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Geographical Discrepancies in Residential Outcomes and Housing Expenditure of Young Married Couples in Chonsei Housing

전세 거주 청년 부부가구의 지역 간 거주환경과 주거비 차이

  • 이현정 (경희대학교 주거환경학과 고령서비스-테크 융합전공) ;
  • 남상준 (경희대학교 주거환경학과 주택및도시연구실(HUAL))
  • Received : 2023.06.12
  • Accepted : 2023.08.07
  • Published : 2023.09.30

Abstract

This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the socio-demographic, financial, and housing statuses of young married couples in Chonsei housing and to analyze the determinants of their residential environment quality and housing expenditure in four districts - Seoul and Gyeonggi-Incheon Area(GIA) of the Seoul Metropolitan Area(SMA), and metropolises and non-metropolises of non-SMA. From the 2020 Korean Housing Survey(KHS), this cross-sectional analysis examined a sample of 691 households, and the findings revealed that most were headed by college-educated, salaried male workers aged 31 years old. While childless dual-earner couples were common in Seoul, single-income families of three were prevalent in non-SMA. The financial status of the couples in Seoul was a lot better than in the other three areas, particularly much higher in Chonsei deposit and total asset value. Further, many lived in a three-bedroom apartment unit sized 60m2 and bigger, using a Chonsei loan. Regardless of areas, almost all the households spent a very low portion of their living expenses and income on housing costs. However, dual-earner families positively increased borrowing capacity, which improves the household's financial position that is likely to lead to equity increment in a volatile asset market in the long run. The statistical results indicated that residential environment assessment was influenced by neighborhood quality and housing expenditure was affected by housing size in Seoul, urban amenities in GIA and householder's gender in non-metropolises. Thus, this research proposes that strong measures be considered to mitigate housing inequality embedded in geographical and socio-economic disparities.

본 연구는 전세로 거주 중인 청년(19-34세) 부부가구의 거주환경과 주거비를 네 지역으로 구분하여 비교하고 그 영향 변인을 분석한다. 2020년 주거실태조사를 횡단면 분석한 결과, 청년 부부가구는 31-32살의 대졸 이상 임금근로자인 남성 가구주가 있는 혼인 2-3년차 내외의 신혼부부였다. 맞벌이 비율이 높은 수도권 중 서울에서 무자녀의 맞벌이 2인 가구, 비수도권에서 유자녀의 외벌이 3인 가구가 두드러졌다. 수도권 가구의 자산, 전세 보증금, 부채, 소득이 비수도권보다 더 컸고, 특히 가장 큰 서울과 가장 적은 비수도권 지역 간의 격차는 더욱 벌어졌다. 또한 전체적으로 60m2 이상의 침실 3개를 갖춘 아파트에 1년 이상 거주 중이었고 최저주거기준을 충족하는 주택에 주거복지서비스 중 전세자금대출을 주로 이용 중이었다. 주택 및 전체적인 주거환경의 만족도는 특·광역시와 서울 가구에서 높은 편이었으나, 경인 가구는 모두 불만족하였고 비특·광역시 가구의 전체적인 주거환경 만족도가 가장 낮았다. 이처럼 연령, 혼인상태, 주택점유형태의 동질성에도 불구하고 지역 주택시장과 복수 소득원 여부는 가계재무 구조와 거주 질의 지역 간 차이를 키웠고, 이러한 격차는 가족 및 주거생활주기와 생애주기를 이행하는 과정에서 자산시장의 변동성으로 심화되리라 예상된다. 한편, 주택 및 전체적인 주거환경 만족도의 공통된 영향 변수는 (경인의 전체적인 주거환경 만족도를 제외하고) 근린환경 만족도였고, 주거비의 결정 변인은 지역별로 달라 서울의 주택규모, 경인의 생활편의시설 만족도, 비특·광역시의 여성 가구주 가구로 혼재된 영향력을 나타났다. 따라서 이들 주거 수준의 지역간 차이가 장기적으로 주거불균등, 나아가 지역 불균형으로 발전될 개연성이 크므로 이를 완화시킬 선제적인 대책마련이 요구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논문은 2018년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음(과제번호: 2018R1D1A1B07040295).

