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Grotesque Tendency in German Expressionism - Focused on Café Müller

독일 표현주의에 내재된 그로테스크 성향 연구 - 카페 뮐러(Café Müller)를 중심으로

  • CHOI, Jung Yun (KookMin University Dept. of Performing Arts and Multimedia, Dance Science Major)
  • 최정윤 (국민대학교 예술대학 무용전공)
  • Received : 2023.06.18
  • Accepted : 2023.07.24
  • Published : 2023.08.02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German expressionist dance and grotesque art, with a specific focus on the analysis of Pina Bausch's renowned work, <Café Müller>. German expressionist dance emerged as a response to the social instability and economic downturn that followed World War I, leading to the introduction of expressionism and grotesque aesthetics. The incorporation of grotesque expression in dance plays a critical role in boldly portraying the destruction of the human condition and its underlying causes, thereby offering insights into social contradictions and the erosion of human nature. This research thoroughly explores the intricate connection between German expressionist dance and grotesque expression, providing a comprehensive analysis of Pina Bausch's <Café Müller> to reassess the profound meaning and significance of expressionist dance. Additionally, this study delves into the inherent grotesque tendencies embedded within the work, surpassing conventional notions of visual beauty and ugliness, and strives to reinterpret the essence of grotesque expression through the nuanced movements of the dancers and the integration of auditory elements within the performance.

본 연구는 독일 표현주의 무용과 그로테스크 예술의 상호관계를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피나 바우쉬(Pina Bausch, 1940-2009)의 <Café Müller(1980)> 작품을 분석한다. 독일 표현주의 무용은 제1차 세계대전으로 인한 사회적 불안정과 경제적 불황의 영향을 받아 표현주의와 그로테스크 미학이 도입되었다. 그로테스크 표현은 인간의 파괴된 모습과 그 근본 원인을 과감하게 표출하여 사회적 모순과 인간 본질의 상실감을 비판적으로 보여주는 역할을 한다. 연구자는 독일 표현주의 무용과 그로테스크 표현의 관련성을 탐구하고, 피나 바우쉬의 <카페 뮐러> 작품을 분석하여 표현주의 무용의 의미와 중요성을 재조명한다. 또한, 작품 내 그로테스크 성향을 시각적 아름다움과 추의 기준에서 벗어나 작품 내용의 본질로 탐구하고, 무용수의 움직임, 청각 요소를 통해 그로테스크 표현성이 전달하는 의미를 재해석한다.

