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Investigative Study on the Impact of Construction Policies on Market Entry and Exit of Construction Companies in Daegu and Gyeongbuk Province

건설정책이 대구·경북지역 건설기업의 시장 진입과 퇴출에 준 영향에 관한 조사연구

  • Received : 2023.05.19
  • Accepted : 2023.06.09
  • Published : 2023.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mpirically the effects of changes in policies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on the entry and exit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and to present the direction of changes in construction industry policie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lso to present by analyzing the factors influencing the increase and decrease of builders in the actual construction market. The results of the survey indicate that for general contractors in Daegu and Gyeongbuk, which are mostly small and medium-sized construction companies, the strengthening of registration standards (capital, technicians, etc.) has a significant impact on market entry and exit. However, on the other hand, many of the construction policies implemented to eliminate unqualified contractors in the construction market have had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number of unqualified contractors. This suggests that construction policies in the construction cycle have not achieved their objectives.

본 연구는 정부의 건설산업 정책 중 업역제도, 입찰제도, 하도급제도, 시공관리 등 실제 건설업체들의 행태에 미친 영향이 클 것으로 판단되는 주요 정책들을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의 시작은 건설업법이 건설산업기본법으로 대치되고 건설업 면허가 면허제도에서 등록제도로 전환된 시점에서 시작하여 최근까지 시행된 주요 건설정책을 선정하여 그 효과를 조사·분석하였다. 조사결과, 중소건설업체가 대부분인 대구·경북지역 일반건설업체의 경우, 건설업 등록기준(자본금, 기술자 등)의 강화가 시장 진입 및 퇴출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중소 건설업체 등을 대상으로 등록기준 관련 정책을 합리적으로 시행한다면 건설시장 내의 부적격 건설업체 퇴출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반면 건설시장 내의 부적격업체 퇴출을 위해 시행된 상당수의 건설정책들이 오히려 부적격 건설업체의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 이는 건설수주기의 건설정책이 시행 목적 달성에 미흡하였다는 것을 시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나경연, 최민수, 홍갑표 (2015). 건설업 진.출입 제도 개선 방향- 건설업 등록제도를 중심으로. 한국건설산업연구원.
  2. 대한건설협회 (2017). 건설경영분석.
  3. 대한건설협회, 한국건설산업연구원 (2017). 한국건설통사. 대한건설협회.
  4. 박세훈 (2008). 건설업역구조 개선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울산대학교 대학원.
  5. 박진형 (2014). 대학평가정책 변화과정에 대한 신제도주의 분석.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6. 신은희, 장수명 (2016). 역사 교과서 국정화 과정에 대한 신제도주의 분석. 교육정치학연구, 23(4), 135-164.
  7. 안현찬 (2014). 근린공간 거버넌스에 대한 제도주의적 분석.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8. 윤영선 (2012). 한국 건설산업의 업역주의에 관한 문화적 고찰. 한국건설산업연구원.
  9. 하연섭 (2006a). 신제도주의의 이론적 진화와 정책연구. 행정논총, 44(2), 217-245.
  10. 하연섭 (2006b). 정책아이디어와 제도변화: 신자유주의 해석과 적용을 중심으로. 행정논총, 44(4), 1-27.
  11. 하연섭 (2013). 제도분석: 이론과 쟁점. 다산출판사.
  12. Alexander, E. R. (2005). Institutional transformation and planning: From institutionalization theory to institutional design. Planning Theory, 4(3), 209-223. https://doi.org/10.1177/1473095205058494
  13. Aoki, M. (2001). Toward a comparative institutional analysis. Cambridge: The MIT Press.
  14. Campbell, J. L. (2010). The Oxford handbook of comparative institutional analysis. In G. M. et al. (Eds.), Institutional reproduction and change (pp. 86-115).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5. Kjaer, P., & Pedersen, O. (2001). Translating liberalization. In J. Campbell & O. Pedersen (Eds.), The rise of neoliberalism and institutional analysis (pp. 219-248). New Jersey: Princeton University Press.
  16. Stigler, G. J. (1968). The economies of scale. Journal of Law and Economics, l(1), 54-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