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pproaches to Creating a Digital Encyclopedia of Korean Archaeology

한국고고학 디지털 사전 구축 방안 연구

  • LEE Chorong (Research Division of Archaeology,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이초롱 (국립문화재연구원 고고연구실)
  • Received : 2023.02.10
  • Accepted : 2023.05.18
  • Published : 2023.06.30

Abstract

Although we have entered the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there is currently no system that efficiently collects, manages, integrates, and services a large number of archaeological digital source materials produced as a result of cultural relics research, i.e., an intelligent integrated management and service platform for archaeological academic information. In this regard, the need to build a digital dictionary of Korean archaeology was confirmed by examining the problem of the Digital Encyclopedia of Korean Archaeology, which is currently available in PDF format on the web, the current status of the publication and use of the Dictionary of Korean Archaeology, and the cases of building digital platforms at home and abroad.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suggest a general direction for creating a digital encyclopedia of Korean archaeology based on the Dictionary of Korean Archaeology, which includes quality knowledge information, to reconsider the accessibility of archaeological data in conformity with data access limitations. The application of the series Dictionary of Korean Archaeology, published since 2001, and the necessity for digital transformation were examined, as well as the application of data from the archaeological data archiving platforms of Europe, the USA, Japan, and cases of establishing platforms corresponding to specialized encyclopedias from Korea. Based on these, a three-step implementation plan and detailed projects were suggested to create the Digital Encyclopedia of Korean Archaeology. Through this, we proposed the design of metadata for computerized records and the expansion to semantic (meaning-based) data that gives and shows the relationship information between the produced metadata as the implementation tasks to build the Digital Dictionary of Korean Archaeology. It is hoped that such research will help create an integrated intelligent management and service platform for archaeology, raise awareness, and provide a better understanding of Korean archaeology to the general public.

디지털 대전환 시대를 맞이했지만 문화유적 조사 결과 생산되는 수많은 고고 디지털 원천 자료를 효율적으로 수집·관리·통합·서비스할 수 있는 활용체계, 즉 고고학술정보의 지능형 통합관리·서비스 플랫폼은 부재한 상황이다. 이와 관련하여, 현재 웹에서 PDF형태로 서비스되고 있는 한국고고학사전의 단순 전산화(Digitization) 문제와 한국고고학사전 발간 및 활용 현황 등을 통해 '한국고고학 디지털 사전 구축'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료 접근의 한계와 어려움에 따른 고고학술 데이터 접근성 제고와 고품질의 지식정보 제공을 중심으로 한 '한국고고학 디지털 사전 구축'의 전반적인 방향을 제안하였다. 2001년부터 발간하고 있는 한국고고학사전의 활용 현황을 분석하여 디지털 전환의 필요성을 확인하였고, 유럽, 미국, 일본 등 국외 고고학 데이터 아카이빙 플랫폼과 국내 전문사전과 관련한 플랫폼 구축 사례를 검토하여 데이터의 체계적인 관리와 보존, 활용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한국고고학 디지털 사전 구축'을 위한 실행 과제로서 전산화된 기록물에 대한 메타데이터 설계와 생산된 메타데이터 간의 관계 정보를 부여하고 보여주는 시맨틱(semantic, 의미 기반) 데이터로의 확장 등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 고고학술정보의 지능형 통합관리·서비스 플랫폼 구축과 이에 따른 한국고고학에 대한 대중의 관심과 이해를 한 단계 높일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국립문화재연구원(NRICH-2205-A59F-1)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으며, 국립문화재연구원이 발간한 『고고학술정보 디지털 대전환』 국제학술심포지엄 발표문과 『한국고고학사전 활용방안 연구』 보고서 내용의 일부를 수정·보완한 결과이다.

