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Sabaek-san Extract on Skin Damage Recovery in Atopic Dermatitis-induced Mice

사백산추출물의 아토피피부염 유발 백서에서의 피부장벽 손상 회복 효과

  • Ahn Sang Hyun (Dept. of anatomy, College of Korean Medicine, Semyung University) ;
  • Kim Ki Bong (School of Korean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 안상현 (세명대학교 한의과대학 해부학교실) ;
  • 김기봉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 Received : 2023.10.23
  • Accepted : 2023.11.22
  • Published : 2023.11.30

Abstract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confirm the effect of Sabaek-san extract on the recovery of skin damage in atopic dermatitis-induced mice. Methods In this study, we used 4-week-old NC/Nga mice that were assigned to four groups: control (Ctrl), lipid barrier elimination (LBEG), dexamethasone (Dx) administration after lipid barrier elimination (DxAG), and Sabaek-san extract administration after lipid barrier elimination (SBAG). Ten rats were assigned to each treatment group. After drug administration for 3 days following lipid barrier elimination, ceramide kinase, caspase 14, sodium hydrogen antiporter (NHE), cathelicidin, claudin, and Toll-like receptor (TLR2) were observed to confirm restoration of skin moisturizer production, antimicrobial barriers, and tight junctions in the skin barrier. Results Ceramide kinase and caspase 14 positive reaction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BAG group than in the LBEG or DxAG groups. NHE and cathelicidin showed a higher positive reaction in the SBAG group than in the LBEG and DxAG groups. Claudins and TLR2 showed a higher positive reaction in the SBAG group than in the LBEG or DxAG groups.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Sabaek-san extract may have the potential to restore damaged skin barrier in atopic dermatitis.

Keywords

Ⅰ. Introduction

아토피피부염 (Atopic dermatitis)은 알레르기 비염이나 천식과 같은 질환과 자주 동반되는 만성 염증성 질환이다1). 아토피피부염은 소아 유병률이 높으며, 건조감, 소양증, 홍반성 습진을 특징으로 한다2,3). 최근에는 정신적 스트레스, 환경 및 대기오염, 잘못된 식생활 습관 등으로 인하여 소아에서 발병한 아토피피부염이 성인까지 지속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4).

많은 아토피피부염 환자들이 심한 가려움과 함께 홍반, 부종, 삼출, 인설 등의 증상을 호소하는데, 이러한 아토피피부염의 발병 원인은 유전적 원인과 환경적 원인, 면역학 이상 반응, 피부 장벽 이상 등이 다양하게 고려되고 있다5,6). 본 연구는 이 중 피부장벽의 기능이 상과 연관되어 제시되고 있는 세라마이드 감소, 항균펩타이드 감소, 밀착연접 (tight junction) 이상 등이 아토피피부염에서 주요한 병인들이라 생각하였으며7), 이러한 병인들이 한약으로 유효한 치료효과를 얻을 수 있는지 집중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한의학에서는 아토피피부염을 태선 (胎癬), 내선 (奶癬) 등으로 표현하였으며8), 습진, 습창 (濕瘡) 등의 표현에도 포함된다9). 이러한 아토피피부염은 미처 태열이 없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외부의 풍열 (風熱)이 침입하거나 내부에 습열 (濕熱)이 쌓여 발병하므로8), 치법으로는 청열이 주된 치법이며, 아울러 거풍 (祛風), 양혈윤조 (養血潤燥)하는 치법이 사용되기도 한다9).

사백산 (瀉白散)은 小兒藥證直訣에 나오는 처방으로, 지골피 (地骨皮, Lycium chinense Mill), 상백피 (桑白皮, Morus bombycis Koidzumi), 감초 (甘草, Glycyrrhiza uralensis Fisch)의 3가지 약물로 구성되어져 있다. 사백산은 청사폐열 (淸瀉肺熱), 평천지해 (平喘止咳)하는 효과가 있어 임상현장에서는 폐열해수 (肺熱咳嗽), 피부열증 (皮膚熱症), 오후발열 (午後發熱) 등의 열증 (熱症)에 많이 사용된다10). 사백산에 대한 연구를 보면, 항염증 효과가 있으며11), 손상된 피부장벽 회복을 통하여 T helper type 2 (Th2) cells 분화를 조절한다는 보고도 있다12). 또한 사백산은 염증반응을 완화시켜 아토피피부염 치료 효과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13).

