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수진.서원석(2016), "지하철 노선 및 역사특성이 아파트 매매가격에 미치는 영향 분석", 「국토연구」, 89: 149~162. https://doi.org/10.15793/kspr.2016.89..009
- 권도율.전재식(2022), "코로나 19 전후 서울 상권 매출의 공간적 변화", 「 부동산학연구」, 28(3): 25~44. https://doi.org/10.19172/KREAA.28.3.2
- 김도희.서원석(2020), "대규모 교외형 복합상업시설이 아파트 가격에 미치는 시공간 영향", 「GRI 연구논총」, 22(3): 29~48.
- 김명진(2023), "지리가중회귀모델을 이용한 유형별 소매유통시설의 주택가격 영향분석: 코로나19에 따른 시계열적 변화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 김성일(2021), "코로나 19 팬데믹 시기의 주거 욕구별 주거생활 변화 연구", 「인문사회 21」, 12(2): 1151~1164.
- 김성호.민정주.신지영(2020.6.22), "[코로나19-로컬의 재발견]떠오르는 '홈어라운드 소비'", 경인일보.
- 김태경.서원석(2012), "근린공간요소를 고려한 지역특성이 광역공동주택 시장에 미치는 영향 분석", 「지역연구」, 28(3): 63~82.
- 남형권.서원석(2017), "지리가중회귀모델을 이용한 아파트 점유형태별 전철역의 접근성 가치 비교분석", 「서울도시연구」, 18(2): 65~79. https://doi.org/10.26588/kdic.2017.18.2.003
- 박석훈(2017), "봉천지역 안심 골목길 조성 디자인 개발 연구: 서울시 관악구 청룡동, 인헌동, 낙성대동, 행운동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3(4): 415~429.
- 박소현.이금숙(2021), "점포의 무인화와 소매점 입지: 서울시 무인 편의점과 무인 할인판매점을 대상으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4(4): 411~424. https://doi.org/10.23841/EGSK.2021.24.4.411
- 박지현.이승준.류승완(2022), "사회적 거리두기 정책이 사람들의 오프라인 소비패턴에 미치는 영향: 편의점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생산관리학회지」, 33: 433~448. https://doi.org/10.32956/kopoms.2022.33.3.433
- 백우진.허유민(2020), "소매업의 영업시간이 범죄율에 미치는 영향: 편의점과 슈퍼마켓을 중심으로", 「한국사회과학연구」, 39(3): 143~164. https://doi.org/10.18284/jss.2020.12.39.3.143
- 서동현.이정문.김지현.박준형.구상준.김석훈(2020), "코로나 19로 인한 디지털커머스 마케팅 변화에 대한 분석",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8(2): 291~292.
- 서울시(2023a), 「서울시 대규모점포 인허가 정보」, 서울.
- 서울시(2023b), 「서울시 휴계음식점 인허가 정보」, 서울.
- 서원석(2019), "제약 및 비제약 헤도닉가격모형의 주택내재가치 비교연구", 「국토계획」, 54(6): 80~88. https://doi.org/10.17208/jkpa.2019.11.54.6.80
- 송니은.정하명.김보영(2022), "온라인 명품 쇼핑에서 지각된 소비가치가 몰입,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위험과 코로나 위험에 따른 집단별 차이를 중심으로", 「소비문화연구」, 25(2): 37~59. https://doi.org/10.17053/JCC.2022.25.2.003
- 송이슬.조항훈.김흥순(2022), "COVID-19 시기 가정용 상수도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과 인천의 자치구 33개를 대상으로", 「LHI Journal」, 13(4): 1~12.
- 신수현.최형석.심교언(2013), "도심형복합상업시설이 주변 아파트 가격에 미치는 영향-경방 타임스퀘어를 중심으로", 「부동산학보」, (54): 60~73.
- 신유리(2021.4.11), "'홈택트'문화 포용한 '레이어드 홈(layered home)'의 탄생...집이 '홈포차', '홈캠핑장', '홈카페'로 변신한다", 시빅뉴스.
- 여홍구.이승한(2002), "할인점 출점이 공동주택 가격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37(6): 111~127.
- 오윤경.강정규.김종민(2014), "지리가중회귀모델을 이용한 주택가격 결정요인의 지역별 특성에 관한 연구: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세무회계연구」, 40: 1~17.
