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lationship between Science Academic Passion, Positive Experience about Science and Scientific Creativity in Elementary Science-Gifted Students

초등 과학영재 학생의 과학 학업 열정 및 과학 긍정 경험과 과학적 창의성의 관계

  • Received : 2023.07.19
  • Accepted : 2023.07.27
  • Published : 2023.08.31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science academic passion, positive experience about science and scientific creativity in elementary science-gifted students. To do this, 108 science-gifted students from grades 3 to 6 were selected. After conducting the tests on their science academic passion, positive experience about science and scientific creativity,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students exhibited relatively high levels of science academic passion and positive experience about science, but their scientific creativity was not relatively high. Whil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overall science academic passion and scientific creativity,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scientific creativity in the aspect of 'obsessive passion' of the five subcategories ('importance', 'like', 'time/energy investment', 'harmonious passion', and 'obsessive passion'). Furthermore, the five subcategories, particularly 'like', 'harmonious passion', and 'obsessive pass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ors of scientific creativity. However, the five subcategories of positive experience about science ('science academic emotion', 'science-related self-concept', 'science learning motivation', 'science-related career aspiration', and 'science-related attitude') did not exhibi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scientific creativity and did no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it. Additionally, neither the overall science academic passion nor the overall positive experience about scienc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scientific creativity.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이 연구에서는 초등 과학영재 학생의 과학 학업 열정 및 과학 긍정 경험과 과학적 창의성의 관계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 3~6학년 과학영재 학생 108명을 선정하여 과학 학업 열정 검사, 과학 긍정경험 검사, 과학적 창의성 검사를 실시한 뒤, 기술통계분석과 상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대상 초등 과학영재 학생의 과학 학업 열정과 과학 긍정 경험은 비교적 높은 수준이었지만, 과학적 창의성은 비교적 높지 않은 수준이었다. 과학 학업 열정 전체는 과학적 창의성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이 없었지만, 5가지 하위 영역(중요함, 좋아함, 시간/에너지 투자, 조화열정, 강박열정) 중 '강박열정'에서는 과학적 창의성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있었다. 또한 과학 학업 열정의 5가지 하위 영역, 특히 '좋아함', '조화열정', '강박열정'은 과학적 창의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과학 긍정 경험의 5가지 하위 영역(과학 학습 정서, 과학 관련 자아개념, 과학 학습 동기, 과학 관련 진로 포부, 과학 관련 태도)은 과학적 창의성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이 없었을 뿐만 아니라, 과학적 창의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또한 과학 학업 열정 전체와 과학 긍정 경험 전체는 과학적 창의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이 없었다. 이러한 결과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연구는 2023년도 서울교육대학교 교내연구비를 지원받아 수행되었음

References

  1. 강정란, 유미현(2016). 초등과학영재와 일반 학생의 유머감각, 셀프리더십 및 대인관계능력 비교 및 관계 분석. 과학영재교육, 8(1), 1-13.
  2. 강훈식(2021). 초등 일반 학생과 과학영재 학생의 과학학업적 열정 비교. 초등과학교육, 40(4), 421-432.
  3. 강훈식(2022). 초등학교 교사의 과학 PCK에 대한 학업 열정 수준 및 영향 요인 탐색. 초등과학교육, 41(3), 553-568.
  4. 강훈식(2023). 초등 예비교사의 과학 PCK에 대한 학업 열정 수준과 영향 요인 탐색. 초등과학교육, 42(1), 1-16.
  5. 강훈식, 이성희, 이일, 곽영순, 신영준, 이수영, 하지훈(2020).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과학긍정경험 향상 요인에 대한 질적 탐구. 초등과학교육, 39(2), 183-203.
  6. 고예영, 유지연, 강훈식(2023). 초등 과학영재 학생의 과학 학업 열정 향상을 위한 학습 경험 탐색. 초등과학교육, 42(2), 274-286.
  7. 곽영순, 신영준, 강훈식, 이성희, 이일, 이수영, 하지훈(2020). 고등학생의 과학긍정경험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 및 평가 개선 방안에 대한 질적 탐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0(3), 337-346.