본 연구는 사백산추출물의 피부상피 손상 완화, ceramide kinase와 caspase 14 변화를 통한 피부보습인자 생성 회복, sodium hydrogen antiporter (NHE)와 cathelicidine 변화를 통한 항균장벽 회복, claudin과 Toll-like Receptor 2 (TLR2) 변화를 통한 밀착연접 회복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사백산추출물이 아토피피부염에서 손상된 피부장벽의 환경을 회복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보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Ⅱ. Materials and Methods

1. Materials

1) 실험동물

자바이오 (JA-Bio, Seoul, Korea)에서 분양 받은 태령 4주 수컷 NC/Nga계 생쥐를 사용하였다. 결과 평가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주관적 편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2주동안 적응시킨 후 체중 16 ± 1 g으로 선별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군은 대조군 (Control, Ctrl), 지방장벽제거군 (lipid barrier elimination group, LBEG), 지방장벽제거 후 dexamethasone 투여군 (dexamethasone (Dx) administration group after lipid barrier elimination, DxAG) 그리고 지방장벽제거 후 사백산추출물 투여군 (Sabaek-san extract administration group after lipid barrier elimination, SBAG)으로 나누었고, 각각 10마리씩 배정하였다. 실험기간동안 행동행태를 관찰하여 공격적 과잉행동 및 회피행동 개체를 선정에서 제외하였다.

모든 군의 생쥐들은 23–25 °C, 55 ± 10% 습도, 12 h 명암 주기에서 사육되었고, SAFE-40+RMM (SAFE, France) 및 filtered tap water의 식이를 자유롭게 제한없이 제공하였다. 동물실험은 세명대학교 동물실험윤리위원회의 승인 (IACUC No. smecae 21-08-01) 후 실시되었고, 기타 실험실 동물의 관리와 사용에 대해서는 미국 국립보건원 (NIH) 가이드라인에 따라 시행되었다.

2) 실험약물

본 실험에서 사용한 사백산은 바른한약 (Barunhanyak, Seoul, Kore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사백산 (20g, 상백피 (Morus alba L.) 8 g, 지골피 (Lycium chinense) 8 g, 감초 (Glycyrrhiza uralensis) 4 g) 2첩을 증류수 1000 ㎖에 넣고 3시간 동안 전탕 후 여과 (필터사이즈 5 um, Avantec No.2)하였다. 그 여액을 rotary evaporator (Eyela, Tokyo, Japan)를 이용하여 50 ㎖로 감압· 농축 후 동결건조기 (Labconco, Kansas, MO, USA)로 - 75 °C에서 건조한 추출물 4 g (수득률 10%)을 획득하였다.

사백산 추출물을 생리식염수에 희석하여 3일 동안 67 ㎎/㎏의 양을 0.2 ㎖씩 SBAG에 경구투여 하였다. 대조약물로 사용된 dexamathasone (Sigma-Aldrich)도 SBAG와 동일하게 DxAG에 67 ㎎/㎏량으로 0.2 ㎖씩 3일 동안 경구투여하였다.

2. Methods

1) 지방장벽 제거

생쥐의 피부 등쪽 부위를 전기면도기와 제모크림(Body natur, Nueil-les-Aubiers, France)을 이용하여 제모하고, Tape (3M, St. Paul, MN, USA)를 이용하여 각질층 탈락막 (desqumation) 제거하였다. 각질층의 지방장벽을 제거하기위해 10% sodium dodeecyl sulfate (SDS: Sigma-Aldrich, St. Louis, MO, USA) 500 ㎕를 면봉으로 20회 처리하였다.

2) 조직화학

피부는 vascular rinse와 10% 중성 포르말린용액 (neutral buffered formalin, NBF)으로 심장관류고정을 실시하였다. 적출된 등쪽 피부를 10% Neutral Buffered formalin에 실온 환경에서 24시간 동안 고정한 후 통상적인 방법으로 paraffin에 포매하고 5 ㎛ 두께로 연속절편을 만들었다. 약물 복용에 따른 아토피 유발 피부의 일반적인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hematoxylin and eosin staining(H&E) 염색을 통한 조직학적 구조를 관찰하였다.

