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비무장지대 출토 군화의 형태 복원을 위한 3차원 디지털 기술의 적용 및 보존처리

Application and conservation of 3D technology for the restoration of the original shape of military boots excavated in the DMZ

  • 오승준 (한서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연구센터) ;
  • 위광철 (한서대학교 문화재보존학과)
  • OH Seungjun (The Research Center of Conservation Science for Cultural Heritage, Hanseo University) ;
  • WI Koangchul (Dept. of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Hanseo University)
  • 투고 : 2023.01.18
  • 심사 : 2023.05.24
  • 발행 : 2023.06.30

초록

국방부 유해발굴단을 통해 발굴된 한국전쟁 전사자 유품의 보존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3D 기술의 적용과 가역성 및 안정성이 우수한 보존 재료를 이용해 군화류 2점에 대한 보존처리를 진행하였다. 3D 스캐닝과 모델링을 통해 군화를 신었던 전사자의 발 사이즈를 추정해 볼 수 있었으며, 이를 기반으로 3D 출력 구조체를 이용해 원형을 복원하였다. 원형 복원은 출토 유품의 오염물 제거와 유연제 처리 작업을 거쳐 구조체의 형태로 복원하였으며, 열화되어 찢겨지거나 멸실된 부분은 접합 및 메움처리 후 고색처리를 통해 원형을 복원하였다. 보존처리 후 2종의 군화 모두 밑창과 발등 부분은 고무류, 발등 일부와 발목 부분은 합성가죽류로 제작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방수 또는 방한의 목적으로 제작되어 1944년에 도입된 모델 Shoe Pac(M-1944, 12-inch) 방한화와 유사한 군화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보존처리를 통해 출토된 유품의 제작기법과 재질, 용도 등을 밝혀낼 수 있음을 확인한 연구로서 과학적 보존처리와 3D 기술의 융합적 연구의 중요성을 보여준 사례이다.

Preservation processing for two combat boots was executed through application of 3-dimensional digital technology and with use of preservation materials providing outstanding reversibility and stability. The aim of this was to establish a method to preserve the relics of fallen Korean War soldiers that had been excavated by the soldiers remains excavation corps of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It was possible to estimate the foot size of the soldiers who would have worn the combat boots via 3-dimensional digital scanning and modeling of the boots. In this process, the original form of the combat boots was restored through the use of 3D-printed structures. The original form was restored through a process of removing contaminants from the excavated relics and performing a conditioning treatment, and through use of an antique-color treatment after bonding and filling in the sections that had been ripped or deteriorated. Following the aforementioned preservation processes,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at both of the combat boots had soles and top sections made of rubber, and portions of the top section and ankle section of the boots were made of synthetic rubber. As such, it was confirmed that these were similar to the Shoe Pac(M-1944, 12-inch) winter boots that had been manufactured for the purposes of waterproofing and/or protection against cold, and introduced in 1944. Such results confirmed that it is possible to discover the manufacturing techniques, materials, and uses of relics excavated through application of preservation processing, thereby illustrating the importance of the convergent research of scientific preservation processing and 3-dimensional digital technology.

키워드

참고문헌

  1. 김태산.김희동, 2018, 「군부대 문화재 관리 및 보존에 관한 연구」, 「군사과학논집」 69(1), pp.1~17. https://doi.org/10.18852/bdak.2019.17.2.69
  2.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 2017, 「6.25전사자 유품 자료집 2」,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 유품분석실」, pp.218~219.
  3. 박민선.오승준.이호연.위광철, 2022, 「6.25전쟁 전사자 유품의 과학적 보존: 지상작전사령부 소장 지역유품 중심으로」, 「보존과학회지」 38(2), pp.144~153.
  4. 양의진.이희수.이준현.장보영.위광철, 2021, 「대전 보훈공원 전시실 소장 6.25 전사자 유품의 과학적 보존처리」, 「문화재보존연구」 18, pp.122~132.
  5. 양해원.이승연.박민선.이호연.위광철, 2020, 「6.25 전사자 유해 발굴 현장 수습 유품의 과학적 조사 및 보존처리」, 「문화재보존연구」 17, pp.96~107.
  6. 양해원, 2021, 「가죽 보존처리에 관한 연구」, 한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25~28.
  7. 윤지원, 2021, 「비무장지대(DMZ), 화살머리고지 유해발굴사업의 의미와 성과」, 「군사저널」 9, pp.43~47.
  8. 조석근, 2009, 「6.25전사자 유해발굴사업이 함의한 정신적 가치 연구」, 「군사」 71, pp.291~319. https://doi.org/10.29212/mh.2009..71.291
  9. 조하늬.남도현.김미현.이재성, 2021, 「비무장지대 한국전쟁 전사자 유해발굴 수습 철제 총기류의 보존처리와 탈염처리 방법 고찰」, 「보존과학회지」 37(6), pp.821~830. https://doi.org/10.12654/JCS.2021.37.6.19
  10. 주경배, 2014, 「6.25전쟁 전투지역별 전사자 유해발굴 현황과 질적 역량강화에 관한 연구」, 「군사연구」 137, p.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