  8. 공정현, 정은영, 안성아(2017). 간호대학 신입생의 학업흥미, 전공만족도 및 학습몰입에 관한 연구. 인문사회 21, 8(2), 1-16.
  9. 교육부(2018). 제4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 세종: 교육부.
  10. 교육부(2022).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22-33호 [별책 9].
  11. 김민주, 임채성(2017). 초등과학영재학생의 자기주도성과 과학창의성의 관계. 초등과학교육, 36(4), 379-393.
  12. 김민주, 임채성(2020). 초등과학영재학생의 과학창의성과 다중지능의 관계: 생명 영역을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 39(3), 369-381.
  13. 김성기, 김현정(2022). 컴퓨터 기반 과학 탐구 프로그램을 활용한 화학 수업이 과학 긍정경험, 과학과 핵심역량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화학회지, 66(2), 107-123.
  14. 김솔비, 임효진(2020). 초등학생용 학업적 열정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초등교육연구, 33(3), 171-200.
  15. 김지숙, 최선영(2018). 초등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메타인지와 과학적 추론 능력 관계 분석. 생물교육, 46(4),524-532.
  16. 김태희(2020). 과학 영재 학생과 일반 학생들의 과학 긍정경험 비교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김현주, 김민주, 임채성(2022). 초등학생의 관찰 능력과 과학 창의성의 관계 분석: 야외 식물 관찰 학습 사례를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 41(4), 593-615.
  18. 김현정, 강훈식, 이재원, 김율, 정지현, 정은영, 윤혜경, 박지선, 이성희(2022). 우리나라 학생의 과학긍정경험 추이 및 하락 원인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2(2), 215-226.
  19. 김혜원, 전영석(2021).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과학영재교육 연구동향 분석. 초등과학교육, 40(3), 283-294.
  20. 김희경, 곽영순, 강훈식, 신영준, 이성희, 이수영(2017). 과학 긍정경험 구성 변인 간의 구조방정식 모형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7(3), 507-521.
  21. 문주영, 신영준(2018). 과학중심 STEAM 프로그램이 과학긍정 경험에 미치는 효과: 초등학교 과학 "지구와 달" 단원을 중심으로. 과학교육연구지, 42(2), 214-229.
  22. 박종원(2004). 과학적 창의성 모델의 제안: 인지적 측면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2), 375-386.
  23. 박종원, 김진국(2013). 과학적 창의성 지도를 위한 활동 자료의 개발과 유형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2), 310-327.
  24. 박지호, 최선영(2017). 초등 과학영재와 일반 학생의 과학 윤리성, 과학 진로 지향도 및 사회 기여 의식과의 상관관계. 생물교육, 45(4), 578-586.
  25. 서선진, 강훈식(2021). 초등 과학영재 학생의 과학긍정경험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 경험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1(2), 133-144.
  26. 서혜애, 심재호, 강나나(2018). 과학영재교육원 심화과정에서 과학영재들이 나타내는 동기, 과제집착력, 열정, 리더십의 개별 행동특성 탐색: 맞춤형 지도방안에 대한 시사점. 과학영재교육, 10(3), 202-219.
  27. 신영준, 곽영순, 김희경, 이수영, 이성희, 강훈식(2017). 과학긍정경험 지표 검사를 위한 도구 개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7(2), 335-346.
  28. 안태훈, 최선영(2017). 초등과학 영재학급 학생과 일반학급 학생의 과학 학습정서와 과학적 상상력 비교. 초등과학교육, 36(2), 155-162.
  29. 여한나, 신동훈(2022).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한 생명 영역 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긍정경험에 미치는 영향. 생물교육, 50(4), 543-556.
  30. 오종석, 이형철, 유병길(2014). 초등과학영재아동과 일반아동 부모의 학습관여와 지적호기심 및 과학창의성의 관계 연구. 수산해양교육연구, 26(5), 1119-1128.