3) 면역조직화학

피부의 산성도를 유지하는 관여하는 sodium hydrogen antiporter 1 (NHE1), 피부보습인자 (natural moisturizing factor, NMF), 항균펩타이드인 cathelicidine, 밀착연접 단백질인 claudin, 밀착연접에 영향을 미치는 TLR2의 면역조직학적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항 NHE1, ceramide kinase K, caspase 14, cathelicidine, claudin, 그리고 TLR2 항체를 이용한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을 실시하였다.

우선 피부절편을 proteinase K (20 ㎍/µL; Dako, Santa Clara, CA, USA)에 5분 동안 proteolysis 과정을 거친 후 1% fetal bovine serum (Sigma-Aldrich)이 포함된 10% normal goat serum (Vector Lab, Burlingame, CA, USA)에서 1시간 동안 blocking 반응을 시켰다. 1차 항체인 mouse anti-NHE (1:100, Santa Cruz Biotechnology Inc, Santa Cruz, CA, USA), mouse anti-ceramide kinase (1:100, Santa Cruz Biotechnology Inc.), mouse anti-caspase 14 (1:100, Santa Cruz Biotechnology Inc.), mouse anti-cathelicidine (1:100, Abcam, Waltham, MA, USA), mouse anti-Claudin (1:100, Santa Cruz Biotechnology Inc.) 및 mouse anti-TLR2 (1:100, Abcam, Waltham, MA, USA)에 4 ℃ humidified chamber에서 7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2차 항체인 biotinylated goat anti-mouse Immunoglobulin G (IgG) (1:50, Santa Cruz Biotechnology Inc.)에 실온에서 24시간 link 하였고, avidin biotin complex kit (Vector Lab)에 1시간 동안 실온에서 반응시켰다. 0.05% 3,3'-diaminobenzidine과 0.01% Hydrogen chloride (HCl)가 포함된 0.05 M tris-HCl 완충용액 (pH 7.4)에서 발색시킨 후, hematoxylin으로 대조염색하였다.

4) 영상분석

면역조직화학의 결과는 image Pro 10 (Media cybernetics, Rockville, MD, USA)를 이용한 영상분석을 통해 수치화 (means ± standard error) 되었다. 각 군의 피부표본 10개를 임의로 선정한 후 x 100 배율에서 촬영한 다음 positive pixels (intensity 80 ~ 100) / 20,000,000 pixels로 영상분석하였다.

5) 통계

통계는 SPSS software (SPSS 25, SPSS Inc., Chicago, IL, USA)를 이루어졌으며, one-way ANOVA 시행을 통해 유의성 (p < 0.05)을 검증하고, 사후 검증은 Tukey HSD를 실시하였다.

Ⅲ. Results

1. 피부상피 손상 완화

손상된 피부상피의 조직화학적 관찰에서 LBEG과 DxAG에서는 가시층의 세포사이공간의 확장과 기저층 내 붕괴 바닥면주변으로 림프구 침윤 증가 등의 구조적 변화가 관찰되었다. 이에 비해 SBAG에서는 LBEG와 DxAG에 비해 피부염 손상이 줄어 있었다 (Fig. 1).

Figure 1. The mitigative effects of skin lesions by Sabaek-san extract treatment.

The Sabaek-san extract treatment relieved symptom in SBAG compared with LBEG and DxAG. Abbreviations. Ctrl, normal; LBEG, lipid barrier eliminated group; DxAG, dexamethasone (Dx) administration group after lipid barrier elimination; SBAG, Sabaek-san extract administration group after lipid barrier elimination; H&E, hematoxylin and eosin staining; EP, epithelium; Arow, Intracelluar space: Bar size, 50㎛.

