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Characteristics of 'Scientific Participation and Action' Lessons designed by Preservice Teachers: Focusing on the Analysis of Lesson Plans about N oise Issue

초등 예비교사들이 설계한 '과학적 참여와 실천' 수업의 특징 - 소음 문제에 대한 교수학습 과정안 분석을 중심으로 -

  • Chang, Jina (National Institute of Education, 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
  • Na, Jiyeon (Chuncheo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장진아 (싱가포르 난양공과대학교 국립교육원) ;
  • 나지연 (춘천교육대학교 과학교육과)
  • Received : 2024.01.09
  • Accepted : 2024.01.15
  • Published : 2024.01.31

Abstract

It has recently be emphasized in science education that lessons that can develop "scientific participation and action" should be implemented to scientifically recognize various problems and respond to them as well as risks that occur in real lif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scientific participation and action lessons as perceived by the preservice primary school teachers. To do that, the researchers collected and analyzed the lesson plans designed by the preservice teachers based on the achievement standard related to noise for grades 3-4 in 2022 revised science curriculum. Focusing on the stages of "problem recognition,"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and "implementation and sharing," the results identity the four main characteristics as problem-solving activity, inquiry activity, investigative activity, and activity that encourages practical actions. The two or three features were found to be combinated in a lesson depending on its context. In some cases, only one feature was seen in a lesson. Based on the results,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teacher education for implementing scientific participation and action.

최근 과학교육에서는 실생활에서 발생하는 여러 문제나 위험에 대해서 과학적으로 인식하여 대응할 수 있는 '과학적 참여와 실천' 역량을 기를 수 있는 수업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 예비교사들이 설계한 '과학적 참여와 실천' 수업의 특징을 살펴보기 위하여, 예비교사들이 작성한 교수학습 과정 안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초등학교 3~4학년군에 제시된 '소음'과 관련한 성취기준에 대해서 예비교사들이 설계한 교수학습 과정안을 수집하고, '문제 인식', '자료수집 및 분석', '실행 및 공유' 관점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 예비교사들이 설계한 교수학습 과정안에서는 '문제해결형', '탐구형', '조사형', '행동촉구형' 활동이라는 4가지 특징이 도출되었다. 이렇게 도출된 4가지 특징들은 다양한 수업의 맥락에 따라 2~3가지 특징이 함께 결합되기도 하고, 한 수업에서 한 가지 특징만 나타나는 경우도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초등학생을 위한 과학적 참여와 실천 수업을 설계하는 교사들을 조력하기 위한 시사점을 교수학습 방법적 측면과 교사교육적 측면으로 나누어 논의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2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22S1A3A2A01088439).

