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venting' Religion and Pseudo-religion in the 2022 National Curriculum on Religions

2022년 종교 교육과정 - 종교인 만들기와 '유사종교' 발명 교육 -

  • Received : 2023.06.28
  • Accepted : 2023.09.15
  • Published : 2023.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ritically reflect on the 2022 national curriculum on religions. The perspective of this reflection is that since the religious curriculum is meant to be a national curriculum, it should be applicable to all high school students, be shareable, and function as a place for meta-reflection regarding the proper use of the category of religion. For this purpose, I reviewed the form and content of the 2022 curriculum on religions in Section 2. The form of the 2022 curriculum on religions looks similar to the previously utilized curriculum. However, the main change is that the subject of religions was arbitrarily placed into the category of 'subjects for choosing a career.' And the 2022 curriculum on religions has two characteristics in terms of content: the orientation of 'making religious people (spiritual formation)' and the reemergence of the concept of 'pseudo-religion.' In Section 3, I delved into the orientation of 'making religious people through religious reflection'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2022 curriculum on religions. In this process, I discovered that the concept of 'reflection as a metacognitive technology,' which was the core of the prior curriculum and school education, was transformed into the concept of 'religious reflection,' and the concepts of spirituality and religiosity were also added. In Section 4, I delved into the dichotomy of 'religion and pseudo-religion.' 'Pseudo-religion' is a new focus in the 2022 curriculum on religions. In this process, I revealed that the concept of 'pseudo-religion' is a combination of an outdated administrative term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during Japan's occupation of Korea, and as such, the term is inherently value-laden and harmful. I also revealed that determining 'pseudo-religion' in school education regenerates the colonial Japanese Government-General's biased attitudes toward Korean religions and forces teachers to 'invent' (detect or personally appraise) modern day pseudo-religions through arbitrary judgements. The 'curriculum to emphasize religious reflection and detect pseudo-religions in order to create religious people' can distort the subject of religion in the national curriculum as into a 'subject for religion (promotion or degradation).' If this distortion continues, the appropriateness of curriculum on religions existing within the national curriculum will eventually become a subject of debate.