2. 피부보습인자 생성 회복

Ceramide kinase 양성반응은 각질층과 과립층에서 관찰되었다. Ceramide kinase의 피부내 활성도를 평가하기 위한 ceramide kinase 양성반응은 Ctrl (11,844 ± 648 / 20,000,000 pixel)에 비해 LBEG (25,771 ± 563 / 20,000,000 pixel), DxAG (33.676 ± 1,281 / 20,000,000 pixel), 그리고 SBAG (49,633 ± 571 / 20,000,000 pixel)에서 모두 증가하였다. LBEG는 Ctrl에 비해 118% 증가하였고, DxAG는 184%, SBAG는 319% 증가하였다. SBAG의 ceramide kinase 양성반응은 LBEG에 비해 93%, DxAG에 비해 47%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Fig. 2).

Figure 2. The regeneration of normal moisturizing factor by Sabaek-san extract treatment (Ceramide kinase and caspase 14 immunohistochemistry).

The activation of Ceramide kinase and caspase 14 (arrow indicates light brown particl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SBAG as compared with LBEG and DxAG, the data of Ceramide kinase and caspase 14 image analysis showed the same results. (*, p < 0.05 compared with LBEG; #, p < 0.05 compared with DxAG) Abbreviations same as Fig. 1.

Caspase 14 양성반응은 과립층에서 관찰되었다. Caspase 14 양성반응은 Ctrl (16,131 ± 533 / 20,000,000 pixel)에 비해 LBEG (9,756 ± 306 / 20,000,000 pixel)는 감소하였고, DxAG (22,240 ± 552 / 20,000,000 pixel)와 SBAG(33,897 ± 648 / 20,000,000 pixel)는 증가하였다. LBEG는 Ctrl에 비해 40% 감소하였고, DxAG는 38%, SBAG는 648% 증가하였다. SBAG의 caspase 14 양성반응은 LBEG에 비해 247%, DxAG에 비해 52%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Fig. 2).

3. 항균장벽 회복

NHE 양성반응은 각질층과 과립층에서 관찰되었다. NHE 양성반응이 LBEG (7,465 ± 559 / 20,000,000 pixel)는 Ctrl (14,697 ± 563 / 20,000,000 pixel)에 비해 감소하였고, DxAG (23,831 ± 750 / 20,000,000 pixel)와 SBAG (32,648 ± 571 / 20,000,000 pixel)는 증가하였다. LBEG는 Ctrl에 비해 49% 감소하였고, DxAG과 SBAG는 Ctrl에 비해 각각 62%, 122% 증가하였다. SBAG의 NHE 양성반응은 LBEG에 비해 337%, DxAG에 비해 38%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Fig. 3).

Figure 3. The regeneration of anti-microbial barrier by Sabaek-san extract treatment (NHE and Cathelicidine immunohistochemistry).

The activation of NHE & Cathelicidine (arrow indicates light brown particl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SBAG as compared with LBEG and DxAG, the data of NHE and Cathelicidine image analysis showed the same results. (*, p < 0.05 compared with LBEG; #, p < 0.05 compared with DxAG) Abbreviations same as Fig. 1.

Cathelicidine 분포 변화를 면역조직화학적 염색 실시 후 영상분석을 통해 조사한 결과, cathelicidine 양성반응은 각질층과 과립층에서 관찰되었다. Cathelicidine의 피부내 분포 변화를 보면, cathelicidine 양성반응이 LBEG (16,002 ± 1,018 / 20,000,000 pixel)는 Ctrl(33,774 ± 1,264 / 20,000,000 pixel)에 비해 감소하였고, DxAG (41,615 ± 812 / 20,000,000 pixel)와 SBAG(55,250 ± 1,061 / 20,000,000 pixel)는 증가하였다. LBEG는 Ctrl에 비해 53% 감소하였고, DxAG와 SBAG는 Ctrl에 비해 각각 23%, 64% 증가하였다. SBAG의 cathelicidine 양성반응은 LBEG에 비해 245%, DxAG에 비해 33%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Fig. 3).

4. 밀착연접 회복

Claudin 양성반응은 과립층에서 관찰되었다. Claudin 양성반응은 Ctrl (21,924 ± 516 / 20,000,000 pixel)에 비해 LBEG (14,699 ± 548 / 20,000,000 pixel)는 감소하였고, DxAG (28,959 ± 637 / 20,000,000 pixel)와 SBAG(32,721 ± 746 / 20,000,000 pixel)는 증가하였다. LBEG는 Ctrl에 비해 33% 감소하였고, DxAG는 32%, SBAG는 49% 증가하였다. SBAG의 claudin 양성반응은 LBEG에 비해 123%, DxAG에 비해 13%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Fig. 4).