References

  1. 강경표, 2020, 「온.오프라인 통합형 백과사전 구축 사례 연구 -「한국민속대백과사전」을 중심으로-」, 「박물관학보」 38, p.86.
  2. 강동석, 2022, 「한국고고학사전의 대전환, GIS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구축」, 「고고학술정보 디지털대전환」 국제학술심포지엄 자료집, 국립문화재연구원, pp.172~173.
  3. 국립문화재연구소, 2001, 「韓國考古學事典」, p.ii.
  4. 국립문화재연구원, 2022, 「한국고고학사전 활용방안 연구」 최종보고서, p.194.
  5. 국립문화재연구원, 2022, 한국고고학사전 활용방안 연구, p.200.
  6. 김현.강혜원, 2022, 「고고학술정보 데이터 아카이빙 전략과 구현 방안 -한국고고학사전의 디지털 전환을 위한 시맨틱 데이터 아카이브 제안-」, 「고고학술정보 디지털대전환」 국제학술심포지엄 자료집, 국립문화재연구원, pp.126~133.
  7. 서해숙, 2010, 「符籍의 역사문화적 가치와 체계화」, 「지방사와 지방문화」 13(2), p.506.
  8. 아나벨 리 엔리케즈(Annabel Lee Enriquez), 2022, 「Arches의 고고학술정보」, 「고고학술정보 디지털대전환」 국제학술심포지엄 자료집, 국립문화재연구원, p.56.
  9. 이초롱, 2022, 「고고 학술정보 구축의 어제와 오늘 -한국고고학사전 구축 사업을 중심으로-」, 「고고학술정보 디지털대전환」 국제학술심포지엄 자료집, 국립문화재연구원, p.8.
  10. 이혜림, 2018, 「국가 고고학 데이터 디지털 아카이브 개발을 위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8(2), pp.9~10.
  11. 최인화, 2022, 「디지털고고학 활성화 방안 연구 -유럽 사례를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18.
  12. 타카타 유이치(高田祐一).호 소연(扈 素姸), 2022, 「일본 전국의 유적을 검색하다」, 「고고학술정보 디지털대전환」 국제학술심포지엄 자료집, 국립문화재연구원, pp.33~34.
  13. 홍승모, 2022, 「고고학술연구정보 활용플랫폼 구축 방안」, 「고고학술정보 디지털대전환」 국제학술심포지엄 자료집, 국립문화재연구원, p.150.
  14. 국립문화재연구원 문화유산 지식e음, https://portal.nrich.go.kr(접속일: 2023.01.20.).
  15. 국립민속박물관 한국민속대백과사전, https://folkency.nfm.go.kr(접속일: 2023.01.20.).
  16. 국사편찬위원회 조선왕조실록, https://sillok.history.go.kr(접속일: 2023.01.20.).
  17. 奈良文化財硏究所 全国遺跡報告総覧, https://sitereports.nabunken.go.jp(접속일: 2023.01.20.).
  18.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인명사전, https://search.i815.or.kr/dictionary/main.do(접속일: 2023.01.20.).
  19. 두피디아 백과사전, https://www.doopedia.co.kr(접속일: 2023.01.20.).
  20. My Water 물정보포털, https://www.water.or.kr/encyclopedia/encyclopedia/waterEncyclopedia_list.do(접속일: 2023.01.20.).
  21.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https://www.heritage.go.kr/main/?v=1675045030420(접속일: 2023.01.20.).
  22. ARIADNE PORTAL, https://portal.ariadne-infrastructure.eu(접속일: 2023.01.20.).
  23. ads, https://archaeologydataservice.ac.uk(접속일: 2023.01.20.).
  24. tDAR, https://core.tdar.org(접속일: 2023.01.20.).
  25. arches, https://www.archesproject.org(접속일: 2023.01.20.).
  26. 특허청 한국전통지식포탈, https://www.koreantk.com/ktkp2014(접속일: 2023.01.20.).
  27. 한국고전번역원 고전용어 시소러스, http://thesaurus.itkc.or.kr(접속일: 2023.01.20.).
  28. 한국 기록유산 Encyves,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EB%8C%80%EB%AC%B8(접속일: 2023.01.20.).
  29. 한국문화정보원 예술지식백과, https://www.culture.go.kr/knowledge/encyclopediaList.do(접속일: 2023.01.20.).
  30. 한국미술 다국어 용어사전, https://www.gokams.or.kr:442/visual-art/art-terms/glossary/art_view.asp?idx=192(접속일: 2023.01.20.).
  31.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왕조실록사전, http://waks.aks.ac.kr/rsh/?rshID=AKS-2007-AEZ-3101(접속일: 2023.01.20.).
  32.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ac.kr(접속일: 2023.01.20.).
  33.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http://www.grandculture.net(접속일: 2023.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