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Narrative Study of a Counselor's Experience of Violence from Father during Childhood and Adolescence

아동청소년기에 아버지로부터 폭력을 경험한 상담자의 내러티브 연구

  • Received : 2023.06.22
  • Accepted : 2023.07.18
  • Published : 2023.07.31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how experiences of domestic violence from fathers during childhood and adolescence have influenced the formation of one counselor's identity and the outcomes in their life. The research aims to explore how studying the life of this counselor can provide positive effects to other clients who have experienced domestic violence. The research methodology involves in-depth interviews and observations of the participants to understand the subjects, adopting a qualitative research approach based on counseling content. The research findings demonstrate that experiences of domestic violence during childhood and adolescence hav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shaping an individual's identity and that through 'overcoming,' one can reconstruct a negative life of 'violence' into a positive life as a 'counselor.' Furthermore, these experiences have provided an opportunity for the individual to perceive themselves more objectively and to find meaning in personal growth and maturity throughout their life journey.

본 연구는 아동 청소년기에 아버지로부터 받은 가정 폭력 경험이 한 상담자의 정체성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고, 삶에 어떠한 결과를 가져 왔는지 알아보는 연구이다. 연구 목적은, 이 상담자의 삶의 연구가 가정폭력을 경험한 다른 내담자에게 긍정적 효과로 도움을 줄 수 있는데 있다. 연구 방법은, 연구 참여자의 심층 면접과 관찰을 통해 대상자를 이해하고, 상담 내용을 바탕으로 한 질적 연구 방법론을 채택하였다. 연구 결과는, 아동 청소년기에 경험한 가정 폭력이 한 사람의 정체성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극복'을 통해 '폭력'의 부정적인 삶을 '상담사'가 되는 긍정적인 삶으로 재구성 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이러한 경험은 한 사람의 생애사를 통해 보다 객관적으로 자신을 보는 시각과 성장과 성숙의 기회로 삼는 의미를 부여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정명(2021) 아마르티아 센의 「정체성과 폭력」시각으로 본 아프간 난민 문제 1090호>
  2. 김병득(2012). 내러티브 탐구의 존재론적, 방법론적, 인식론적 입장과 탐구과정에 대한 이해. 교육인류학연구, 15(3), 1-28. https://doi.org/10.17318/JAE.2012.15.3.001
  3. 박정은. (2018). "가정폭력경험이 데이트 폭력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박지현.최지영. (2016). "가정폭력노출아동을 위한 자아존중감 향상 집단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과 내재/외현화 문제에 미치는 효과", 「한국인간발달학회 학술대회지」, 91-91.
  5. 서진선. (2017). "보육교사의 자아존중감과 교사 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오은영(2023) 나의 문제는 유년기에서 비롯? 이 말이 놓친 것, 치유 문화는 정말 치유적일까?
  7. 윤견수.김순희(2013). 2013 봄; 공직의 정체성에 대한 연구: 공무원의 영혼에 대한 내러티브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47(1), 1-23.
  8. 이병도.박현민.서우승.이창배. (2019). "가정폭력과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아동의 비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공안행정학회보」, 28: 307-344.
  9. 이승주.정병수. (2015). "가정폭력 노출경험과 학교 폭력 가해행동의 관계: 공격성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경찰학회보」, 17(3): 223-250.
  10. 전신현. (2019). "학교적응이 청소년비행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 및 조절효과: 초, 중, 고 세 학령별 연구", 「청소년문화포럼」, 73-97.
  11. 주재홍.김영천(2012). 질적 연구의 지적 전통으로서 포스트모더니즘 : 그 방법적 이슈들. 교육인류학연구, 15(3), 29-61. https://doi.org/10.17318/JAE.2012.15.3.002
  12. 홍세은.정지수. (2019). "아동기 학대피해경험이 데이트 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폭력허용도와 충동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형사정책연구」, 30(4): 69-104.
  13. 배영미. (2014).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체험된 폭력과 정체성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8(4), 3-33.
  14. Honneth, A.(2009). 정의의 타자 (문성훈.이현재. 장은주.하주영 역). 나남.
  15. Payne, M.(2005). Modern social work theory. Lyceum.
  16. Yarhouse. M. A.(2008). Narrative sexual identity spiritual and/ therapy. The American Journal of Family Therapy, 36(3), 196-210. https://doi.org/10.1080/019261807012364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