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Strategy of Russia's Political Elites to Maintain Dominance Through the Overhaul of Electoral System

선거제도 개편을 통한 러시아 정치 엘리트의 지배력 유지 전략

  • Siheon Kim (Graduated School of International and Area Studies at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
  • Seho Jang (Institute for National Security Strategy)
  • 김시헌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대학원) ;
  • 장세호 (국가안보전략연구원)
  • Received : 2023.01.13
  • Accepted : 2023.02.03
  • Published : 2023.02.28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and identified a series of strategies of Russia's political elites to maintain and strengthen their dominance by reviewing the case of revisions in the election laws of Russia in 2014. At that time, a mixed-member electoral system was newly introduced, and on the surface, it seemed that the new system was a step toward meeting the demands of the people for "enhanced democracy". However, in 2016 and 2021, the ruling party of Russia won the general elections by making the most of the factors that could distort the election results inherent in the mixed-member electoral system.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whether the revision of election laws was a mere vehicle used by the ruling party, United Russia, to maintain its political power, or whether it was a leap forward to achieve democracy. The study result indicate that the revision of election laws in 2014 was part of the policy responses to the internal conflicts in the circle of Russia's political elites, which had been rising since 2008, as well as to the public resistance. In other words, it was confirmed that the revision of election laws was one of the measures taken to "minimize competition" and "reproduce political power on a stable basis".

본 연구는 2014년 선거법 개정 사례를 통해 러시아의 정치 엘리트가 지배력을 유지하고 강화하는 일련의 전략을 규명하고 있다. 당시 새롭게 도입된 혼합형 선거제도는 표면적으로 봤을 때 '민주주의의 증진'에 대한 대중의 요구를 수용한 듯 보였다. 하지만 러시아의 집권세력은 2016년과 2021년 총선에서 혼합형 선거제도 자체에 내재된 선거결과의 왜곡 요소를 극대화하여 승리했다. 따라서 선거법 개정이 집권 여당인 통합러시아의 권력 유지를 위한 수단이었는지, 아니면 민주주의를 위한 도약이었는지 분석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 결과 2014년 선거법 개정은 2008년부터 본격화된 엘리트 내부 분열과 대중적 저항에 대한 정책적 대응이었다고 판단된다. 즉, '경쟁의 최소화'와 '권력의 안정적인 재생산'을 위한 수단일 뿐이었음이 확인되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1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NRF-2021S1A5C2A01090085)이다.