Figure 4. The regeneration of tight junction by Sabaek-san extract treatment (Claudin and TLR2 immunohistochemistry).

The activation of Claudin and TLR2 (arrow indicates light brown particl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SBAG as compared with LBEG and DxAG, the data of Claudin and TLR2 image analysis showed the same results. (*, p < 0.05 compared with LBEG; #, p < 0.05 compared with DxAG) Abbreviations same as Fig. 1.

TLR2 양성반응 역시 과립층에서 관찰되었다. TLR2 양성반응은 Ctrl (34,656 ± 540 / 20,000,000 pixel)에 비해 LBEG (16,451 ± 645 / 20,000,000 pixel), DxAG (24,052 ± 486 / 20,000,000 pixel), 그리고 SBAG (31,057 ± 416 / 20,000,000 pixel) 모두 감소하였다. LBEG는 Ctrl에 비해 53% 감소하였고, DxAG는 31%, SBAG는 10% 감소하였다. SBAG의 TLR2 양성반응은 LBEG에 비해 89%, DxAG에 비해 29%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Fig. 4).

Ⅳ. Discussion

아토피피부염은 피부장벽 기능이상으로 인한 염증성 피부질환의 대표적인 질환이다. 주로 영유아에서 다발하며, 한의학에서는 胎熱로 인한 열증으로 인식하였다8).

사백산은 청사폐열 (淸瀉肺熱)하는 효과가 있어 아토피피부염과 같은 염증성 피부질환의 치료제로서 가능성이 높다. 사백산은 지골피, 상백피, 감초의 세 가지 약물로 구성되어져 있다. 지골피는 淸肺熱, 退骨蒸勞熱하는 효과가 있어 咳嗽, 吐血, 煩熱口渴 등의 치료에 사용되고, 상백피는 淸肺平喘, 行水消腫하는 효능이 있어 肺熱咳嗽, 小便不利, 面目浮腫 등에 사용되며, 감초는 補脾益氣, 淸熱解毒, 調和諸藥의 효능이 있어 脾胃虛弱, 血虛 등에 사용된다14).

아토피피부염의 피부장벽 기능이상 (skin barrier dysfunction)과 연관되는 병인들은 다양하다15). 이 중 대표적인 병인으로는 각질층의 ceramides 감소16), 항균 펩타이드 감소17), 세린계 단백질분해효소 억제제 (serine proteases inhibitor) 감소18), 밀착연접 (tight junction) 이상19), filaggrin 유전자 (FLG) 돌연변이20) 등이 있다.

