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the Impact of the Hanjin Shipping's Crisis on Container Volume of Gwangyang Port

한진해운 사태로 인한 광양항 컨테이너 물동량의 영향 분석

  • 정수현 (평택대학교 국제물류학과 )
  • Received : 2023.10.17
  • Accepted : 2023.12.28
  • Published : 2023.12.31

Abstract

As the globalization of the world economy progresses, the role and importance of shipping and ports continue to increase, and these industries have been developed as core national industries that create diverse added value on the front lines of import and export. However, the bankruptcy of Hanjin Shipping Co., Ltd., which representedSouth Korea, hadan impact on of the nation's competitiveness, and its aftermath has been reported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until recently. Therefore, this study statistically investigated how Hanjin Shipping Crisisaffected the container traffic volume and structural changes at Gwangyang Port using intervention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that the impact on the decline in container volume at Gwangyang Port was greater at the start of the voluntary arrangement (Apr., 2016) than at the bankruptcy of Hanjin Shipping (Feb., 2017), resulting in a decrease of 983,000 TEU (268,000 TEU per year). This study will remind us of the importance of the shipping industry and shipping policy, and provide a theoretical foundation that will help the government make more prudent and correct policy decisions.

세계경제의 국제화가 진전됨에 따라 해운과 항만의 역할과 그 중요성은 계속해 증가하고 있어, 이들 산업은 수출입 최전선에서 다양한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국가 기간산업으로 육성됐다. 그러나 한국을 대표하는 한진해운 파산은 국가 전체 경쟁력 악화에 영향을 끼쳤고, 현시점까지 그 여파가 직·간접적으로 전해지고 있다. 그래서 본 연구는 한진해운 사태가 광양항 컨테이너 물동량과 구조 변화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개입분석을 통해 통계적으로 규명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로는 광양항 물동량 감소에 미친 영향은 한진해운의 파산(2017.2)보다 자율협약의 개시시점(2016.4)이 더 컸고, 이로 인해 총 98.3만TEU(연간 26.8만TEU)가 감소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가 해운업과 해운정책의 중요성을 상기하고, 정부의 더욱 신중하며 올바른 정책 판단을 도울 이론적 기초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곽규석.문성혁.박병인.백인흠(2009), 항만운영관리론, 박영사.
  2. 김승철.강효원(2022), 광양항 컨테이너물동량의 구조적 변화추이분석,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38집 제4호, 171-185. https://doi.org/10.38121/kpea.2022.12.38.4.171
  3. 김인현(2017), 한진해운 회생절차에서의 해상법 및 도산법적 쟁점, 상사법연구, 제36권 제2호, 9-55.
  4. 김재철.박훈.최영서.여기태(2021), SNA를 이용한 한진해운 파산 이후 해운물류분야 연구 동향 분석에 관한 연구, 해운물류연구, 제37권 제2호, 229-253. https://doi.org/10.37059/TJOSAL.2021.37.2.229
  5. 김창준(2017), 한진해운의 도산법적 쟁점: 공익채권, 회생 담보권, BBCHP, 책임제한절차를 중심으로, 한국해법학회지, 제39권 제1호, 39-82.
  6. 배주현.최영준(2017), 한진해운 사태의 비일관적 대응과 결과: 개발자유주의 체제의 산업구조조정 딜레마, 정부학연구, 제23권 제3호, 193-227. https://doi.org/10.19067/JGS.2017.23.3.193
  7. 신창훈.정수현(2011), 항만물동량 예측력 제고를 위한 ARIMA 및 인공신경망모형들의 비교 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35권 제1호, 83-91. https://doi.org/10.5394/KINPR.2011.35.1.83
  8. 손용정(2021), 미․중 무역전쟁 전후 반도체․디스플레이산업의 수출경쟁력 분석: 항공수출물류를 중심으로, 기업과혁신연구, 제44권 제3호, 103-115. https://doi.org/10.22778/JCI.2021.44.3.103
  9. 송효진(2023), 항만에 대한 배후지역 주민의 수용성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지방행정연구, 제37권 제3호, 185-224. https://doi.org/10.22783/KRILA.2023.37.3.185
  10. 양병찬(2017), 한진해운 파산 1년, 해운법제의 개선과제, 기업법연구, 제31권 제3호, 9-31. https://doi.org/10.24886/BLR.2017.09.31.3.9
  11. 이수정(2016), 한진해운 구조조정 진행 상황과 문제점, 경제개혁이슈, 제7호, 1-19.
  12. 이태휘.안우철(2017), 한진해운 파산의 원인 분석과 해운재건을 위한 정책 방향 연구, 산업혁신연구, 제34권 제4호, 347-366.
  13. 이희재.정수현.송효진(2021), 항만 환경관리를 위한 지역자원시설세 도입에 관한 연구: 부산항 신항을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제25권 제4호, 111-133. https://doi.org/10.20484/klog.25.4.5
