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이동식크레인 작업의 중대재해예방을 위한 표준 리스크 평가 지수 개발 (건설업을 중심으로)

Development of Standard Risk Indicators for the Prevention of Serious Accidents in Mobile Crane Operations (Focused on Construction Industry)

  • Jonggook Choi (Railway Safety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
  • Jongwoo Lee (Railway Safety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23.09.04
  • 심사 : 2023.09.18
  • 발행 : 2023.09.30

초록

연구목적: 이동식크레인은 높은 사망률에 기여하는 기계로 최근 6년간(2016~2021) 사고사망사례 중 건설업 2,574건을 분석한 고위험요인(SIF)정보에서 이동식크레인의 사고는 총 61건의 재해가 발생하였다. 현장의 안전대책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활용이 안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표준 리스크 평가 지수를 제시하여 사고예방에 기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전문가 면담과 사망사고 사례분석, 현장실태분석, 문헌조사를 통해 위험성평가의 4M방식의 표준 리스크 평가 지수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현장 8개현장 위험성평가를 분석한 결과 재해예방에 실질적인 기여를 할 수 없다는 결론을 얻었으며, 표준 리스크 평가 지수 방식의 개선방안으로 적용하여야 한다. 결론: 건설현장에서 표준 리스크 평가 지수방식으로 전환함으로써 안전보건관계자 및 근로자가 쉽게 이용할 수 있고 재해감소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제안한다.

Purpose: Mobile cranes are machines that contribute to high mortality, and the High Risk Factor (SIF) information, which analyzed 2,574 accidental death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in the past 6 years (2016~2021), resulted in a total of 61 mobile crane accidents. Despite safety measures in the field, it is not used properly. In this study, we present standard risk assessment indicators that contribute to accident prevention. Method: Through expert interviews, fatal accident case analysis, field analysis, and literature research, we present the standard risk assessment index method of the 4M risk assessment method. Resul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isk assessment of eight sites, it was concluded that it cannot mak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disaster prevention and should be applied as an improvement measure of the Standard Risk Assessment Index Law. Conclusion: Switching to the standard risk assessment index method at construction sites has been proposed to make it easier for health and safety personnel and workers to use, contributing to the reduction of accidents.

키워드

서론

크레인의 특성 및 사고

건설현장에서 재료를 취급하거나 올리거나 들어 올리는 것은 매우 중요한 작업이다. 건설산업은 공법의 눈부신 발전에 따른 고층화가 이루어지면서 건설장비를 이용한 양중작업이 생산성을 달성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이므로 사용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크레인은 화물의 권상과 이송을 목적으로 일정한 자재나 화물의 인양을 반복적인 동작을 위한 필수적인 건설 기계장비이다. 더불어 전 건설현장에서 초기에서 부터 준공까지 전 공종에 다양하게 사용하다 보니 건설기계장비 중에서도 재해가 특히 많이 일어나는 장비이다.

2021년 ‘김진환의 논문에 따르면’ “이동식크레인 재해분석을 통한 안전성 향상 방안“에 대한 논문에 2011~2020년에 1009건(1028명의 재해자)의 재해가 발생하였는데 공기단축,인력대체 등의 긍정적인 효과도 있지만 이동식크레인의 사용빈도가 많아짐에 따라 재해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또한 ”고용노동부와 산업안전보건공단은 2023년 5월에 발표한 6년간(2016~2021) 사고사망사례 4,432건 중 건설업 2,574건을 분석한 고위험요인(SIF)정보1)에 의하면 이동식크레인이 기인물이 되어 발생한 사망재해가 총 61건 발생하였다

건설공사 안전관리 종합정보망(2023. 8월)2) 에 의하면 크레인의 사고도 35건이나 뱔생되어 여전히 이동식크레인의 재해는 많이 발생함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이동식크레인의 재해사례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줄어들지 않는 원인이 무엇인지 분석하고, 기존에도 이동식크레인에 대한 안전대책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제대로 현장에서 위험요인에 대한 실질적인 현장개선방안이 이루어 지고 있지 않아, 이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위험성평가방법인 4M방식이 다양한 재해요인과 안전대책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것으로 판단하여 표준 리스크 평가 지수를 적용하여 중대재해예방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Crane 사고 및 문제점 확인

이동식 Crane 사고 사례

고용노동부와 산업안전보건공단은 2023년5월에 발표한 6년간(2016~2021) 사고사망사례 4,432건 중 건설업(2,574건)을 분석한 고위험요인(SIF)정보를 보면 이동식크레인이 기인물로 인한 총 61건의 사망사고의 것만 추려보았다. Table 1는 2016~2021년까지 이동식크레인으로 발생한 사망재해자 수이다.