아토피피부염 환자는 각질층의 각질세포 사이 지질을 형성하는 주요 성분인 ceramides가 뚜렷하게 감소한다. Ceramides는 피부 각질세포 사이에 있는 대표적인 수분 보존 물질 (water-retaining molecules)이다21). Ceramides 감소는 filaggrin 분해산물인 피부보습인자의 감소와 함께 거의 모든 아토피피부염 환자에서 관찰되는 피부건조증의 주된 원인이다22). 정상 피부에서 filaggrin은 전구체인 profilaggrin 상태로 각질유리과립 내에 있다가 단백질 분해효소에 의해 분해되어 filaggrin이 된다. Filaggrin은 케라틴 섬유들을 단단하게 붙게 하여 피부장벽의 물리적 지지력을 형성한다23). Filaggrin이 탈아미노산화 되면 케라틴 섬유 사이의 접착력이 떨어지고, 분리된 filaggrin 단위체는 caspase 14, calpain, bleomycin hydrolase 등에 의해 천연보습인자(natural moisturizing factor)인 pyrrole carboxylic acid(PCA)나 trans-urocanic acid (UCA) 등의 아미노산으로 분해되어 피부 보습을 유지한다24). SBAG의 ceramide kinase와 caspase 14 양성반응이 LBEG와 DxAG에 비해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는 연구결과는 사백산추출물이 아토피피부염으로 손상된 피부보습 기능을 회복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피부의 항균장벽 기능은 피부 표면의 낮은 산성도와 피부 각질층을 구성하고 있는 각질세포 사이 지질의 투과 장벽 기능, 각질층 내 항균 펩타이드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유지된다. 이 중 항균 펩타이드는 선천면역계를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며, 중요한 구성 성분이다. 피부에서 분비되는 항균 펩타이드는 cathelicidin, Elafin, psoriasin, dermcidin, lysozyme, ribonuclease (RNase) 7, adrenomedullin 등으로 다양하다25). 이러한 항균 펩타이드는 층판소체에서 각질층으로 분비되며, 정상적인 피부 상태에서는 낮은 상태로 유지되다가 상처나 감염이 발생하면 급격히 증가하면서 피부의 항균력을 증가시킨다26). 아토피피부염 환자에서는 항균 펩타이드 발현이 감소되어 항균장벽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다27). 본 연구에서 SBAG의 cathelicidine 양성반응이 LBEG에 비해 245%, DxAG에 비해 33%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는 것은 사백산 추출물이 항균 펩타이드 발현을 증가시켜 항균장벽 기능을 회복시켜줄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아토피피부염에서 피부장벽이 손상되면 밀착연접 단백질은 각질층 손상으로 외부로부터의 알레르겐 침입에 대하여 추가적인 장벽 기능을 수행한다. 최근 연구에서 밀착연접 단백질인 claudin-1과 claudin-23이 아토피피부염 환자에서 감소되어 있는 것을 확인되었다19). 본 연구에서 SBAG의 claudin 양성반응이 LBEG나 DxAG에 비해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는 것은 사백산 추출물이 claudin을 증가시켜 밀착연접을 강화시켜 줄 수 있음을 의미한다.

피부에 있는 각질형성세포와 항원전달세포에서 선천면역 수용체가 발현되는데 이를 pattern recognition receptors라 한다. 이 중 toll like receptors (TLRs)가 일반적으로 가장 널리 알려져 있다28). 피부장벽이 손상되거나 외부로부터 균이 침입하게 되면 TLRs가 자극되어 항균 펩타이드, 사이토카인, 케모카인 등을 분비하게 되고, 밀착연접을 강화하여 추가적인 외부로부터의 균침입을 막게 된다29). 아토피피부염 환자에서는 이러한 TLR의 기능이 감소되며, 이는 혈청 Immunoglobulin E(IgE)를 증가시키고, 황색포도알균 감염이 높아지게 한다. 또한 Th2 사이토카인으로 표피의 항균 펩타이드 발현이 감소하여 아토피피부염 환자를 세균과 바이러스 감염에 취약하게 만든다28). 본 연구 결과에서 사백산추출물이 TLR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아토피피부염 환자의 저하된 TLR 기능을 회복시켜 밀착연접을 강화하고 세균과 바이러스 침투로 인한 감염 발병을 줄여줄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사백산추출물의 손상된 피부장벽 환경 회복을 통한 아토피피부염 치료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는 동물실험 연구로 제한된 연구이다. 본 연구결과를 임상현장에 직접적으로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며, 다만 사백산추출물의 아토피피부염 치료 가능성을 제시하는 정도로 볼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임상적 근거 마련을 위한 추가적인 임상연구를 기대한다.

Ⅴ. Conclusion

본 연구는 사백산추출물의 피부상피 손상 완화, ceramide kinase와 caspase 14 변화를 통한 피부보습인자 생성 회복, NHE와 cathelicidine 변화를 통한 항균장벽 회복, claudin과 TLR2 변화를 통한 밀착연접 회복을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손상된 피부상피의 조직화학적 관찰에서 SBAG는 LBEG와 DxAG에 비해 피부염 손상이 줄었다.

