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Science Lessons with Educational Game Content on the Science-related Attitudes of Elementary Students: Focusing on Games for Learning the Domains of Motion and Energy

교육용 게임 콘텐츠를 활용한 과학 학습이 초등학생들의 과학 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운동과 에너지 영역을 학습할 수 있는 게임을 중심으로 -

  • Received : 2023.09.18
  • Accepted : 2023.10.24
  • Published : 2023.11.30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utilizing educational game content for science learning on science-related attitudes. The content was applied to 24 students in an after-school science club at an elementary school in Gyeongsangbuk-do Province followed by a pre and posttest analysis using the Attitude About the Relevance of Science Test and the Creative Personality Test. This study used Tino's Journey, which was developed by the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and is currently distributed for free through the Ministry of Education to develop nine lessons that include scientific scenarios and concepts presented in the game.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science lessons utilizing educational game content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science-related attitudes of the students. Among the subdomains, enjoyment of science lessons increased the most followed by the attitude toward scientific inquiry, social meaning of science, and hobby of science. However, the commonness of scientists, acceptance of scientific attitudes, and career in science did not reveal significant differences. This study classified the students into two groups (i.e., high and low, n=12 each) using the Creative Personality Test in advance. This study performed covariate analysis with the score for pre-science-related attitude as the covariate. Result revealed that the scores for science-related attitude significantly differed between the high and low groups. Specifically, the increase in the scores of the low group was larger than that of the high group. Lastly, the study presented implications for the utilization of educational game content in science learning.

본 연구에서는 교육용 게임 콘텐츠를 과학 학습에 활용한 후 과학 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경상북도에 소재한 초등학교의 방과 후 과학 탐구 동아리 학생 24명을 대상으로 적용하였고 과학 관련 태도 검사지와 창의적 인성 검사지를 활용하여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활용한 교육용 게임 콘텐츠는 한국콘텐츠진흥원에서 개발하고 현재 교육부를 통해 무료로 배포하고 있는 <티노의 여행>이라는 것으로 게임에 등장하는 과학적 상황과 개념을 포함한 9차시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 결과 교육용 게임 콘텐츠를 활용한 과학 수업은 학생들의 과학 관련 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 중 과학 수업의 즐거움 영역이 가장 큰 폭으로 상승하였으며, 이어서 과학 탐구에 대한 태도 영역, 과학의 사회적 의미 영역, 과학에 대한 취미 영역이 그 뒤를 따랐다. 하지만 과학자의 평범성, 과학적 태도의 수용, 과학에 대한 직업 영역은 유의미한 결과를 내지 못했다. 한편 사전 창의적 인성 검사지를 활용하여 학생을 12명씩 상, 하 유형의 2그룹으로 나누었고 사전 과학 관련 태도 점수를 공변인으로 하여 공변량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적으로 창의적 인성의 상 하 수준별 과학 관련 태도 점수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하 유형에 속한 학생들의 점수 증가폭이 상 유형에 속한 학생들보다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교육용 게임 콘텐츠를 과학 학습에 활용하는 것에 대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명희, 장지은, 윤성혜(2015). 로봇키트 활용 교육이 중학생의 창의적 인성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8(4), 37-57.
  2. 김경희, 서민희, 이빛나(2022). TIMSS 결과에 나타난 수학 및 과학 정의적 태도와 성취도의 관계. 교육평가연구, 35(4), 763-786.
  3. 김영주, 김혜진, 이정년, 황민철(2017). 보상이 초등학생의 게임 사용 습관에 미치는 영향.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17(2), 27-34. https://doi.org/10.7583/JKGS.2017.17.2.27
  4. 김나영(2015). 교육용 게임 개발 시 고려해야 할 게임의 유익한 요인들에 관한 연구.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28(2), 53-61. https://doi.org/10.22819/KSCG.2015.28.2.005
  5. 김예림, 장혜원(2020). 가상현실공간게임을 활용한 수학 수업이 공간감각과 수학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6학년 쌓기나무 단원을 중심으로. 학교수학, 22(1), 51-68.