References

  1. 김장수.(2007). 선거연구의 동향: 지속과 변화. 한국정치학회 편, 현대정치학 이론의 발전. 고양: 인간사랑.
  2. 데이비드 파렐.(2017). 선거제도의 이해. 전용주 번역. 파주: 한울.
  3. 마르가레타 몸젠.(2019). 푸틴 신디케이트. 이윤주 번역. 파주: 한울.
  4. 서동주.(2014). 러시아 현대정당사. 서울: 국가안보전략연구소.
  5. 장세호 편.(2012). 2011 Russia Report. 용인: 한국외국어대학교 러시아연구소.
  6. 홍완석 편.(2011). 2011년 러시아는 어디로 가는가. 서울: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7. 후베르트 자이펠.(2018). 푸틴: 권력의 논리. 김세나 번역. 파주: 지식갤러리.
  8. 박상철, 김현태, 조규범&류홍채.(2017). 직접민주제 도입 방안에 관한 연구.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연구용역 보고서.
  9. 이선봉.(2019). 지방자치단체 행정소송에 대한 국가관여에 있어서 무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이인섭, 유의정&이동영.(2014). 러시아, 폴란드 공무 국외출장 보고서. 국회입법조사처 보고서.
  11. 장세호.(2018). 현대 러시아 권력엘리트와 대외정책 결정과정 연구. 재단법인 여시재 연구용역 보고서.
  12. 진영재, 이재묵, 김재호&김준석.(2017). 선거구제 운영사례와 대표성 제고 방안 연구.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연구용역 보고서.
  13. 김경화&이경원.(2009). 권력의 두 얼굴: 이명박 정부의 영리병원 허용 논쟁을 중심으로. 경제와 사회 제82권.
  14. 우경봉.(2020). 정당 지지에 대한 세대별 차이 고찰. 분석과 대안 제4권 제2호.
  15. 유진숙.(2009). 러시아 선거제도 개혁: 권력관계, 확산, 제도변화. 국제정치논총 제49권제4호.
  16. 장덕준.(2022). 푸틴 시기 권위주의의 공고화와 '포위된 요새'론. 중소연구 제46권제2호.
  17. 장세호.(2014). 2008~2014년 러시아 선거제도 변화 연구: 주요 동인을 중심으로. 슬라브학보 제29권제3호.
  18. 장세호.(2017). 러시아 제7기 국가두마 선거와 선거제도 개편의 제도효과. Acta Eurasiatica 제8권제2호.
  19. 장세호.(2021). 2021년 러시아 국가두마 의원 선거 평가. 슬라브학보 제36권제4호.
  20. 최우익.(2015). 2011~2012년 부정선거 규탄시위 이후 러시아 국민의식의 변화. 동유럽발칸연구 제39권제5호.
  21. 최우익.(2012a). 러시아연방 인문공간 연구: 2011년 말 2012년 초 러시아의 반정부 시위, 정말 중산층이 주도했을까. Russia & Russian Federation 제3권제4호.
  22. 최우익.(2012b). 러시아 부정선거 규탄 시위지역 주민의 사회경제적 특성과 중산층 비율. 러시아연구 제22권제2호.
  23. 이홍섭.(2013). 크렘린, 모스크바 시장선거 결과에 당혹. Russia.CIS Focus 제237호. https://rus.or.kr/70/11527266 (검색일: 2023.01.04.).
  24. Remington, T.(2016). Politics in Russia. 7th Ed; New York: Routledge.
  25. Remington, T.(2001). The Russian Parliament: Institutional Evolution in a Transitional Regime 1989-1999.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26. Sharafutdinova, G.(2020). The Red Mirror: Putin's Leadership and Russia's Insecure Identity.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7. Kolesnikov, A.&Makarenko, B.(2013). Another Rubber Stamp Duma. Carnegie Moscow Center Analytical Report.
  28. Zimmerman, W., Inglehart, R., Ponarin, E., Lazarev, Y., Sokolov, B., Vartanova, I.&Turanova, Y.(2013). Russian Elite-2020 Valdai Discission Club Analytical Report.
  29. Bachrach, P.&Baratz, M.(1962). Two Faces of Power. The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56(4).
  30. Bachrach, P.&Baratz, M.(1963). Decisions and Nondecisions: An Analytical Framework. The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57(3).
  31. March, L.(2009). Managing Opposition in a Hybrid Regime: Just Russia and Parastatal Opposition. Slavic Review 68(3).
  32. Schneider, E.(2009). Split in the Russian political tandem Putin-Medvedev. Caucasian Review of International Affairs 3(2).
  33. Волков, Д.(2015). Настроения российских элит после Крыма. Московский центр Карнеги рабочий материал.
  34. Колесников, А.&Макаренко, Б.(2015). Выборы-2016: рутина или перемены. Московский центр Карнеги Рабочий Материал.
  35. Анохина, Н.&Мелешкина, Е.(2007). Пропорциональная избирательная система и опасности президенциализма: российский случай. Полис. Политические исследования 5.
  36. Вилков, А.(2013). Эволюция избирательной системы на выборах депутатов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й думы Федерального Собрания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Социология. Политология 13(3).
  37. Вилков, А..(2014). Возвращение к смешанной избирательной системе на выборах в Государственную думу: извлечены ли политические уроки. Социология. Политология 14(1).
  38. Иванова, Е.(2017). Избирательные системы на выборах в государственную Думу Федерального Собрания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Вестник Международного института экономики и права 2.
  39. Купцов, О.(2016). Развитие избирательной системы России в контексте обеспечения политической конкуренции. Вестник экономики, права и социологии 2.
  40. Ревина, С., Суркова, О.&Сидорова, А.(2019). Представительство в российском парламенте: проблемы реализации. Вестник Волжского университета им. В. Н. Татищева 3.
  41. Баев, А.(2016). Россияне стали больше доверять избирательной системе. РБК. https://www.rbc.ru/politics/22/08/2016/57b9c2fd9a79474fe46237bf (검색일: 2022.12.22.).
  42. Левада Центр.(2014). Индекс социальных настроений. Левада Центр. https://www.levada.ru/2014/07/20/indeks-sotsialnyh-nastroenij/print/ (검색일: 2022.12.22.).
  43. Медведев, Д.(2009). Послание Федеральному Собранию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Президент России. http://kremlin.ru/events/president/news/5413 (검색일: 2023.01.10).
  44. Миронов, С.(2016). Верить мне надо обязательно. Газете.Ru. https://www.gazeta.ru/politics/2016/06/15_a_8309039.shtml?updated (검색일: 2023.01.14.).
  45. Путин, В.(2012). Послание Президента Федеральному Собранию. Президент России, http://kremlin.ru/events/president/news/17118 (검색일: 2023.01.10).
  46. Становая, Т.(2016). Выборы в Госдуму: приближение к финишной прямой. Политком. http://politcom.ru/21315.html (검색일: 2023.0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