- 윤상용(2019), "지역상권 특성이 자영업자 폐업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시 25개 자치구를 중심으로", 「기업과혁신연구」, 42(3): 21~39. https://doi.org/10.22778/JCI.2019.42.3.21
- 이가현(2023.8.4), "긴급회의 연 경찰청장 사실상 테러...다중밀집 장소 감시 강화", 국민일보.
- 이유빈.박천희.배기형(2013), "소매유통업의 경제적 효과 분석", 「물류학회지」, 23(5): 355~373. https://doi.org/10.17934/jmhs..136.201312.355
- 이재은.양소연.이태경(2020), "백화점 실내외 휴게공간 환경특성 및 이용만족도에 관한 연구: 경남권에 위치한 백화점을 중심으로",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9(6): 27~39. https://doi.org/10.14774/JKIID.2020.29.6.027
- 이정희(2007), "대형유통점이 유통시장에 미치는 효과분석", 「한국유통학회 2007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25~240.
- 이홍승.김준환(2021), "코로나 19 로 인한 식품 소비행태 변화분석: MZ 세대를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19(3): 47~54. https://doi.org/10.14400/JDC.2021.19.3.047
- 이희연.노승철(2012), 「고급통계분석론」, 경기: 문우사.
- 임현정.최상범(2022), "코로나 19 가 서울시 상권 매출 변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행정동 단위 유동인구 군집화를 통한 업종별 비교를 중심으로", 「서울도시연구」, 23(1): 47~65. https://doi.org/10.23129/SEOULS.23.1.202203.47
- 장석진.박정민.강주연(2022), "코로나 19 이후 정부대응책 인식과 식생활 변화에 관한 연구: 경제적, 심리적, 신체적 영향을 중심으로", 「기업과혁신연구」, 45(1): 3~31. https://doi.org/10.22778/JCI.2022.45.1.3
- 장영.서원석(2018), "학군제도에 따른 교육특성이 학군주택 가격에 미치는 시계열 횡단면 영향분석: 중국 천진시를 중심으로",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8(6): 171~182.
- 정문오.이상엽(2013), "서울도시철도 접근성에 따른 주택매매가격 변화 연구", 「부동산연구」, 23(3): 51~77.
- 정의철(2002), "도시가구의 주택점유형태 및 주택유형선택에 관한 연구", 「주택연구」, 10: 5~31.
- 정효진.이지영(2015), "지리가중회귀분석을 이용한 은평뉴타운 지가 분석", 「한국공간정보학회지」, 23(5): 65~73. https://doi.org/10.12672/ksis.2015.23.5.065
- 지상훈(2021), "코로나 19 로 변화한 생활인구와 음식업 창. 폐업 행태: 서울시 주요 상권을 중심으로", 「노동리뷰」, 196: 71~88.
- 최유경.이진국.김정욱(2021), "코로나 19 로 인한 유통산업 환경변화와 유통규제 전망", 「경제규제와 법」, 14(2): 60~86. https://doi.org/10.22732/CELPU.2021.14.2.60
- 최정민.박동찬(2020), "주거환경 생활편의시설의 접근성 및 중요도에 관한 연구", 「주거환경」, 18(1): 1~20.
- 최철환.이인엽.김동규(2022), "COVID-19 대유행 이후의 보복소비: 코로나바이러스 위험인식에 따른 소비욕구와 보상소비 비교분석", 「한국체육과학회지」, 31(2): 411~421. https://doi.org/10.35159/kjss.2022.4.31.2.411
- 홍미숙.강혜숙.명소형.윤덕인(2017), "편의점 도시락 이용고객의 선택속성이 긍정적인 소비감정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식산업학회지」, 13(2): 29~44. https://doi.org/10.22509/KFSA.2017.13.2.002
- 황경희.김현채(2020), "COVID-19로 변화된 식생활 트렌드가 소비가치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Tourism Research」, 45(4): 705~727. https://doi.org/10.32780/KTIDOI.2020.45.4.705
- 황주원.장성만(2022), "코로나 19 확산기 도시민의 활동감소와 민감도 변화: 서울시 생활인구를 중심으로", 「한국지적정보학회지」, 24(1): 180~201. https://doi.org/10.46416/JKCIA.2022.04.24.1.180
- Seo, W. and B. von Rabenau (2011), "Spatial Impacts of Microneighborhood Physical Disorder on Property Resale Values in Columbus, Ohio", Journal of Urban Planning and Development, 137(3): 337~345. https://doi.org/10.1061/(ASCE)UP.1943-5444.00000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