  6. 김종안(2000). 초등 아동용 창의적 인성검사의 타당화 연구. 창의력교육연구, 3(1), 55-77.
  7. 김형욱(2020). 아두이노의 여러 센서를 이용한 '중력 가속도 측정장치' 만들기 발명 교육 프로그램이 초등과학영재 학생들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및 과학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7), 1101-1122.
  8. 나지연(2023). 놀이에 관한 국내.외 과학교육 연구 동향 분석: 초등과학교육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 42(1), 34-46.
  9. 박승억(2022). 대학 기초교육과정에서 과학 커뮤니케이션에 관하여. 교양학 연구, 19, 7-32.
  10. 박은영, 서유리(2014). 직업체험을 위한 게임콘텐츠 및 인터페이스 개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0(3), 263-272.
  11. 박형민(2020). 어플리케이션 기반 생물 관찰 기록 학습이 초등학생들의 과학 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과학교육, 39(2), 307-322.
  12. 성진숙(2003). 과학에서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영향을 미치는 제 변수 분석: 확산적 사고, 과학 지식, 내.외적 동기, 성격 특성 및 가정 환경. 열린교육연구, 11(1), 219-237.
  13. 신문승, 문정표(2018). 창의적 문제해결력(CPS) 프로그램이 초등영재의 창의성 신장과 과학탐구능력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12), 479-496.
  14. 유은주, 소금현(2016). 게임을 활용한 과학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 학습 동기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과학교육연구지, 40(2), 103-115. https://doi.org/10.21796/JSE.2016.40.2.103
  15. 윤명숙, 김남희, 박완경(2014). 중학생의 인터넷게임중독에 미치는 게임 및 가족, 여가요인의 영향. 청소년학 연구, 21(4), 309-337.
  16. 이상호, 황옥철(2020). e스포츠의 본질: 놀이, 게임, 스포츠와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59(1), 29-38.
  17. 이지현, 정은영(2022). 중학교 과학과 생명 영역의 교육용 게임 개발: '자극과 반응' 단원을 중심으로. 현장과학교육, 16(2), 256-272. https://doi.org/10.15737/SSJ.16.2.202205.256
  18. 이재진(2020). 교육용 3D 게임에 활용된 판타지 유형과 학습자들의 판타지경향성이 과학 학습과 학습 도구 사용에 미치는 효과.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6(2), 283-309.
  19. 이향숙, 정수정, 윤정진(2022). 영유아교사의 창의적 인성영향요인에 대한 메타분석. 인문사회21, 13(2), 407-420.
  20. 장진아, 나지연(2022). 증강현실 기반의 안내된 과학탐구 프로그램 개발에서 초등 예비교사들은 무엇에 중점을 두고, 어떤 어려움을 겪는가?. 초등과학교육, 41(4), 725-739.
  21.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2015). 어린이 놀이헌장. Retrieved May 30, 2023 from https://www.gwe.go.kr/mbshome/mbs/kr/subview.do?id=kr_061001000000
  22. 조다연, 김효정(2020). 게이미피케이션에 기초한 시각디자인 수업이 고등학교 1학년의 학습 동기 및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디자인학연구, 33(2), 215-229.
  23. 조제희, 우애자(2017). 개방형 탐구를 경험한 예비과학교사의 과학 지식의 본성에 대한 이해와 과학 탐구에 대한 태도 변화. 대한화학회지, 61(5), 263-276. https://doi.org/10.5012/JKCS.2017.61.5.263
  24. 채희인, 노석구(2013). STEAM 활동이 초등학생의 과학탐구능력 및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과학교육연구지, 37(3), 417-433. https://doi.org/10.21796/JSE.2013.37.3.417
  25. 한신, 김형범(2019). 블록형 코딩프로그램을 활용한 지구과학 수업에서 학생들의 컴퓨팅 사고력에 대한 인식 및 과학적 태도 변화 연구.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2(2), 131-140. https://doi.org/10.15523/JKSESE.2019.12.2.131
  26. 홍성희, 최미숙(2015). 유아의 내외적 동기 및 대인문제해결이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 열린부모교육연구, 7(3), 107-122.
