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urvey on the Installation Status of Plant-label in Elementary Schools: Focusing on Gwangju·Jeollanam-do

초등학교에 설치된 식물이름표 현황 조사연구 - 광주·전남권을 중심으로 -

  • 김태현 (인하대학교사범대학부속중학교) ;
  • 홍문기 (광주교육대학교)
  • Received : 2023.11.21
  • Accepted : 2023.12.06
  • Published : 2024.01.31

Abstract

Thirty-five elementary schools in Gwangju and Jeollanam-do were surveyed on the installation status of plant labels. As a result of a comprehensive evaluation of the installation and condition of the plant labels, 12 out of 35 elementary schools were evaluated as "excellent," 13 as "good," and 8 as "insufficient." In some cases, various types of plant labels were installed on various types of plants and were updated continuously, indicating that the school members recognize the plant labels as an important educational tool. Meanwhile, some schools did not have a single plant label. Although plant labels were installed, instances occurred where they were neglected without continuous maintenance and management. Some plant labels were produced and installed by specialized companies, leading to errors in content or inadequate post-installation management, thereby compromising the school landscape. Therefore, we propose an alternative-allowing schools to independently produce and install plant labels. This approach preserves the school's uniqueness, and the process of producing and installing sustainable plant labels becomes an active educational tool.

광주광역시 및 전라남도 소재 초등학교 35곳을 대상으로 하여 식물이름표 설치 현황을 조사하였다. 식물이름표의 설치 여부 및 상태 등을 종합하여 평가한 결과, 35개 초등학교 중 12곳이 '우수'한 것으로, 13곳은 '양호'한 것으로, 그리고 8곳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소재지나 역사, 부지 면적, 구성원 규모 등은 식물이름표의 현황이나 상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진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양한 종류의 식물들에 여러 유형의 식물이름표를 설치하고 계속적으로 갱신함으로써 해당 학교가 식물이름표를 중요한 교구로서 인식하고 있다는 인상을 주는 경우가 있던 반면, 단 하나의 식물이름표도 설치돼 있지 않은 학교들도 있었다. 또한, 식물이름표가 설치돼 있긴 하였으나 지속적인 유지·관리가 이뤄지고 있지 못한 채 방치되고 있는 사례들도 있었다. 전문업체에 의뢰하여 식물이름표를 제작·설치한 사례들도 있었으나 그 내용에 오류가 있거나 설치 이후 제대로 관리되질 못해 되려 학교의 경관을 훼손하고 있는 사례들도 있었다. 이에, 학교별 개성을 살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속가능한 형태의 식물이름표를 제작하고 설치하는 과정 자체를 교육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식물이름표를 자체적으로 제작하고 설치하는 것을 제안하는 바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3년 광주교육대학교의 국립대학육성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References