  31. 유미현, 박기수, 이정은(2020). 창의융합형 과학실 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 긍정경험 및 리더십 특성에 미치는 영향. 현장과학교육, 14(3), 321-336.
  32. 유용현, 강유진, 김지나(2013). 고등학생의 과학영역 창의성과 일반창의성, 메타인지, 과학 정의적 특성과의 관계. 교과교육학연구, 17(1), 109-128.
  33. 유은정, 김경화(2020). 미래학교의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과학수업이 과학긍정경험과 과학 학습자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탐색. 한국지구과학회지, 41(2), 176-193.
  34. 윤상천, 최선영(2017). 초등 과학영재와 일반 학생의 그릿(Grit)과 학업적 실패내성 및 심리적 안녕감과의 비교. 초등과학교육, 36(4), 439-446.
  35. 윤회정, 박은미, 김지영, 이윤하, 방담이(2015). 중학생들의 과학적 창의성 관련 변인 간 관계 분석 연구. 교과교육학연구, 19(4), 1005-1025.
  36. 이경란, 박종호(2013). 초등과학영재와 일반 학생의 과학적 태도와 자아탄력성 및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한국초등교육, 24(4), 243-257.
  37. 이남주, 백성혜(2014). 과학 영재학생들의 일상에서 나타나는 몰입과 창의성에 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2), 147-153.
  38. 이봉우, 손정우(2017). 과학영재 발굴⋅육성 종합계획 성과분석을 통한 과학영재교육 발전방안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7(5), 775-785.
  39. 이신동, 이정규, 박춘성(2019). 최신 영재교육학개론. 서울: 학지사.
  40. 이신영, 강훈식(2022). 초등 일반 학생과 과학영재 학생의 과학 학업 열정과 과학 긍정 경험의 관계. 과학영재교육, 14(3), 115-127.
  41. 이애리, 이신동(2017). 완벽주의 수준에 따른 학습몰입과 창의성과의 관계. 특수⋅영재교육저널, 4(1), 51-74.
  42. 이여빈, 신영준(2019). 게이미피케이션 요소를 적용한 '사이언스 레벨 업' 과학 수업이 과학긍정경험에 미치는 효과. 생물교육, 47(1), 97-106.
  43. 이영희(2014). 한국과 미국 초등학교 교과서에 나타난 과학의 본성 비교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3), 207-212.
  44. 이정은, 박기수, 유미현(2020). 창의융합형 과학실 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 긍정경험 및 리더십 특성에 미치는 영향. 현장과학교육, 14(3), 321-336.
  45. 임병노(2011).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학습정서' 척도 개발 연구. 교육방법연구, 23(4), 827-853.
  46. 임성만, 양일호, 임재근(2009). 영역 특수적인 입장에서의 과학적 창의성에 대한 정의, 구성요인에 대한 탐색. 과학교육연구지, 33(1), 31-43.
  47. 임효진, 강훈식(2022). 초등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과학 PCK에 대한 학업 열정 수준 비교. 초등과학교육, 41(4), 690-700.
  48. 전학철, 왕벽은, 구자숙(2021). 열정과 창의성 및 업무성과 간 관계: 도전-방해 관련 스트레스의 매개효과와 결정권한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45(4), 85-105.
  49. 정송희, 김성기, 백성혜(2023). 과학영재 학생들의 과학메타모델링 지식(MMK) 수준 및 MMK 수준과 화학학업 성취도와의 관계 분석. 현장과학교육, 17(1), 9-24.
  50. 정수연, 장정호(2022). 생명공학 단원의 제한 효소 지도작성 탐구실험 수업이 고등학생의 과학긍정경험에 미치는 영향. 과학교육연구지, 46(3), 293-311.
  51. 정은영, 박지선, 이성희, 윤혜경, 김현정, 강훈식, 이재원, 정지현(2022). 초⋅중⋅고등학생들의 과학 정의적 성취가 낮은 원인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2(3), 325-340.
