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Understanding of the blended instruction in the College focused on the preference to the type of blended instruction

대학에서의 블렌디드 수업에 관한 소고 -수업 선호도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23.08.04
  • Accepted : 2023.08.20
  • Published : 2023.08.31

Abstract

Expectations and interests in blended learning are increasing as universities respond to the educational flow of transition to e-lernring. This study tried to explore and understand the meaning of and the properties of blended instruction. In addition,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was to find out how bleanded learning affected in teaching and learning situation. Particularly, it was to find out students' preference to the type of blended instruction. Those types are the mixed of or the unique of class instruction(off line), on line, and recorded instruction. To investigate learners' preference to the type of the instruction and also the reason of the preference, in this study, the 27 undergraduate students of the fourth grade in the major of mathematics education in the C university located in G area. By the result, most students preferred the mixed type of instruction involving off line and recorded instruction. The reason is that they could attend to the class while participating in the group activity positively and understand the content through the communication in depth and the instructor's feedback. Because of this reason, they did not prefer to the only one type insturction such as the recorded type.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2년도 조선대학교 연구지원금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

References

  1. 김성옥 (2016). 대학의 미적분학 교과목에서 수업 방식에 따른 교육 효과 고찰. 수학교육논문집, 30(1), 106-119.
  2. 김은혜, 이정미 (2020).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원격수업의 학습참여활동에 따른 학업성취도 차이분석: A대학교 Smart Class를 중심으로. 상업교육연구, 34(6), 1-21. https://doi.org/10.34274/KRABE.2020.34.6.001
  3. 김미영, 안광식, 최완식 (2005). 블렌디드 학습, 온라인 학습, 오프라인 학습의 학업성취도와 학습만족도 비교. 한국공업교육학회지, 30(1), 106-119.
  4. 김미용, 배영권 (2012). 스마트교육 현장 적용을 위한 스마트교육 모형 개발. 한국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13(5), 77-92.
  5. 김홍겸 (2021). 코로나-19 상황에서의 수학과 원격수업의 만족도 및 수학학습과의 연관성에 대한 사례연구. 수학교육논문집, 35(3), 341-358.
  6. 미래교실네트워크 (2021). 교실생존비법. 서울: 에듀니티.
  7. 오동주, 황홍섭 (2020) COVID-19가 교육에 미친 인식, 행동, 가치 및 태도의 변화 양상. 사회과교육, 59(3), 223-250.
  8. 이동주, 김미숙 (2020). 코로나19 상황에서의 대학 온라인 원격교육 실태와 개선 방안. 멀티미디어 언어교육, 23(3), 359-377.
  9. 이상수 (2007). Blended learning의 의미와 상호작용 설계원리에 대한 고찰.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3(2), 225-250.
  10. 이시철, 김선영, 박상훈 (2020). 대학의 코로나-19 초기 대응과 수업만족도 평가: 경북대학교의 비대면 학기 사례.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20), 993-1019.
  11. 이헌수 (2019). 블렌디드 이러닝이 공학수학 교수.학습에 미치는 효과.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22(4), 395-413. https://doi.org/10.30807/KSMS.2019.22.4.003
  12. 이헌수 (2020), 대학 원격수업에 대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인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23(3), 377-395. https://doi.org/10.30807/KSMS.2020.23.3.007
  13. 이현주 (2012). 블렌디드 러닝을 통한 대학생 영어학습에서의 상호작용과 자기주도적 학습의 효과.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8(1), 1-24.
  14. 임수현, 정은선(2021). 코로나19 기점으로 나타난 초등학교 4, 6학년 수학 학업성취도 변화 분석. 한국초등교육, 32(3), 249-266. https://doi.org/10.20972/KJEE.32.3.202109.249
  15. 임정훈 (2007). 대학 Blended Learning 환경에서 온라인-오프라인 혼합방식 및 성찰활동이 자기조절학습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3(4), 49-76.
  16. 임진형, 고선영 (2015). 대학교육의 스마트러닝에 대한 인식 및 활용 방안.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6(8), 5232-5239. https://doi.org/10.5762/KAIS.2015.16.8.5232
  17. 조성일 (2020). 대면수업과 온라인 수업의 학업 성취도 비교. 상업교육연구, 34(6), 23-39. https://doi.org/10.34274/KRABE.2020.34.6.002
  18. 전영주, 임해미, 김희정, 김선희, 노지화, 서보억, 손홍찬, 신보미, 이경언, 이봉주, 한인기(2023). 수학과 교수.학습의 이론과 실제. 서울: 경문사.
  19. 정순모, 박혜연, 김응환 (2015). EBSmath의 활용이 농촌학생들의 수학 자기주도적 학습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8(1), 123-148.
  20. 최영림 (2020). K-MOOC 강좌 개발과 학습자 만족도 분석-어패럴패턴캐드 교육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44(2), 369-383.
  21. 최윤경 (2011).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한 '기초중국어' 수업 모형 개발 및 적용. 중국어교육과연구, 13(12), 1-21.
  22. 최종후, 전새봄 (2019). 설문조사 처음에서 끝까지. 경기도, 파주: 자유아카데미.
  23. 최병수, 유상미 (2013). 컴퓨터교과교육: 대학 강의실 수업의 효과성 향상을 위한 H형 블렌디드 이러닝 적용 효과 분석.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집, 16(3), 49-60.
  24. 한지영, 이은화 (2010).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 환경에서 e-learning에 한 학습자의 지각정도와 학습만족도-S대학 보건교육학 강좌를 중심으로-.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3(6), 69-77.
  25. 홍성연 (2020).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원격교육 환경에서 대학 교양교과목의 수업성찰. 교양 교육 연구, 14(6), 283-298.
  26. 홍성욱, 홍수민 (2022). 온오프라인 수업설계 퀵 모형, AMOS Model. 서울: (주)피와이메이트.
  27. 홍효정 (2017). 블렌디드 러닝기반 기초수학 수업에서 자기효능감, 자기조절학습이 학습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 공학교육연구, 20(6), 3-11. https://doi.org/10.18108/JEER.2017.20.6.3
  28. Brown, B. W. & Liedholm, C. E. (2002). Can web Courses Replace the Classroom in Principles of Microeconomics?. The American Economic Review, 92(2), 444-448.
  29. Carmen, J. M. (2002). Blended learning design: Five key ingredients. Retrieved from http://mizanis.net/edu3105/artikel/Blended-Learning-Design.pdf.
  30. Driscoll, M. (2002). Blended learning: Let's get beyond the hype. E-Learning, 3(3), 54-56.
  31. Singh, H. & Reed, C. (2001). A White paper: Achieving success with blended learning. Retrieved from http://www.centra.com/download/whitepaper/blendedlearning.pdf
  32. Staker, H., & Horn, M. B. (2012). Classifying K-12 Blended Learning. Mountain View, CA: Innosight Institu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