  1. 강기원, 김용문(1998). 충남.공주지역 초등학교의 조경수목 식재현황과 학교원 관리 실태분석. 한국식물.인간.환경학회지, 1(2), 17-24.
  2. 강미영, 문현식, 주정운, 김소전, 허무룡(2020). 경상남도 거제시 초등학교 학교정원의 식재 현황. 한국도서연구, 32(1), 173-187.
  3. 고인규, 박현철(2020). 초등학교 수목 현황 조사 및 개선 방향 연구: 세종지역을 중심으로. 실과교육연구, 26(3), 119-132.
  4. 교육부(2022).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22-33호.
  5. 권오상, 강혜정, 정학균, 김창길(2016). PMP 최적화 모형을 이용한 기후변화 대응 작물전환 분석. 농촌경제, 39(2), 1-27. https://doi.org/10.36464/JRD.2016.39.2.001
  6. 김상영, 송남희(2007). 식물 이름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인지도와 그들이 사용하는 식물 분류 기준. 초등과학교육, 26(1), 41-48.
  7. 김수연, 윤평섭, 조준희, 김범준, 박상원, 김태진, 임성애 (2005). 생태교육을 고려한 일신초등학교 조경설계. 한국식물.인간.환경학회지, 8(4), 65-72.
  8. 김오성, 정연옥, 박중춘(2001). 초등학교 화단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운영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식물.인간.환경학회지, 4(3), 31-39.
  9. 김지나, 주은정(2021). 어포던스를 활용하여 학교 가는 길의 일상적 경험을 생태적 경험으로 전환하기. 환경교육, 34(4), 377-394. https://doi.org/10.17965/KJEE.2021.34.4.377
  10. 김춘수, 이율경, 박강은(2007). 서부 경남 지역의 초등학교에 식재된 목본 식물 분석. 초등과학교육, 26(3), 329-340.
  11. 김현주, 김민주, 임채성(2022). 초등학생의 관찰 능력과 과학 창의성의 관계 분석: 야외 식물 관찰 학습 사례를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 41(4), 593-615.
  12. 김효남(2018). 초등학교 과학에서 자연체험학습자료 개발과 적용효과에 대한 정성적 분석. 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 24(2), 16-30.
  13. 박현진, 고현국, 권동택(2023). 생태전환교육에 관한 체계적 문헌 고찰.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4), 887-901.
  14. 방광자, 박성은, 강현경, 주진희(2000). 자생식물 교육을 통한 학교 환경교육 개선에 관한 기초연구: 서울시 마포구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3(1), 10-19.
  15. 안웅상, 김대신, 윤영석, 고석형, 김권수, 조인숙(2019). 한라산 구상나무 공간적 고사패턴 분석을 통한 고사원인 추정: 기후변화에 따른 토양수분 과다 가능성 제안.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1(1), 1-28. https://doi.org/10.5532/KJAFM.2019.21.1.1
  16. 양혜진, 김남효(2015). 미래 교실환경 개선을 위한 초등학교 교실구성 분석.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5(2), 121-131. https://doi.org/10.17280/JDD.2015.15.2.013
  17. 유인선, 김기대(2016). 귀화식물을 중심으로 한 초등학생 환경생태교육프로그램 개발. 한국초등교육, 27(3), 263-279. https://doi.org/10.20972/KJEE.27.3.201609.263
  18. 이재영, 김아연(2005). 학교숲이 초등학생의 학교와 자연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효과. 환경교육, 18(2), 90-100.
  19. 이한진(2022). 2022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의 생태전환교육 적용 방안.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18), 79-94.
  20. 정대현(2015). 교육공간으로서의 숲, 그 의미의 탐색: 하리 숲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생태유아교육연구, 14(2), 1-24.
  21. 정찬미, 백경미, 최규리(2019). 생물다양성을 주제로 한 가족형 예술체험기반 과학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현장과학교육, 13(3), 181-202. https://doi.org/10.15737/SSJ.13.3.201908.181
  22. 정태열, 박금미(2022). 학교숲 이용목적을 고려한 수목의 수종과 수량에 관한 연구: 대구광역시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한국경관학회지, 14(2), 31-54.
  23. 정현모(2001). 학교숲의 환경교육적 활용에 대한 연구.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9(2), 125-137.
  24. 조성미, 박미정(2023). 생태전환교육 도입을 위한 가정과 교과서의 생태시민성 내용 요소 분석.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35(2), 1-20.
  25. 조충규(2018). 학교숲 수목현황과 개선방안: 의령군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업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주은정(2018). 초등교사들의 학교 안 자연 기반 생태교육 실행연구에서 나타난 생태교육 PCK 확장 과정. 환경교육, 31(1), 1-22. https://doi.org/10.17965/KJEE.2018.31.1.1
  27. 주은정, 김재근(2013). 초등학생의 식물에 대한 경험 분석 및 생태적 소양과의 관계. 초등과학교육, 32(4), 404-414.
  28. 최락연, 김재근, 홍문기(2016). 교정 및 학교 주변 식물을 활용한 기공 관찰 탐구의 교육적 활용. 현장과학교육, 10(2), 195-206. https://doi.org/10.15737/SSJ.10.2.201606.195
  29. 허명, 차원경(2010). 초.중.고등학교 학생들의 식물 분류에 관한 오개념 빈도와 흥미도 연구. 생물교육, 38(1), 1-14. https://doi.org/10.15717/BIOEDU.2010.38.1.1
  30. 홍문기, 남보은(2021). 초등학교 교정활용 생태.인성교육의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한 조사연구. 인성교육연구, 6(2), 211-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