에 2002년 11월부로 인삼연구단이 발족하게 되었다. 한식연의 인삼연구단은 2003년 순수 인삼관련 연구비로만 12억을 확보하고 앞으로 "고려인삼의 효능에 대한 우수성의 과학적 입증과 품질차별화", "인삼 가공 연구와 가공산업 활성화 및 수출촉진", "인삼 및 인삼제품류 고품질 유지를 위한 유통 및 품질관리 기술 확립", "국제경쟁력 강화를 위한 인삼 및 인삼제품류의 규격기준 설정" 등의 연구를 수행하여 고려인삼을 한국을 대표하는 세계 초일류상품으로 발전시킬 것입니다.

  • PDF

자원식물로부터 미생물을 이용한 고부가가치 기능성 물질의 대량생산

  • Yang, Deok-Chun;Kim, Se-Hwa;Min, Jin-U;In, Jun-Gyo;Lee, Beom-Su;Kim, Jong-Hak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8.11a
    • /
    • pp.37-51
    • /
    • 2008
  • 인삼은 재배적지에 대한 선택성이 매우 강한 식물이며, 기후 토양 등의 자연환경이 적당하지 않으면 인삼의 생육이 곤란하고, 생육이 가능하더라도 생산된 인삼의 형태, 품질 및 약효에서 현저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인삼의 식물학적 특성이 우리나라에서는 최적의 환경조건으로 인정되어 고려인삼은 세계적으로 최고의 품질로 높이 평가되는 이유이다. 하지만 실질적인 인삼의 생리활성물질에 대한 연구는 서구열강 및 일본에 의해 대다수 연구, 발표되었으며 또한 인삼의 우수성을 인정하여 넓은 영토와 수많은 과학적 지식으로 고려인삼의 우수한 품질을 앞서가려 하고 있는 것이 현실정이다. 특히 중국의 넓은 인삼재배면적에서 값싸게 생산된 인삼이 한국시장을 위협하고 있으며, 미국과 캐나다에서 수많은 연구비를 투자하여 자국삼인 화기삼의 홍보를 대대적으로 함으로서 전세계의 인삼시장의 변화를 유도하고 있고, 호주, 뉴질랜드에서도 청정인삼을 내세워 한국 및 전세계 인삼시장을 잠식해가고 있다. 이런 변화에 의하여 한때 인삼의 종주국으로 전세계의 인삼시장을 석권했던 한국의 고려인삼이 과거의 위상을 점차 잃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인삼재배면적이 경쟁국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열세인 한국의 고려인삼이 선택할수 있는 방법은 비록 생산은 적더라도 고부가가치인삼을 생산하여 명품화로 가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명품화를 위해서는 우선 고려인삼의 효능을 밝혀 고기능성을 입증해야하고, 재배생산단계에서부터 농약, 중금속등에 노출되지 않고 병에 자유로운 청정재배를 통해 명품화를 이룩해야 하며, 특히 제품의 생산 및 유통단계에서 표준화를 통해서 전세계의 소비자가 믿고 사용할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인삼에만 함유된 인삼사포닌(ginsenoside)은 배당체로서 여러 미생물에 의하여 당사슬이 끊어짐으로서 새로운 사포닌이 등장하게 되는데 이러한 사포닌이 각종 함암, 면적, 치매, 관절등에 탁월한 효능을 보임으서 많은 연구들이 진행중에 있으며, 특히 인삼에만 함유된 것으로 알고 있었던 ginsenoside가 돌외(한약재명 칠엽담)에도 함유되어 있고 일부 성분은 미생물을 통해서 변환시킴으로 서 값비싼 인삼사포닌을 생장이 빠르면 비교적 값싼 돌외 사포닌으로부터 생산할수 있게 되었다. 본 세미나에서는 각종 미생물을 이용하여 인삼의 사포닌을 변환시키고 돌외 사포닌인 gypenoside를 ginsenoside로 변환시켜 대량생산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Multiple Functional Effects of Korea Ginseng on Vascular Endothelial Cells