이 글의 목적은 2022년 종교 교육과정의 형태와 내용을 비판적으로 성찰하는 데에 있다. 성찰의 관점은 종교 교육과정이 국가교육과정인 이상 모든 고등학생에게 적용될 수 있어야 하고, 공유될 수 있어야 하며, 종교 범주를 활용한 성찰의 장(場)으로 기능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목적을 위해 제2장에서는 2022년 종교 교육과정의 형태와 내용을 고찰하였다. 형태상으로는 종래 교육과정과 유사하다는 점과 함께, 특히 종교 과목을 '진로선택'에 배치한 근거가 약하다고 지적하였다. 내용상 특징으로는 '종교인 만들기'라는 지향성과 '유사종교'론을 지적하였다. 제3장에서는 내용상 특징 가운데 '종교적 성찰을 통한 종교인 만들기'라는 지향성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종교인 만들기라는 지향성을 위해, 기존 교육과정의 핵심인 '메타 인지적 기술로서의 성찰' 개념을 '종교적 성찰'로 변형시키고 영성과 종교성 개념을 추가했다는 점 등을 지적하였다. 제4장에서는 내용상 특징 가운데 '종교와 유사종교'의 이분법을 고찰하였다. 이 부분에서는 '유사종교' 개념이 조선총독부의 행정 용어('종교유사의 단체')에 '해롭다는 인식'이 결합된 것이라는 점을 밝혔다. 또한 학교교육에서 '유사종교'를 판별하려는 것이 종교에 대한 조선총독부의 태도를 재생하는 것이고, 교사에게 종교와 유사종교를 판별하는 '자의적' 기준을 만들어 끊임없이 유사종교를 '발명'하게 만들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결과적으로, 2022년 종교 교육과정이 '종교적 성찰을 통해 종교인을 만들면서 유사종교를 발명하려는 교육과정'이라면, 종교 과목은 '종교를 위한 과목'이라는 시선에서 벗어나기 어렵게 된다. 게다가 이러한 시선이 정당성을 얻게 된다면 향후 사회적 논제는 종교 교육과정이 국가교육과정에 존재해야 하는지의 여부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돈구, 「어느 종교학자가 본 한국의 종교교단」, 서울: 박문사, 2017.
  2. 교육과학기술부, 《고등학교 교양교과 교육과정》(고시 제2012「3호 [별책 19]), 2012.
  3. 교육부, 《고등학교 교양교과 교육과정》(고시 제2015-74호 [별책 19]), 2015.
  4. 교육부, 《고등학교 교양교과 교육과정》(고시 제2022-33호 [별책 19]), 2022.
  5. 교육부, 《고등학교 교육과정》(고시 제2015-74호 [별책 4]), 2015.
  6. 교육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고시 제2015-74호 [별책 1], 고시: 2015. 9. 23.), 2022.
  7. 교육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고시 제2022-33호 [별책 1], 고시: 2022. 12. 22.), 2022.
  8. 김경이, <2022 개정교육과정에 따른 종교교과교육 '삶과 종교'>, 《2023 한국종교교육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한국종교교육학회. (재)청호불교문화원 불교복지문화연구소, 2023.
  9. 김광민, 「역량기반 교육의 매력과 한계」, 「도덕교육연구」 20-2, 2009.
  10. 김영은 외, 「고교학점제 대비 학생 선택권 확대를 위한 교과 교육과정 구성 방안 연구: 교양, 학교장 신설 과목 구성 방안 등」(연구보고 CRC 2021-15),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1.
  11. 니니안 스마트, 「현대종교학」, 강돈구 옮김, 서울: 청년사, 1991.
  12. 니니안 스마트, 「종교와 세계관」, 김윤성 옮김, 서울: 이학사, 2000.
  13. 우혜란, 「동시대 종교현상으로서 '유동적 종교'(Fluid Religion)에 대한 논의」, 「종교와 문화」 30, 2016.
  14. 이종철, <2022 개정교육과정에 따른 삶과 종교 교과서 문제>, 《2023 한국종교교육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한국종교교육학회.(재) 청호불교문화원 불교복지문화연구소, 2023.
  15. 장혜진, 「한국통감부시기의 '종교 선포에 관한 규칙'에 대한 일고찰」,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71, 2017.
  16. 한국종교교육학회, 《2023 한국종교교육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2023.
  17. <국가교육위원회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
  18.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9. OECD, Future of Education and Skills 2030, 2018.
  20. OECD, The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 Executive Summary, 2005.
  21. Swatos, Jr., William H. (ed.), Encyclopedia of Religion and Society, Altamira press, 1998.
  22. <朝鮮人の宗敎類似團體>, 「朝鮮及滿洲」 제179호, 1922.
  23. <朝鮮人の宗敎類似團體>, 「朝鮮及滿洲」 제180호, 1922.
  24. <朝鮮人の宗敎類似團體>, 「朝鮮及滿洲」 제181호, 1922.
  25. <宗教ノ宣布ニ關スル規則> (府令 第45号, 明治39. 11. 17, 시행 12. 1), 「官報」, 1906. 11. 27.
  26. <布敎規則> (府令 第83號, 大正4. 8. 16, 시행 大正4. 10. 1), 「朝鮮總督府官報」, 1915. 8. 16.
  27. 宮本隆範 編, 「新義真言宗智山派宗規類纂」, 東京: 智嶺新報社, 1916.
  28. 金泰勳 編, 「朝鮮及滿洲(21-30)」, 東京: 皓星社, 2001.
  29. 報知新聞社調査部 編, 「報知年鑑 昭和2年」, 東京: 報知新聞社調査部, 1927.
  30. 朝鮮総督府, 「朝鮮総督府施政年報 自大正7年度至大正9年度」, 朝鮮総督府, 1922.
  31. 朝鮮総督府, 「京畿道ノ教育ト宗教」, 朝鮮総督府, 1933.
  32. 朝鮮総督府, 「施政三十年史」, 朝鮮総督府, 1940.
  33. 青野正明, 「帝国神道の形成: 植民地朝鮮と国家神道の論理」, 東京: 岩波書店, 2015.
  34. 《京城日報》
  35. 《朝鮮新聞》
  36. 《경향신문》
  37. 《동아일보》
  38. 《마산일보》
  39. 《매일신보》
  40. 《조선일보》
  41. 《충청매일》
  42. 《국가교육과정정보센터》https://ncic.re.kr
  43. 《국가인권위원회》https://www.humanrights.go.kr
  44. 《한국사데이터베이스》http://db.history.go.kr
  45. 《한국종교교육학회》http://www.kasre.or.kr
  46. 《OECD》https://www.oecd.org
  47. 《VOECDplus》https://www.voced.edu.a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