2. Ceramide kinase 양성반응은 SBAG는 LBEG에 비해 93%, DxAG에 비해 47%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3. Caspase 14 양성반응은 SBAG는 LBEG에 비해 247%, DxAG에 비해 52%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4. NHE 양성반응은 SBAG는 LBEG에 비해 337%, DxAG에 비해 38%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5. Cathelicidine 양성반응은 SBAG는 LBEG에 비해 245%, DxAG에 비해 33%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6. Claudin 양성반응은 SBAG는 LBEG에 비해 123%, DxAG에 비해 13%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7. TLR2 양성반응은 SBAG는 LBEG에 비해 89%, DxAG에 비해 29%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Ⅵ. Acknowledgement

이 연구는 2019년도 정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기초연구사업임 (No. NRF2019R1A2C1002443).

References

  1. Zheng T, Yu JH, Oh MH, Zhu Z. The atopic march: progression from atopic dermatitis to allergic rhinitis and asthma. Allergy Asthma Immunol Res. 2011;3(2):67-73. https://doi.org/10.4168/aair.2011.3.2.67
  2. Leung DY, Bieber T. Atopic dermatitis. Lancet. 2003;361(9352):151-60. https://doi.org/10.1016/S0140-6736(03)12193-9
  3. Schneider L, Tilles S, Lio P, Boguniewicz M, Beck L, LeBovidge J, Novak N, Bernstein D, Blessing-Moore J, Khan D, Lang D, Nicklas R, Oppenheimer J, Portnoy J, Randolph C, Schuller D, Spector S, Tilles S, Wallace D. Atopic dermatitis: a practice parameter update 2012. J Allergy Clin Immunol. 2013;131(2):295-9. https://doi.org/10.1016/j.jaci.2012.12.672
  4. Jee HM, Kim KW, Kim CS, Sohn MH, Shin DC, Kim KE. Prevalence of asthma, rhinitis and eczema in Korean children using the International Study of Asthma and Allergies in Childhood (ISAAC) questionnaires. Pediatr Allergy Respir Dis. 2009;19(2):165-72.
  5. Kim HJ, Shin JU, Lee KH. Atopic dermatitis and skin barrier dysfunction. Allergy Asthma Respir Dis. 2013;1(1):20-8 https://doi.org/10.4168/aard.2013.1.1.20
  6. Weidinger S, Novak N. Atopic dermatitis. Lancet. 2016;387(10023):1109-22. https://doi.org/10.1016/S0140-6736(15)00149-X
  7. Choi EH, Yoon NY. Pathogenesis of atopic dermatitis. J Korean Med Assoc. 2014;57(3):218-25. https://doi.org/10.5124/jkma.2014.57.3.218
  8. Im GM, Jeong HW, Kim HS, Jeong WY. Oriental medical approach on the allergic disease. J Physiol & Pathol Korean Med. 2002;16(5):831-9.
  9. Ahn KM, Kim JH, Kwon HJ, Chae YM, Hahm MI, Lee KJ, Park YM, Lee SY, Han MY, Kim WK. The prevalence of symptoms of asthma, allergic rhino-conjunctivitis, and eczema in Korean children: nationwide cross-sectional survey using complex sampling design. J Korean Med Assoc. 2011;54(7):769-78. https://doi.org/10.5124/jkma.2011.54.7.769
  10. Heo J. Donguibogam. 4th ed. Seoul: Namsandang. 1994:145.
  11. Lee DS, Choi HG, Kim KS, Kim DC, Min HK, Li B, Park JH, Oh HC, Kim YC. The comparison between Sabaek-san water and 30% EtOH extracts for anti-inflammatory effects. Yakhak Hoeji. 2012;56(4):240-7.
  12. Ahn SH, Jeong AR, Kim KB. Th2 differentiation control through formation of skin fat barrier of Sabaek-san extract. J Pediatr Korean Med. 2022;36(1):57-64.
  13. Ahn SH, Jeong AR, Kim KB. Anti-inflammatory Effect of Sabaek-san Extract through ECS Control in Atopic Dermatitis. J Pediatr Korean Med. 2022;36(3):87-96.
  14. Lee HJ. Effects of Sabaek-san on the metrix metal loproteinase-9 in the bronchial asthma mouse model. J Physiol & Pathol Korean Med. 2004;18(6):1694-8.