Keywords

References

  1. 미하일 바흐친, 「프랑수아 라블레의 작품과 중세 및 르네상스의 민중문화」,이덕형, 최건영 역, 아카넷, 2001.
  2. 볼프강 카이저, 「미술 문학에 나타난 그로테스크」, 이지혜 역, 아모르문디, 2011.
  3. 슐리허.수잔네, 「탄츠테아터: 그 전통과 자유」, 박균 역, 범우사, 2006.
  4.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전쟁은 여자의 얼굴을 하지 않았다.」, 박은정 역, 문학동네, 2013.
  5. 앙리 베그르손 ,「웃음」, 김진성 류지석 역, 파이돈, 2022.
  6. 요헨 슈미트, 「피나 바우쉬 두려움에 맞선 춤사위」, 이준서 임미오 역, 을유문화사, 2005.
  7. 이득재, 「바흐친 읽기- 바흐친의 사상, 언어, 문학」, 문화과학사, 2003.
  8. 정의숙. 반주은 , 「몸짓의 빛 한순간의 자유」.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04.
  9. 필립 톰슨, 「더 그로테스크」, 김영무 역,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6.
  10. Grotesque, edited by Frances S. Connell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11. Langer, Susanne K., Feeling and Form: A Theory of Art developed from Philosophy in a New Key, New York: Charles Scribner's Sons, 1953.
  12. Ruskin, John, The Works of John Ruskin II, London: Wentworth Press, 1996.
  13. 고은숙, 현대춤 사상의 관점에서 본 마리 뷔그만 표현춤의 아방가르드적 특성 연구 ,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14. 김예경, 「그로테스크 미학: 공포와 웃음 사이에서. 영상문화」,「한국영상문화학회」, 38호, 2021.
  15. 김말복. 이지원, 「20세기 초엽 독일 현대 춤에 나타난 실존적 의미와 해석」, 「한국무용예술학회」, 47호, 2014.
  16. 김명헌, 피나바우쉬 탄츠테아터의 공간구축과 연극성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17. 김성한, 피나 바우쉬의 카페 뮐러에 나타난 신표현주의에 대한 고찰, 성균관대학교 사학위논문, 2008.
  18. 김세연, 여성혐오적 미디어 프레임의 폭력성과 그로테스크한 신체 표현연구 : '김치녀'와 '맘충' 시리즈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20.
  19. 김수이, 독일 탄츠 테아터와 일본 부토의 민족 문화적 예술 성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5.
  20. 김원, TV 포맷의 새로운 유형화: 이야기, 놀이, 미디어의 관계성을 중심으로 , 한국외국어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5.
  21. 김은혜, 「돈키호테」에서의 웃음 양상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22. 박건용, 「미하일 바흐친의 카니발 이론과 문학의 카니발화」, 「한국독어독문학회」, 31호, 2004.
  23. 박미숙, 표현주의 무용의 시대적, 민족적 특성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24. 박상준 , 바흐친의 대화론을 적용한 무용창작 연구,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25. 방희선, 「루돌프 폰 라반의 사상과 독일표현주의 무용-마리 뷔그만, 한야 홈을 중심 으로」, 「대학무용학회」, 41호, 2004.
  26. 백훈기, 그로테스크의 연극 미학 연구-모방(mimesis)개념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27. 신하라, 푸른수염에 내재된 피나바우쉬의 무용 특성: 베르톨트 브레히트 소외기법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12.
  28. 오원영, 현대조각에 있어서 이미지 연극성,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29. 이동원, 피나 바우쉬(Pina Bausch) 카페 뮐러(Cafe Muller)에서 재현된 브레히트(Brecht)의 생소화 효과 기법, 성균관대학교 석사논문, 2010.
  30. 이보휘, 피나 바우쉬 <카페 뮐러>의 의미생성 과정 분석,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31. 이상, 표현주의적 관점에 따른 현대무용가 비교연구 : 독일, 미국, 한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32. 이윤주, 1990년대 한국창작 춤에 나타난 표현주의적 경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33. 이은경, 독일 표현주의 현대무용의 흐름에 대한 연구, 이화 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0.
  34. 이지영, 김기정 동화에 나타난 카니발적 희극성 연구 - 해를 삼킨 아이들을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35. 장재현, 표현주의 예술사조가 독일의 현대무용에 미친 영향,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36. 전성희, 「한국의 가면극과 그로데스크 - 양주별산대, 봉산탈춤, 가산오광대를 중심으로」, 「한국드라마학회」, 27호, 2007.
  37. 정옥조 , 「쿠르트 요스 녹색 테이블에 관한 연구」,「대한무용학회」, 68호, 2011.
  38. 주송현. 「김운미(2017). 미하일 바흐친의 사유로 본 송파산대놀이의 그로테스크 리얼리즘연구」,「무용역사기록학」, 45호, 2017.
  39. 최진석, 「생성과 그로테스크의 반(反)-문화론. 미하일 바흐친의 라블레론 다시 읽기」,「기호학연구」, 39호, 2014.
  40. 클라우디아 예시케. 엄양선, 「무용, 표현주의 춤」. 「공연과 리뷰」, 54호, 2006.
  41. 황혜진, 현대패션에 나타난 카니발레스크 이미지와 의미해석: 바흐친의 카니발 이론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