References

  1. 교육부(2021).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주요사항의 신구 대비표. 세종: 교육부.
  2. 교육부(2022).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22-33호 [별책 9].
  3. 김가형, 이현주(2017). 지역사회연계 미세먼지 교육프로그램이 중학생들의 이슈에 대한 이해와 시민으로서의 인성과 가치관 함양에 미치는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7(6), 911-920. https://doi.org/10.14697/JKASE.2017.37.6.911
  4. 나지연, 장병기(2018). 초등학생의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함양을 위해 예비 초등교사들이 작성한 수업과정안의 특징. 초등과학교육, 37(1), 54-65.
  5. 맹승호, 이관희(2022). 과학 학습 언어의 문법적 특성을 고려한 초등학생의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 고찰. 초등과학교육, 41(1), 30-43.
  6. 서미림, 정은영(2023). 초등학생의 디지털 소양 함양을 위한 예비 초등교사의 과학 수업 실행 탐색. 과학교육연구지, 47(2), 127-138. https://doi.org/10.21796/JSE.2023.47.2.127
  7. 송진웅, 강석진, 곽영순, 김동건, 김수환, 나지연, 도종훈, 민병곤, 박성춘, 배성문, 손연아, 손정우, 오필석, 이준기, 이현정, 임혁, 정대홍, 정종훈, 김진희, 정용재(2019). 미래세대를 위한 '과학교육표준'의 주요 내용과 특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9(3), 465-478. https://doi.org/10.14697/JKASE.2019.39.3.465
  8. 윤수진(2010). 항공기 소음소송에 있어서의 위험에의 접근이론에 대한 검토. 환경법연구, 32(2), 223-245.
  9. 이윤정, 장신호(2023). 과학 관련 사회적 쟁점 기반 과학수업 연구의 특징 분석. 초등과학교육, 42(1), 127-148.
  10. 이종혁, 유금복, 이선경(2021). 과학교육에서 '참여와 실천'을 추구하는 융복합 활동으로서 SSI(과학기술관련 사회쟁점)의 교육적 접근: ANT(행위자-네트워크 이론) 관점의 제안. 문화와 융합, 43(10), 765-787.
  11. 이현주, 장현숙(2011). 과학과 관련된 사회.윤리적 문제(SSI) 교육 프로그램이 예비 과학 교사들의 SSI 교수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교과교육학연구. 15(4), 913-932. https://doi.org/10.24231/RICI.2011.15.4.913
  12. 장진아, 조형미, 권오남, 정용재(2017). 모바일 기반 문제해결학습 설계 및 실행 과정에서 교사가 경험하는 실천적 고민과 선택: 초등 과학⋅수학 영재 사례를 중심으로. 교사교육연구, 56(4), 519-536. https://doi.org/10.15812/TER.56.4.201712.519
  13. 장진아, 박준형, 나지연(2020). 초등 예비교사들의 모바일 기반 과학 문제해결 과정에서 형성된 규범의 특징: 디지털 시민성의 관점으로. 초등과학교육, 39(1), 40-53.
  14. 장진아, 임인숙, 박준형(2021). 일반 시민의 과학적 참여와 실천 사례 연구: 미세먼지 문제 대응 활동을 중심으로. 과학교육연구지, 45(2), 201-218. https://doi.org/10.21796/JSE.2021.45.2.201
  15. 전승준, 곽영순, 고훈영, 이영식, 최성연(2017). 미래 사회한국인의 과학소양에 대한 요구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7(3), 441-452. https://doi.org/10.14697/JKASE.2017.37.3.441
  16. Bardsley, D. K. (2007). Education for all in a global era? The social justice of Australian secondary school education in a risk society. Journal of Education Policy 22, 493-508. https://doi.org/10.1080/02680930701541691
  17. Barnett, R. (2012). Learning for an unknown future. Higher Education Research & Development, 31(1), 65-77.
  18. Brundl, M., Romang, H. E., Bischof, N., & Rheinberger, C. M. (2009). The risk concept and its application in natural hazard risk management in Switzerland. Natural Hazards and Earth System Sciences, 9(3), 801-813. https://doi.org/10.5194/nhess-9-801-2009
  19. Merriam, S. B. (1998). Qualitative research and case study applications in education. San Francisco, CA: Jossey-Bass Publishers.
  20. OECD. (2018). The future of education and skills: Education 2030. Position Paper.
  21. Hagop, A. Y. (2018). Scientific literacy for democratic decision-mak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40(3), 308-327. https://doi.org/10.1080/09500693.2017.1420266
  22. Hung, W. (2009). The 9-step process for designing PBL problems: Application of the 3C3R model. Educational Research Review, 4(2), 118-141.
  23. Jacobs , C. L., Martin, S. N., & Otieno, T. C. (2008). A science lesson plan analysis instrument for formative and summative program evaluation of a teacher education program. Science Education, 92(6), 1096-1126. https://doi.org/10.1002/sce.20277
  24. KOFAC. (2019). Scientific Literacy for All Koreans: Korean Science Education Standards for the Next Generation. Seoul: KOFAC.
  25. Renn, O., Klinke, A., & Van Asselt, M. (2011). Coping with complexity, uncertainty and ambiguity in risk governance: a synthesis. Ambio, 40(2), 231-246. https://doi.org/10.1007/s13280-010-0134-0
  26. Roth, W. M., & Barton, A. C. (2004). Rethinking Scientific Literacy. NY: Psychology Press.
  27. Schenk, L., Hamza, K. M., Enghag, M., Lundegard, I., Arvanitis, L., Haglund, K., & Wojcik, A. (2019) Teaching and discussing about risk: Seven elements of potential significance for science edu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41(9), 1271-1286.
  28. Schwab, K. (2016).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송경진 역(2016). 클라우스 슈밥의 제4차 산업혁명. 서울: 새로운 현재.
  29. Zint, M., & Peyton, R. B. (2001). Improving risk education in grades 6-12: A needs assessment of Michigan, Ohio, and Wisconsin science teachers. The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32(2), 46-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