  15. Choi EH, Yoon NY, Kim DH, Jung M. Barrier related biomarkers of atopic dermatitis. J Skin Barrier Res. 2013;15:13-23.
  16. Melnik B, Hollmann J, Plewig G. Decreased stratum corneum ceramides in atopic individuals: a pathobiochemical factor in xerosis? Br J Dermatol. 1988;119(4):547-49. https://doi.org/10.1111/j.1365-2133.1988.tb03262.x
  17. Ong PY, Ohtake T, Brandt C, Strickland I, Boguniewicz M, Ganz T, Gallo RL, Leung DY. Endogenous antimicrobial peptides and skin infections in atopic dermatitis. N Engl J Med. 2002;347(15):1151-60. https://doi.org/10.1056/NEJMoa021481
  18. Kato A, Fukai K, Oiso N, Hosomi N, Murakami T, Ishii M. Association of SPINK5 gene polymorphisms with atopic dermatitis in the Japanese population. Br J Dermatol. 2003;148(4):665-9. https://doi.org/10.1046/j.1365-2133.2003.05243.x
  19. De Benedetto A, Rafaels NM, McGirt LY, Ivanov AI, Georas SN, Cheadle C, Berger AE, Zhang K, Vidyasagar S, Yoshida T, Boguniewicz M, Hata T, Schneider LC, Hanifin JM, Gallo RL, Novak N, Weidinger S, Beaty TH, Leung DY, Barnes KC, Beck LA. Tight junction defects in patients with atopic dermatitis. J Allergy Clin Immunol. 2011;127(3):773-86. https://doi.org/10.1016/j.jaci.2010.10.018
  20. Irvine AD, McLean WH. Breaking the (un)sound barrier: filaggrin is a major gene for atopic dermatitis. J Invest Dermatol. 2006;126(6):1200-02.
  21. Choi MJ, Maibach HI. Role of ceramides in barrier function of healthy and diseased skin. Am J Clin Dermatol. 2005;6(4):215-23.
  22. Imokawa G, Abe A, Jin K, Higaki Y, Kawashima M, Hidano A. Decreased level of ceramides in stratum corneum of atopic dermatitis: an etiologic factor in atopic dry skin? J Invest Dermatol. 1991;96(4):523-6. https://doi.org/10.1111/1523-1747.ep12470233
  23. Steinert PM, Cantieri JS, Teller DC, Lonsdale-Eccles JD, Dale BA. Characterization of a class of cationic proteins that specifically interact with intermediate filaments. Proc Natl Acad Sci U S A. 1981;78(7):4097-101. https://doi.org/10.1073/pnas.78.7.4097
  24. Harding CR, Watkinson A, Rawlings AV, Scott IR. Dry skin, moisturization and corneodesmolysis. Int J Cosmet Sci. 2000;22(1):21-52. https://doi.org/10.1046/j.1467-2494.2000.00001.x
  25. Metz-Boutigue MH, Shooshtarizadeh P, Prevost G, Haikel Y, Chich JF. Antimicrobial peptides present in mammalian skin and gut are multifunctional defence molecules. Curr Pharm Des. 2010;16(9):1024-39. https://doi.org/10.2174/138161210790963823
  26. Braff MH, Di Nardo A, Gallo RL. Keratinocytes store the antimicrobial peptide cathelicidin in lamellar bodies. J Invest Dermatol. 2005;124(2):394-400. https://doi.org/10.1111/j.0022-202X.2004.23443.x
  27. Nomura I, Gao B, Boguniewicz M, Darst MA, Travers JB, Leung DY. Distinct patterns of gene expression in the skin lesions of atopic dermatitis and psoriasis: a gene microarray analysis. J Allergy Clin Immunol. 2003;112(6):1195-202. https://doi.org/10.1016/j.jaci.2003.08.049
  28. Kuo IH, Yoshida T, De Benedetto A, Beck LA. The cutaneous innate immune response in patients with atopic dermatitis. J Allergy Clin Immunol. 2013;131(2):266-78. https://doi.org/10.1016/j.jaci.2012.12.1563
  29. Leung DY. New insights into atopic dermatitis: role of skin barrier and immune dysregulation. Allergol Int. 2013;62(2):151-61. https://doi.org/10.2332/allergolint.13-RAI-05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