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ase Study on the Productivity Analysis for Korean Automobile Ports

국내 자동차부두별 생산성 사례 분석

  • 한대송 ((주)케이라인마리타임코리아 부산지점 물류사업팀/항무팀) ;
  • 하도연 (한국해양대학교 KMI-KMOU 학연협동과정) ;
  • 남형식 (한국해양대학교 물류시스템학과)
  • Received : 2023.08.09
  • Accepted : 2023.09.30
  • Published : 2023.09.30

Abstract

The domestic automobile industry is growing due to favourable government policies and changing technological innovations. As the automobile industry becomes more active, the role of dedicated docks facilitating automobile exports is also becoming prominent which can be identified as a sector still requiring comprehensive research. Accordingly, a case analysis of domestic automobile port productivity was conducted using empirical data collected from Korean automobile ports to compare and analyze their productivity and to present implications based on the findings. In the case of productivity analysis, facility, labor, working time, and cost productivity were calculated from (the beginning of) 2021 to the second quarter of 2022. The results of the analysis revealed the port D to achieve the highest productivity during the study period, followed by the ports B, C, and A, respectively. Based on the current situation of each automobile dock revealed through the results, strategies for future development is derived.

국내 자동차 산업은, 과거부터 현재까지 지속적인 정부 지원 정책과 높은 기술력으로 인하여 성장하고 있다. 자동차 산업이 활발해짐에 따라, 자동차 부두의 역할 또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자동차부두와 관련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국내 자동차부두의 실증 데이터를 활용하여 국내 자동차부두 생산성 사례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내 자동차부두의 생산성 사례분석 결과를 토대로 국내 각 자동차 부두별 생산성을 비교분석하고 시사점 제시하는데 목적을 가진다. 생산성 분석의 경우 설비, 노동, 작업시간, 비용 생산성을 산출하였으며, 기간의 경우 2021년부터 2022년 2분기까지로 생산성 사례 분석을 실시하였다. 생산성 분석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 2021년부터 2022년 2분기까지 D부두가 모든 생산성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B부두,C부두,A부두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국내 자동차부두의 실제 기항 데이터를 활용한 생산성 분석으로, 각 자동차부두의 현재 상황을 파악하고 발전방향을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유의미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각 부두가 발전방향을 모색하고 보다 구체적인 전략을 수립에 기차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논문은 해양수산부 제4차 해운항만물류 전문인력양성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References

  1. 강석한(2021), 부사신항 컨테이너터미널 효율성 및 생산성 비교 분석,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45권, 제3호, 138-147 https://doi.org/10.5394/KINPR.2021.45.3.138
  2. 김동한.강형구(2020)), 국내 자동차산업의 구조 개편 방향에 관한 고찰, 한국경영교육학회, 제35권, 제6호, 229-250 https://doi.org/10.23839/kabe.2020.35.6.229
  3. 김양욱.차재웅(2020), 부산항 신항 배후단지 입주업체 특성별 생산성 비교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44권, 제6호, 509-516 https://doi.org/10.5394/KINPR.2020.44.6.509
  4. 김영보(2018), 광양항 자동차 물동량 유입의 요인 분석,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성철(2009), 우리나라 자동차산업의 수출경쟁력과 산업 내 무역 분석, 한국산업경제학회, 제22권, 제3호, 1241-1259.
  6. 김삼열.최경훈.팜티큔마이, 목포항의 효율성 및 생산성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36권, 제1호, 183-196
  7. 김학수.선일석.임실근(2015), 자동차 항만의 서비스 품질요인이 고객만족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 평택항 자동차부두를 중심으로, 한국항만경제학회, 제31권, 제4호, 91-106.
  8. 김화영(2017), 한국과 일본의 자동차 수출항만 효율성 비교 분석, 한국항만경제학회, 제33권, 제4호, 73-82.
  9. 백종실(2019), 평택당진항의 자동차 물류 크러스터 구축방안, 한국항만경제학회, 제35권, 제4호, 147-168.
  10. 서정호.공정민.남태현.여기태(2017), 국내 자동차부두 효율성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 제41권, 제3호, 127-136.
  11. 손승표.정태원(2017), 평택항 자동차 물류 현황 분석 및 진단 연구, 한국해운물류학회, 제37권 , 제4호, 735-753.
  12. 손병석.전일수.송인석(2007), 우리나라 중고자동차 수출물류혁신방안,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3집 제3호, 1-27.
  13. 이권형.최상래.정태원(2006), 인천항 수출입자동차 물류경쟁력 확보방안에 관한 연구, 유통경영학회지, 제9권, 제2호, 59-81.
  14. 이영찬.이정윤(2013), 자동차 수출의 항만 선택 요인에 관한 연구 - 완성차 수출 물류 담당자 대상 AHP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로지스틱스학회, 제21권, 제1호, 23-34.
  15. 정동원.유승훈.황삼생(2009), 자동차산업의 국민경제적 산업파급효과, 한국산업경제학회지, 제24권, 제3호, 187-209.
  16. 최형림.박남규.유동호.이선용.권해경.임성택(2006), DEA 기법을 활용한 컨테이너터미널 생산성 측정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정보학회, 제11권, 제1호, 49-57.
  17. Bojan Beskovnik and Elen Twrdy(2011), Managing maritime automobile terminals : an approach toward decision-support model for higher productivity, International journal of naval architecture and ocean engineering, Volume 3, Issue 4, 233-241. https://doi.org/10.2478/IJNAOE-2013-0067
  18. Dias, J.C.Q. Calado, J.M.F. and Mendonca, M.C.(2010), Therole of European «ro-ro» port terminals in the automotive supply chain management, Journal of Transport Geography, Vol. 18(1), 116-124. https://doi.org/10.1016/j.jtrangeo.2008.10.009
  19. Klug, F.(2006), Synchronised Automotive Logistics: An Optimal Mix of Pull and Push Principles in Automotive Supply Networks, In: M. Bourlakis et al., eds, Logistics Research Network Conference Proceedings, Newcastle, 187-191.
  20. Mettfeld, D.C. and Kopfer, H.(2003), Terminal operations management in vehicle transhipment,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A, 37, 435-452. https://doi.org/10.1016/S0965-8564(02)0003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