  52. 조홍식(2013). 체육교사의 교수열정과 학생들의 교과 흥미도 및 학습몰입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20(2), 115-134.
  53. 최병연(2018). 예비초등교사의 심리적 자본과 창의성의 관계에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 Global Creative Leader, 8(4), 1-15.
  54. 최시내, 강훈식(2023). 교육대학 부설 과학영재교육원 프로그램이 초등 과학영재 학생의 과학 학업 열정에 미치는 영향. 교육논총, 43(1), 65-80.
  55. Barbot, B., Besancon, M., & Lubart, T. (2016). The generality-specificity of creativity: Exploring the structure of creative potential with EPoC. Learning and Individual Differences, 52, 178-187.
  56. Mageau, G. A., & Vallerand, R. J. (2007). The moderating effect of passion on the relation between activity engagement and positive affect. Motivation and Emotion, 31(4), 312-321.
  57. Marsh, H. W., Vallerand, R. J., Lafreniere, M. A. K., Parker, P., Morin, A. J. S., Carbonneau, N., Jowett, S., Bureau, J. S., Fernet, C., Guay, F., Abduljabbar, A. S., & Paquet, Y. (2013). Passion: Does one scale fit all? Construct validity of two-factor passion scale and psychometric invariance over different activities and languages. Psychological Assessment, 25(3), 796-809.
  58. Parastatidou, I. S., Doganis, G., Theodorakis, Y., & Vlachopoulos, S. P. (2012). Exercising with passion: Initial validation of the passion scale in exercise. Measurement in Physical Education and Exercise Science, 16(2), 119-134.
  59. Qiang, R., Han, Q., Guo, Y., Bai, J., & Karwowski, M. (2020).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scientific creativity: The mediating role of creative self-efficacy. The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54(1), 90-99.
  60. Sun, M., Wang, M., & Weger if, R. (2020). Effects of divergent thinking training on students' scientific creativity: The impact of individual creative potential and domain knowledge. Thinking Skills and Creativity, 37: Online.
  61. Sverdlik, A., Rahimi, S., & Vallerand, R. J. (2022). Examining the role of passion in university students' academic emotions, self-regulated learning and well-being. Journal of Adult and Continuing Education, 28(2), 426-448.
  62. Vallerand, R. J. (2010). On passion for life activities: The dualistic model of passion. In M. P. Zanna (Ed.),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pp. 97-193). New York, NY: Academic Press.
  63. Vallerand, R. J. (2015). The psychology of passion: A dualistic model.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64. Vallerand, R. J., Blanchard, C., Mageau, G. A., Koestner, R., Ratelle, C., Leonard, M., Gagne, M., & Marsolais, J. (2003). Les passions de l'ame: On obsessive and harmonious pass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5(4), 756-767.
  65. Vallerand, R. J., Mageau, G. A., Elliot, A. J., Dumais, A., Demers, M. A., & Rousseau, F. (2008). Passion and performance attainment in sport. Psychology of Sport and Exercise, 9(3), 373-392.
  66. Vallerand, R. J., Paquet, Y., Philippe, F. L., & Charest, J. (2010). On the role of passion for work in burnout: A process model. Journal of Personality, 78(1), 289-312.
  67. Worrell, F. C., Subotnik, R. F., Olszewski-Kubilius, P., & Dixson, D. D. (2019). Gifted students. Annual Review of Psychology, 70, 551-576.
  68. Yang, K., Hong, Z., Lee, L. & Lin, H. (2019). Exploring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convergent and divergent scientific creativities. Thinking Skills and Creativity, 31, 252-261.
  69. Zainuddin, Suyidno, Dewantara, D., Mahtari, S., Nur, M., Yuanita, L., & Sunarti, T. (2020). The correlation of scientific knowledge-science process skills and scientific creativity in creative responsibility based learning. International Journal of Instruction, 13(3), 307-316.
  70. Zhao, H., Liu, X., & Qi, C. (2021). "Want to learn" and "Can learn": Influence of academic passion on college students' academic engagement. Frontiers in Psychology, 12, 697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