  • Kim, Young-Myeong;Lee, Young-Chul
    • Proceedings of the Ginseng society Conference
    • /
    • 2006.05a
    • /
    • pp.13-17
    • /
    • 2006
  • 다양한 연구에 따르면, 고려인삼은 허약한 체질, 숙취, 폐경과 월경불순, 초기 당뇨병, 영양실조, 빈혈 및 단백질 부족, 간기능 악화, 각종 독성물질에 기인한 중독, 피로, 추위, 스트레스, 산후조리, 체력쇠퇴 등에 효능이 있음이 알려져 있다. 특히 고려인삼은 혈관 기능을 효과적으로 조절함으로 고혈압, 뇌졸중, 심근경색, 동맥경화, 관절염, 당뇨, 비만 등의 질환을 효과적으로 치료하거나 예방할 수 있는 효능이 있음이 최근 연구에 의하여 밝혀지고 있다. 그러나 고려인삼 약리효능의 표적분자(target molecule)나 생화학적 작용기전(biochemical mechanism)이 세포 및 분자 수준에서 규명되지 못하여 고려인삼이 의약품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건강식품으로 분류되고 있어 소비가 한인 흑인 히스패닉 시장에 한정되고 있고, 최근에는 타 경쟁국 인삼에 비해 수출 경쟁력이 약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고려인삼 추출물과 효능성분이 혈관내피세포 기능조절에 미치는 효능 및 작용기전을 규명하여 고려인삼이 호발성 혈관질환에 대한 예방 및 치료 효능이 있음을 분자 및 유전자 수준에서 확인하고자 하였다.

  • PDF

Strategies for Channel Innovation of True Korea Ginseng Distribution Using Genuine Guarantee System (진품확인시스템을 활용한 고려인삼 유통혁신전략)

  • 권혁인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v.25 no.4
    • /
    • pp.171-177
    • /
    • 2001
  • Lately, the Korean ginseng was confronted with the sale crisis in world markets from the various circumstance. One of important difficulties is overspreading of Korean ginseng imitative in foreign markets. In Korean markets also, chinese ginseng was imported illegally and manufactured as Korean ginseng, which was resulted inthe damage of Korean ginseng brand. The most essential problem is misunderstanding of Korean ginseng 。 s information in the foreigner. In this paper, we developed a genuine guarantee system to identify the true Korean ginseng through internet and geographic cording system of Korean ginseng products. This system can be applied to the enforcement of Korean ginseng sale to international markets.

  • PDF

Analysis of Obstacles in the Export Process of Korean Ginseng (고려인삼 수출과정에서의 장애요소 분석 - 중국, 홍콩, 대만에 대한 고려인삼 수출을 중심으로)

  • Hongjian Lin
    • Journal of Ginseng Culture
    • /
    • v.6
    • /
    • pp.116-134
    • /
    • 2024
  •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issues in Korean ginseng exports through analyzing the ginseng market. Therefore, the study examined the current ginseng production status in South Korea and China, the major ginseng-producing countries in Northeast Asia, including cultivated areas, harvested areas, and production volumes. For South Korea, specific data on ginseng, such as average prices, operating costs, and production costs, were compiled to demonstrate the production competitiveness of Korean ginseng from a production perspective. Furthermore, as major ginseng-exporting countries, South Korea, China, and Hong Kong's export trends, including export quantities, export values, and export prices, as well as crucial export items and tariff rates, were summarized to showcase the export competitiveness of Korean ginseng. Additionally,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consumption patterns of ginseng in China, Hong Kong, and Taiwan by presenting various cases and events in these countries. Based on information related to production, export, and consumption, this study identified obstacles in the ginseng export process, including market downturns, weakened price competitiveness of Korean ginseng, increased market share of competing products like Chinese and Western ginseng, a lack of promotion and marketing, and insufficient development and export of various ginseng products. In response, strategies for overcoming these obstacles were proposed, including diversifying exports, establishing effective production systems, enhancing quality and branding, strengthening promotion and marketing efforts, and developing various ginseng products.

인삼관련 국내 특허동향

  •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 Bulletin of Food Technology
    • /
    • v.18 no.2
    • /
    • pp.59-87
    • /
    • 2005
  • 한국식품연구원의 인삼연구단은 2003년 발족 이래 "고려인삼의 효능에 대한 우수성의 과학적 입증과 품질차별화", "인삼 가공 연구와 가공산업 활성화 및 수출촉진", "인삼 및 인삼제품류 고품질유지를 위한 유통 및 품질관리 기술 확립", "국제경쟁력 강화를 위한 인삼 및 인삼제품류의 규격기준 설정" 등의 연구를 수행하여 고려인삼을 한국을 대표하는 세계 초일류상품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본 문은 인삼분야 국내외 특허동향을 각국별로 기술별로 분류하여 산업적 활용 현황을 분석한 보고서의 일부로서 향후 계간 식품기술지를 통해 국가별로 연재하고 하고자 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