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청년 1인 가구의 라이프 스타일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대인관계의 매개효과와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style and Life Satisfaction of Single-Person Youth Household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 민철기 (신한대학교 대학원 남북협력복지행정학과)
  • Cheol-gi Min (Global Convergence Welfare at Shinhan University)
  • 투고 : 2023.10.12
  • 심사 : 2023.10.24
  • 발행 : 2023.10.31

초록

본 연구는 청년 1인 가구의 라이프 스타일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고 라이프 스타일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대인관계의 매개 역할과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조절 효과의 영향 관련성 파악을 목적으로 시도한 조사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남녀 구분 없이 전국의 청년 1인 가구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 기관을 통해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520명의 대상자 중에서 총 501부를 최종결과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는 SPSS 25.0과 AMO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적용된 통계기법은 상관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다중집단 분석, 부트스트랩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청년 1인 가구의 라이프 스타일과 삶의 만족도, 대인관계는 유의한 정(+)적인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라이프 스타일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대인관계는 매개효과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과 소득 만족도에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력, 경제활동, 주택 보유 형태와 계층의식의 조절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청년 1인 가구에 대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고 다양한 공동체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is a research study aimed at finding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style and life satisfaction of single youth household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diating role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the effect of parents' social and economic status regul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style and life satisfaction.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a self-written survey of single-person youth households across the country through an online survey institution, regardless of gender, and used a total of 501 copies out of 520 subjects for final results analysi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5.0 and AMOS 25.0 programs, and the applied statistical techniques included correlation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multi-group analysis, and bootstrap.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 between lifestyle, life satisfac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f single youth household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ere found to have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style and life satisfaction. It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income and income satisfaction, but the moderating effect of education, economic activity, housing ownership type, and class consciousness was not significant.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it was intended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various community programs and institutional arrangements for single youth households.

키워드

참고문헌

  1. 최순종(2019), "청년정책의 전망과 방향성에 대한 제언", 청소년학연구, 26(1), pp. 253-273.
  2. 박지혜.장영은(2022), "1인 가구 청년의 주관적 건강 영향요인: 성차를 중심으로", 인문사회 21, 13(4), pp. 2857-2872.
  3. 이기훈(2014), 청년아 청년아 우리 청년아. 돌베개.
  4. 통계청(2022), 통계 표준용어 및 지표.
  5. Adler, A. (1927), Understanding human nature (W. B. Wolf, Trans.), New York: Fawcett Premier. (Original work published 1927)
  6. 김재철(2014), "실버서비스 유형에 대한 소비자 선호도 차이 분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Campbell, A. (1976), "Subjective measures of well-being", American Research. 34(1).
  8. 강승엽(2017), "주거환경과 고용환경이 청년 1인 가구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연구", 서울과학기술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김혜미.백승영(2021), "청년 1인 가구의 특성이 가족관계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 21, 12(6), pp. 845-856.
  10. 민충근(2021), "청년 1인 가구의 주거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Fromm, E. (1941), Escape from freedom, New York: Holt, Rinehart & Winston.
  12. Maslow, A. H. (1954), Motivation and personality. New York: Harper.
  13. Schutz, W. C. (1958), FIRO: A tree-dimensional theory of interpersonal behavior. New York: Rinehart & Company, Inc.
  14. Glasser, W. (1965), Reality therapy: A new approach to psychiatry, New York: Harper & Row.
  15. 노안영.강영신(2022), 성격심리학, 학지사.
  16. Sullivan, H. S. (1953), The interpersonal theory of psychiatry, New York, W.W. Norton.
  17. Baumeister, R. F. & Leary, M. R. (2017), "The need to belong: Desire for interpersonal attachments as a fundamental human motivation", Interpersonal development, pp. 57-89.
  18. 박희훈(2017), "대학 서열, 부모의 사회경제적 배경, 직업 지위 간의 경로분석",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주미현(2003),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청소년의 건강행위 및 심혈관질환 위험요인 분석",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 장영은(2015),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 및 인지발달에 미치는 영향 : 부모 온정성과 교육적 가정환경의 매개효과", 한국아동학회지, 36(6), pp. 1-21.
  21. 김근영.곽금주(2015), "사회.경제적 지위 (SES) 와 청소년발달을 설명하는 이론적 틀: 청소년학연구 논문 개관을 통해 본과제와 제언", 청소년학연구, 22(11), pp. 269-2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