References

  1. 국토교통부(2017), "사회통합형 주거사다리 구축을 위한 주거복지 로드맵", 11월 29일자 보도자료, 세종.
  2. 기윤환(2022), "청년.신혼부부의 주거선택요인에 관한 연구: 인천시를 중심으로", 「LHI Journal」, 13(4): 13~26.
  3. 김보영.하서진.노승한(2021), "임차가구의 주거유형 결정요인 분석", 「부동산.도시연구」, 13(2): 93~111.
  4. 김성연(2021), "주민 주거만족도 차이 검증에 따른 주택정책 방향",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3(5): 2493~2503. https://doi.org/10.37727/jkdas.2021.23.5.2493
  5. 김진우.김승희(2021), "임차가구 특성에 따른 소비지출 차이에 관한 연구", 「부동산분석」, 7(2): 25~45. https://doi.org/10.30902/jrea.2021.7.2.25
  6. 박종옥(2018), "경제적 요인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거주주택관련 경제적 요인을 중심으로", 「소비자문제연구」, 49(1): 97~129. https://doi.org/10.15723/JCPS.49.1.201804.97
  7. 양은모.한창근.배호중(2021), "패널자료로 살펴본 '혼인 당시 무주택 가구'의 주택 마련 양상: 혼인 당시주거특성 차이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47(2): 113~147. https://doi.org/10.15820/KHJSS.2021.47.2.005
  8. 오신휘.장인수(2021), "주택 마련과 출산 순위별 출산 이행의 동학: 주택 마련 비용, 주거 안정성, 주거 면적", 「보건사회연구」, 41(3): 298~317. https://doi.org/10.15709/HSWR.2021.41.3.298
  9. 이현정(2020), "세대 간 사회인구학적 특성 및 거주특성 차이 분석", 「LHI Journal」, 11(4): 1~13.
  10. 이현정.박상우(2022), "지역별 청년층 월세 가구의 거주환경 및 주거비 부담 결정요인 분석", 「주택도시연구」, 12(2): 21~49. https://doi.org/10.26700/shuri.2022.8.12.2.21
  11. 이현정.임태균(2022), "청년층 가구의 주거실태 변화에 관한 종단 분석", 「LHI Journal」, 13(2): 31~47.
  12. 이현정.최재요(2022), "월세 거주 청년층 1인 가구의 거주지역별 주거실태 및 주거비 차이 비교", 「GRI 연구논총」, 24(2): 31~64.
  13. 임세희(2016), "주거비 과부담 결정요인", 「한국사회복지학」, 68(3): 29~50. https://doi.org/10.20970/kasw.2016.68.3.002
  14. 하서진.노승한(2016), "전세가구는 왜 전세를 선택하는가?", 「 주택연구」, 24(1): 5~26. https://doi.org/10.1007/s41189-016-0083-5
  15. 한지혜.최승비.김갑성(2015), "상대주거비용의 변화가 전세가구의 점유형태 및 주거이동에 미치는 영향", 「주택연구」, 23(2): 5~29.
  16. 황광선(2013), "주택점유형태에 따른 주거환경과 주거만족 연구: 주택복지정책에 대한 함의", 「서울도시연구」, 14(1): 57~72. https://doi.org/10.23129/SEOULS.14.1.201303.57
  17. Doling, J. and R. Ronald (2014), Housing East Asia, Basingstoke, UK: Palgrave Macmillan.
  18. Forrest, R. and J. Lee (2003), Housing and Social Change, London: Routledge.
  19. Lee, H. (2014), "Housing and socioeconomic transformations in South Korea", in Housing East Asia, (eds) Doling, J. & R. Ronald, 180-203, Basingstoke, UK: Palgrave Macmillan.
  20. Ronald, R. (2008), The Ideology of Home Ownership, Basingstoke, UK: Palgrave Macmillan.
  21.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2023.6.10. 읽음. https://www.law.go.kr/.
  22. Statistics Korea, "Statical Database", Accessed June 10, 2023. http://kosis.kr/. (in Korean)
  23. KB부동산, "월간KB주택가격동향", 2023.6.10. 읽음. https://kbland.kr/map?xy=37.5205559,126.9265729,17.
  24. UN, "United Nations Data Portal." Accessed June 10, 2023. http://data.un.org/Default.asp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