  27. 홍현정, 배진호, 소금현(2015). STEAM 기반 야외체험학습 프로그램이 초등학생들의 과학탐구능력 및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생물교육, 43(4), 344-354. https://doi.org/10.15717/BIOEDU.2015.43.4.344
  28. Aleman, A., Bocker, K. B., & de Haan, E. H. (1999). Disposition towards hallucination and subjectiveversus objective vividness of imagery in normal subject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27(4), 707-714. https://doi.org/10.1016/S0191-8869(98)00270-0
  29. Amabile, T. M. (1996). Creativity in context: Update to the social psychology of creativity. Boulder, CO: Westview.
  30. Asgari, M., & Kaufman, D. (2010). Does fantasy enhance learning in digital games? In D. Kaufman & L. Sauve (Eds.), Educational gameplay and simulation environments: Case studies and lessons learned (pp. 84-95). Hershey, PA: IGI Global.
  31. Bunchball, Inc. (2010). Gamification 101: An introduction to the use of game dynamics to influence behavior. White Paper, 9.
  32. Caillois, R.(2001). Man, Play and Game. (M. Barash, Trans.). Chicago: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33. Cordova, D. I., & Lepper, M. R. (1996). Intrinsic motivation and the process of learning: Beneficial effects of contextualization, personalization, and choic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8(4), 715.
  34. Csikszentmihalyi, M. (1996). Creativity: Flow and the psychology of discovery and Invention. New York: Harper Collins.
  35. Dewey, J. (1995). 경험과 교육. (강윤중 역). 배영사. (원저출판 1983).
  36. Dichev, C., & Dicheva, D. (2017). Gamifying education: What is known, what is believed and what remains uncertain: a critical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in Higher Education, 14, 9.
  37. Dickey, M. D. (2015). Aesthetics and design for game-based learning. Milton Park, Abingdon, Oxon: Routledge.
  38. Dumbrajs, S., Helin, P., Karkkainen, H., & Keinonen, T. (2011). Towards meaningful learning through inquiry. Eurasian Journal of Physics and Chemistry Education, 3(1), 39-55.
  39. Ferguson, R., Coughlan, T., Egelandsdal, K., Gaved, M., Herodotou, C., Hillaire, G., Jones, D., Jowers, I., Kukulska-Hulme, A., McAndrew, P., Misiejuk, K., Ness, I. J., Rienties, B., Scanlon, E., Sharples, M., Wasson, B., Weller, M., & Whitelock, D. (2019). Innovating Pedagogy 2019: Open University Innovation Report 7. Milton Keynes: The Open University.
  40. Fraser, B. J. (1978). Development of a test of science-related attitudes. Science Education, (62), 509-515.
  41. Hasmawati, R., Sukartiningsih, W., & Bachri, B. S. (2018). Developing science and creativity through the water playing exploratory game. Advances in Social Science, Education and Humanities Research, 212, 72-75.
  42. Holland, D., & Lachicotte, W. (2007). Vygotsky, Mead, and the new sociocultural studies of identity. In H. Daniels, M. Cole, & J. V. Wertsch (Eds.), The Cambridge companion to Vygotsky (pp. 101-135). New York, NY, US: Cambridge University Press. 
  43. Hughes, F. P. (2014). 놀이와 아동발달(제4판). (유미숙, 박영애, 유기효, 방은령, 장현숙, 천혜숙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원저출판 2009)
  44. Johnson, L., Adams Becker , S., Estrada, V., & Freeman, A. (2014). NMC Horizon Report: 2014 Higher Education Edition. Austin, Texas: The New Media Consortium.