  14. 윤재호(2016), 한진해운 사태를 통해 본 외항 및 연안운송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해양비즈니스, 제35호, 1-21.
  15. 정길수.박성훈.여기태(2020), 한진해운 사태에 대한 국내 매스컴 빅데이터 분석, 한국해운물류학회지, 제36권 제1호, 19-44.
  16. 여정대.이재민(2017), 정부의 해운산업 경쟁력 강화방안에 대한 입법 정책적 고찰, 경제법연구, 제16권 제2호, 187-216. https://doi.org/10.22829/KELA.2017.16.2.187
  17. 정분도.심재희(2011), 해운.항만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7집 제3호, 311-329.
  18. 정봉현(2013), 항만과 배후도시 관계를 고려한 항만중심도시의 발전방향 - 광양항을 중심으로,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3집 제1호, 77-97.
  19. 정수현.신창훈(2015), 금융위기로 인한 부산항 컨테이너 물동량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32집 제2호, 25-37.
  20. 정길수.박성훈.여기태(2020), 한진해운 사태에 대한 국내 매스컴 빅데이터 분석, 해운물류연구, 제36권 제1호, 19-44. https://doi.org/10.37059/TJOSAL.2020.36.1.19
  21. 최석범(2016), 한진해운 사태로 인한 국제물류운송로의 재구축: 유라시아 랜드브리지, 무역연구, 제12집 제6호, 663-682.
  22. 한국해양수산개발원(2017a), 우리나라 구조조정 정책사례 및 시사점: 한진해운을 중심으로.
  23. 한국해양수산개발원(2017b), 한진해운 사태의 반성과 원양 정기선 해운 재건 방안, KMI 동향분석, 제45호.
  24. 한국해양수산개발원(2021), 글로벌 경제위기와 해운산업 대응체계 연구.
  25. 한진해운(2016), 2015년 연차보고서.
  26. 허윤수.김율성(2009), 부산지역 경제기여도 원단위 산정 연구: 해상부분을 중심으로,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33권 제3호, 205-211.
  27. Edward Purnell(2016), 한진해운과 미국연방파산법 제15 장의 의의, 법학논총, 제29권 제2호, 483-520. https://doi.org/10.17251/legal.2016.29.2.483
  28. Abraham, B.(1980), Intervention Analysis and Multiple Time Series, Biometrika, 67(1), 73-78. https://doi.org/10.1093/biomet/67.1.73
  29. Atkins, M. S.(1979), A Case Study on the Use of Intervention Analysis Applied to Traffic Accidents, The Journal of the Operational Research Society, 30(7), 651-659. https://doi.org/10.1057/jors.1979.159
  30. Bhattacharyya, M. N. and Layton, A. P.(1979), Effectiveness of Seat Belt Legislation on the Queensland Road Toll - An Australian Case Study in Intervention Analysis,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74(367), 596-603. https://doi.org/10.1080/01621459.1979.10481655
  31. Box, G. E. P. and Jenkins, G. M.(1970), Time Series Analysis: Forecasting and Control. Holden-Day: San Francisco.
  32. Box, G. E. P. and Tiao, G. C.(1975), Intervention Analysis with Applications to Economic and Environmental Problems,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70(349), 70-79. https://doi.org/10.1080/01621459.1975.10480264
  33. Goh, C. and Law, R.(2002), Modeling and forecasting tourism demand for arrivals with stochastic nonstationary seasonality and intervention, Tourism Management, 23(5), 499-510. https://doi.org/10.1016/S0261-5177(02)00009-2
  34. Izenman, A. J. and Zabell, S. L.(1981), Babies and the blackout: The genesis of a misconception, Social Science Research, 10(3), 282-299. https://doi.org/10.1016/0049-089X(81)90018-1
  35. Kou, Y., Liu, L. and Tian, X.(2011), The Impact of the Financial Tsunami on Hong Kong Port, The Asian Journal of Shipping and Logistics, 27(2), 259-278. https://doi.org/10.1016/S2092-5212(11)80012-X
  36. Lee, H. and Rhee, C.(2012), Lessons from the 1997 and the 2008 Crises in the Republic of Korea, Asian Economic Policy Review, 7(1), 47-64. https://doi.org/10.1111/j.1748-3131.2012.01215.x
  37. McDowall, D., McCleary, R., Meidinger, E. E. and Hay, R. A. Jr.(1980), Interrupted Time Series Analysis (Sage University Paper Series: Quantitative Applications in the SocialSciences, J. L. Sullivan, Ed.), Beverly Hills: Sage Publications.
  38. Zheng, T.(2014), What caused the decrease in RevPAR during the recession?: An ARIMA with intervention analysis of room supply and market demand,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mporary Hospitality Management, 26(8), 1225-1242. https://doi.org/10.1108/IJCHM-05-2013-01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