Table 1. Number of deaths by year

JNJBBH_2023_v19n3_719_t0001.png 이미지

사고 중 대공종을 분류하여 어떤 공종에서 사고가 많이 났는지 Table 2은 분석하였다. 장비의 고유작업인 양중작업의 공통공사에서 21건(34%)로 가장 많이 일어났으며, 토공사 12건(20%), 마감공사 15건(15%) 등 일어났다. Table 3은 세부공종을 분류하여 재해분석을 하였다.

Table 2. Number of deaths by type of work

JNJBBH_2023_v19n3_719_t0002.png 이미지

Table 3. Number of deaths by detailed construction type

JNJBBH_2023_v19n3_719_t0003.png 이미지

JNJBBH_2023_v19n3_719_t0004.png 이미지

재해발생형태별로는 Table 4와 같이 장비작업특성상 부딪힘이 24건(39%)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떨어짐 13건(21%), 깔림 11건(18%) 순으로 발생되었다.

Table 4. Number of deaths by disaster type

JNJBBH_2023_v19n3_719_t0005.png 이미지

기존 Crane 안전대책의 문제점

기존에 많은 이동식크레인의 안전대책이 나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이행되지 못한 사항들이 많았다. 전문가와 안전보건관계자의 면담조사와 문헌조사에 의거하여 현행 이동식크레인의 안전대책의 문제점에 대하여 Table 5에서 조사를 하여 아래와 같이 도출하였다.

Table 5. Confirmation of use status and problems of risk assessment

JNJBBH_2023_v19n3_719_t0006.png 이미지

이동식 Crane 표준리스크평가 지수

연구방법

연구 의 범위 및 방법

2023.5월 고용노동부와 산업안전보건공단의 최근 6년간(2016~2021) 사고사망사례 4,432건 중 건설업 2,574건을 분석한 고위험요인(SIF)정보를 토대로 이동식 크레인이 기인물이 되어 발생된 사고 61건의 사고를 대상으로 안전보건관계자, 장비전문가와 문헌조사 등을 활용하여 이동식크레인의 표준 리스크 평가 지수를 제시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동식크레인의 문제점에 대한 전문가 의견수렴을 통하여 문제점 분석점 분석 및 이동식크레인 사고유형분석(4M)도출

둘째. 수도권본사 및 지방 본사를 둔 건설회사3개회사 중 10개현장의 이동식크레인의 위험성평가 작성 실태 확인

셋째. 도출된 이동식크레인 사고유형분석(4M)에 대한 전문가 분석 및 도출

넷째. 전문가를 통한 사고유형분석(4M)자료와 문헌자료를 통하여 표준 리스크평가지수 개발 항목을 선정

이동식크레인 사고유형분석(4M)

이동식크레인의 문제점에 대한 6년간(2016~2021) 사고사망사례 4,432건 중 건설업 2,574건을 분석한 고위험요인(SIF)정보와 문헌자료를 바탕으로 위험성 감소대책 175가지를 전문가 면담(공단관계자1인, 장비업체 대표1인, 경력20년이상 현장안전관리자 1인, 안전보건공단 위험성평가 사외강사 1인, 건설기계장비관련 공학박사1인(N=5))을 통하여 문제점 분석점분석 및 이동식크레인 사고유형분석(4M)을 Table 6에서 항목별 10개씩 총 40가지를 도출하였다.

Table 6. Mobile crane accident type analysis (4M)

JNJBBH_2023_v19n3_719_t0007.png 이미지

이동식크레인의 위험성평가 작성 실태확인

수도권 본사 및 지방 본사를 둔 건설회사 중 건축 4개 현장과 토목 4개 현장의 이동식크레인의 위험성평가 작성 실태를 확인하고 작성을 한 안전관리자를 인터뷰한 결과 아래 Table 7과 같이 공종에 따른 유해위험요인에 대한 위험성평가방법인 4M방식이 다양한 재해요인과 안전대책을 종합적으로 검토되지 않고, 안전관리자의 주관적인 위험요인과 감소대책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able 7. Current status of field risk assessment

JNJBBH_2023_v19n3_719_t0008.png 이미지

이동식크레인 체크리스크 적용 방안

4M 위험성평가3)는 공정(작업)내 잠재하고 있는 유해·위험요인을 Man(인적), Machine(기계적),Media(물질,환경적), Management(관리적) 등 4가지 분야로 위험성(리스크)를 파악하여 위험제거 대책을 제시하는 방법을 말하며, Fig. 1와 같이 안전보건공단에서 2013년 위험성평가를 도입하지 전 4M 위험성평가 기법을 주로 사용하여 ‘유해위험요인 자기관리’ 시범사업(2010~2012)을 시행하였다.

JNJBBH_2023_v19n3_719_f0001.png 이미지

Fig. 1. Harmful and risk factors for each 4M item

선행연구와 안전관리자의 인터뷰, 안전보건공단 연구보고서에 따라 건설현장에서 다양한 점검체크리스크와 안전대책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전 조직에서 이행할 안전관리 역할을 쉽게 작성하고 공감할 수 있는 4M방식의 위험성평가 도구라고 판단하고 이 연구에서 표준 리스크평가지수를 적용하고자 하였다.