  45. Johnson, M. K., & Raye, C. L. (1981). Reality monitoring. Psychological Review, 88(1), 67-85. https://doi.org/10.1037/0033-295X.88.1.67
  46. Kapp, M. K. (2016). 게이미피케이션, 교육에 게임을 더하다. (권혜정 역). 서울: 에이콘 출판(주). (원저출판 2012).
  47. Malone, T. W., & Lepper, M. R. (1987). Making learning fun: A taxonomy of intrinsic motivations for learning. In R. E. Snow & M. J. Farr (Eds.), Aptitude, learning, and instruction: III. Conative and affective process analyses (pp. 223-253). Hillsdale, NJ: Erlbaum.
  48. Marti-Parreno, J., Mendez-Ibanez, E., & Alonso-Arroyo, A. (2016). The use of Gamification in education: A bibliometric and text mining analysis. Journal of computer assisted learning, 32(6), 663-676. https://doi.org/10.1111/jcal.12161
  49. Moll, L .C. (2014). Vygotsky and education. New York, NY: Routledge.
  50. Mumford, M. D. & Gustafson, S. B. (1988). Creativity syndrom: Integration, application, and innovation. Psychological Bulletin, 103, 27-43. https://doi.org/10.1037/0033-2909.103.1.27
  51. Partnership for 21st Century Skills. (2010). Framework for 21st century learning. Retrieved January 5, 2023, from http://www.p21.org/about-us/p21-framework
  52. Robinson, N. M., Reis, S. M., Neihart, M., & Moon, S. M. (Eds.). (2002). The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of gifted children: What do we know? Waco, TX: Prufrock Press.
  53. Sliogeris, M., & Almeida, S. C. (2019). Young children's development of scientific knowledge through the combination of teacher-guided play and child-guided play.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49(6), 1569-1593. https://doi.org/10.1007/s11165-017-9667-6
  54. Tessier, J. (2010). An inquiry-based biology laboratory improves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attitudes about science. Journal of College Science Teaching, 39(6), 84-90.
  55. Thomas, D., & Brown, J. S. (2013). 공부하는 사람들: 놀이하듯 공부하는 새로운 인류의 탄생. (송형호, 손지선 역). 서울: 라이팅하우스. (원저출판, 2011)
  56. Tobin, K. (1990). Research on science laboratory activities: in pursuit of better questions and answers to improve learning.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0(1), 403-418. https://doi.org/10.1111/j.1949-8594.1990.tb17229.x
  57. Trilling, B., & Fadel, C. (2012). 21st century skills: Learning for life in our times. (KEDI, Trans.). Hoboken, NJ: John Wiley & Sons. (Original work published 2009).
  58. Vygotsky, L. S. (2004). Imagination and creativity in childhood. Journal of Russian and East European Psychology, 42(1), 7-97. https://doi.org/10.1080/10610405.2004.11059210
  59. Wadsworth, B. J. (2004). Piaget's theory of cognitive and affective development. Boston, MA: Allyn & Bacon.
  60. Webb, J. T. (1993). Nurturing social-emotional development of gifted children. In K. A. Heller , F. J. Monks, & A. H. Passow (Eds.), International handbook for research on giftedness and talent (pp. 525-538). Oxford, England: Pergamon Press.
  61. Wilson, K. A., Bedwell, W. L., Lazzara, E. H., Salas, E., Burke, C. S., Estock, J. L., Orvis, K. L., & Conkey, C. (2009). Relationships between game attributes and learning outcomes. Simulation & Gaming, 40(2), 217-266. https://doi.org/10.1177/1046878108321866
  62. Woodman, R. W., Sawyer, J. E., & Griifin, R. W. (1993). Toward a theory of organizational creativity.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8(2), 293-321. https://doi.org/10.2307/258761
  63. World Economic Forum. (2017). The Global risks report 2017. Retrieved December 5, 2022, from https://www.weforum.org/reports/the-global-risks-report-2017
  64. Zichermann, G., & Linde, R. J. (2013). The Gamification Revolution: How Leaders Leverage Game Mechanics to Crush the Competition. McGraw Hill Professional.
  65. Prensky, M. (2007). Digital game-based learning. MN: Paragon Hou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