표준 리스크평가지수 모델 방법 모델 제시

1) 고위험요인(SIF)정보와 문헌자료를 바탕으로 위험성 감소대책 175가지를 이동식 크레인의 위험성평가에 대한 공단관계자1인, 장비업체 대표1인, 경력20년이상 현장안전관리자 1인, 안전보건공단 위험성평가 사외강사 1인, 건설기계장 비관련 공학박사1인 (N=5) 대상으로 사고유형분석을 실시하여 40개로 압축하였다.

Table 8. 4M classification risk check

JNJBBH_2023_v19n3_719_t0009.png 이미지

2) 메트릭스 구조는 Man(인적), Machine(기계적), Media(물질,환경적), Management(관리적) 등 4가지 분야로 위험성(리스크)을 40가지에 대한 상, 중, 하로 표시하고, Table 9와 같이 요인별 사고유형을 분류하고 평가자들은 기재한다.

Table 9. 4M classification (human factors) risk assessment checklist(example)​​​​​​​

JNJBBH_2023_v19n3_719_t0010.png 이미지

현장 안전보건 종사자들이 기재한 점수를 총괄하게 되면 최소 40점에서 부터 최대 120점으로 분류할 수 있다.

현장에서 4M 분야로 위험성(리스크)을 체크하고, Table 10에 해당하는 점수가 현장에 위험도(리스크)다. 상위 15%는 고위험, 중간 70%는 중위험, 하위 15%는 저위험작업으로 일상적인 관리로 분류할수있다.

Table 10. Risk Assessment Index Model​​​​​​​

JNJBBH_2023_v19n3_719_t0011.png 이미지

결론

안전보건관계자의 면담조사와 인터뷰, 문헌조사에 의거하면 현행 이동식크레인의 안전대책의 문제점에 대하여 현장에서 실질적인 효과가 미흡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4M방식의 표준 리스크평가지수 방법을 활용하게 되면 현장 구성원이 쉽게 안전평가를 할 수 있도록 구성을 하였다, 향후 추가적으로 연구할 항목은 모바일 스마트안전기술을 적용하여 현장 모든 구성원들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쉽게 스마트폰을 활용한 표준 리스크평가지수 방법을 적용하게 되면 더 효율적인 안전대책이 될 것이며. 이동식크레인장비 뿐 아니라 건설기계장비 중 사고가 많은 굴착기, 지게차, 타워크레인, 호이스트 등에 적용한다면 현장 실정에 맞는 근원적 재해예방의 방안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참고문헌

  1. Beavers, J.E., Moore, J.R. Rinehart, and Schriver, W.R. (2006). "Crane-related fatalitie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ol. 132, No. 9, pp. 901-910. https://doi.org/10.1061/(ASCE)0733-9364(2006)132:9(901)
  2. Choi, H.-J. (2022). Risk Assessment for Disaster Reduction in Small-Scale Construction Sites. Doctoral Dissertation, Sunmoon University, Asan, pp. 402-403.
  3. Ho, J.-G. (2022). Equipment Safety and Mobile Crane, Gumi Library, Seoul.
  4. Jeon, H.-W., Jeong, I.-S., Lee, C.-S. (2013). Risk Assessment to Reduce Construction Equipment Safety Accidents. Master Dissertation, Department of Urban Architecture, Incheon National University,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Incheon.
  5. Kim, J. (2022). Safety Improvement Plan through Mobile Crane Disaster Analysis. Master's Thesis, Ulsan University, Ulsan, p. 1.
  6. Kim, J.-C. (2014). A Study on the Hazard Analysis and Control of the Work for Mobile Crane. Master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Seoul, pp. 37-39.
  7. Lee, J.-B. (2022). Analysis of Operation System Establishment Cases for Efficient use of Risk Assessment at Construction Sites - H Focusing on Construction Company Cases. Doctoral Dissertation, Sunmoon University, Asan, pp. 828-838.
  8.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23). Industrial Accident High Risk Factors (SIF) Analysis Information. Sejong.
  9.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Rules on Korea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Standards (Article 132).
  10.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23). https://www.csi.go.kr/
  11.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2022). Review of Risk Assessment Participation Plans and Roles of All Organizational Sectors at Industrial Sites (focusing on analysis of recent fatal accident cases), Ulsan, p. 49.
  12. Seo, Y.B. (2018). Development of Mobile Crane Work Risk Index at Construction Sites. Master Dissertation, Geumoh Engineering and Technology Graduate School of Industry. Gumi.
  13. Waris, M., Mohd, S.L., Mohd, F.K., Arazi, I. (2014) "Criteria for the selection of sustainable onsite construction equip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Sustainable Built Environment, Vol. 3, No. 1, pp. 96-110. https://doi.org/10.1016/j.ijsbe.2014.06.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