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zing the Performance of the South Korean Men's National Football Team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Focusing on the Manager Bento's Matches

사회연결망분석을 활용한 한국 남자축구대표팀 경기성과 분석: 벤투 감독 경기를 중심으로

  • 정연식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경영학과) ;
  • 강은경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빅데이터응용학과) ;
  • 양성병 (경희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과)
  • Received : 2023.05.29
  • Accepted : 2023.06.09
  • Published : 2023.06.30

Abstract

The phenomena and game records that occur in sports matches are being analyzed in the field of sports game analysis, utilizing advanced technologies and various scientific analysis methods. Among these methods, social network analysis is actively employed in analyzing pass networks. As football is a representative sport in which the game unfolds through player interactions, efforts are being made to provide new insights into the game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which were previously unattainable. Consequently,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hanges in pass networks over time for a specific football team and compare them in different scenarios, including variations in the game's nature (Qatar World Cup games vs. A match games) and alterations in the opposing team (higher FIFA rankers vs. lower FIFA rankers). To elaborate, we selected ten matches from the games of the Korean national football team following Coach Bento's appointment, extracted network indicators for these matches, and applied four indicators (efficiency, cohesion, vulnerability, and activity/leadership) from a football team's performance evaluation model to the extracted data for analysis under different circumstances. The research findings revealed a significant increase in cohesion and a substantial decrease in vulnerability during the analysis of game performance over time. In the comparative analysis based on changes in the game's nature, Qatar World Cup matches exhibited superior performance across all aspects of the evaluation model compared to A matches. Lastly, in the comparative analysis considering the variations in the opposing team, matches against lower FIFA rankers displayed superior performance in all aspects of the evaluation model in comparison to matches against top FIFA rankers. We hope that the outcomes of this study can serve as essential foundational data for the selection of football team coaches and the development of game strategies, thereby contributing to the enhancement of the team's performance.

스포츠 경기에서 발생하는 현상이나 경기기록을 분석하는 스포츠 경기분석 분야에 첨단기술과 다양한 과학적 분석기법이 적용되고 있으며, 그 중 패스네트워크 분석에 사회연결망분석 방법이 활발히 활용되고 있다. 축구는 선수 간 패스라는 상호작용을 통해 경기가 이루어지는 대표적인 스포츠인 만큼 사회연결망분석을 이용하여 기존에는 측정할 수 없었던 경기에 대한 새로운 정보를 제공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단일 축구팀의 (1) 시간 흐름에 따른 패스네트워크의 변화를 분석하고, (2) 전술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 중 경기의 성격 변화(카타르월드컵 vs. A매치)와 (3) 상대팀 변화(FIFA랭킹 상위팀 vs. FIFA랭킹 하위팀)에 대한 패스네트워크까지 총 세 가지 상황을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벤투 감독 부임 이후 한국 남자축구국가대표팀의 경기 중 10 경기를 선별하고, 이에 대한 네트워크 지표를 추출하였으며, 축구팀 경기력 평가모델의 네 가지 지표(효율성, 응집력, 취약성, 활동성/리더십)를 추출된 데이터에 적용한 후 세 가지 상황을 각각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시간 흐름에 따른 경기력 분석에서 응집력이 유의하게 상승하고, 취약성이 유의하게 하락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경기성격 변화에 따른 비교분석에서는 카타르월드컵 경기가 A매치 경기보다 평가모델의 모든 항목에서 경기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상대팀의 변화에 따른 비교분석에서는 FIFA랭킹 하위팀과의 경기가 상위팀과의 경기보다 평가모델의 모든 항목에서 경기력이 우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가 축구팀의 감독 선임 및 경기 전략을 수립하는데 주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되어 축구팀의 경기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은경, 정연식, 양선욱, 권지윤, 양성병 (2022). MIS Quarterly 연구동향 탐색: 토픽모델링 및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활용. 지능정보연구, 28(2), 207-235.  https://doi.org/10.13088/JIIS.2022.28.2.207
  2. 곽기영 (2017). 소셜네트워크분석 (제2판). 서울: 청람. 
  3. 김선덕, 성태영, 이동민, 이만형 (2016). 사회 연결망 이론에 근거한 아시안컵 축구 결승전 네트워크 분석: 중심성 지표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5), 205-2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5.205
  4. 김성호, 김협 (2022). 노인 인지능력 개선을 위한 헬스케어 서비스디자인 연구: 비정형 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 지식경영 연구, 23(4), 69-89. 
  5. 김정준, 황수웅, 박일혁 (2022). K 리그 팀 단위 패스 특성 분류 및 경기 결과와의 연관성 분석.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24(2), 39-52.  https://doi.org/10.21797/KSME.2022.24.2.003
  6. 김주학, 최형준 (2014). 스포츠경기분석 연구의 국내외 주요연구동향. 체육측정평가학회지, 16(1), 109-120. 
  7. 김창식, 곽기영 (2015). 조직구성원의 네트워크 위치가 지식공유에 미치는 영향. 지식경영연구, 16(2), 67-89.  https://doi.org/10.15813/KMR.2015.16.2.004
  8. 김혜진 (2007). 사회연결망(social network analysis: SNA)을 이용한 스포츠 경기분석.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9(1), 99-112.  https://doi.org/10.21797/KSME.2007.9.1.008
  9. 민대기, 이용수, 김용래 (2015). 축구경기의 경기력분석.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6(1), 187-196. 
  10. 박영민, 김종구 (2021). 대단지 아파트가 주거지 분리에 미치는 영향-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지 도시설계, 22(4), 153-170. 
  11. 배순한, 서재교, 백승의 (2010). 온라인 커뮤니티의 중심성 변화에 대한 탐색적 연구: 사회연결망 분석을 이용하여. 지식경영연구, 11(2), 17-35.  https://doi.org/10.15813/KMR.2010.11.2.002
  12. 양성병 (2012). 사회연결망분석을 이용한 신생조직 내부의 지식흐름 진단: A 사 해외법인 사례연구. 지식경영연구, 13(1), 13-24.  https://doi.org/10.15813/KMR.2012.13.1.002
  13. 엄한주, 김정아, 최형준 (2020). 배구경기 분석프로그램의 입력정보 설정 및 기술수행의 효율성 분석: 프로배구 2018-2019 정규시즌 여자경기 중심으로.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22(4), 137-161.  https://doi.org/10.21797/KSME.2020.22.4.012
  14. 오경은, 김수림, 최한별, 이희석 (2022). 소셜 네트워크 분석(SNA)을 활용한 택배 서비스 수요 분석. Information Systems Review, 24(4), 1-22. 
  15. 이희화, 김지응, 박종철 (2017). 사회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축구경기 패스분석. 디지털융복합연구, 15(7), 479-487.  https://doi.org/10.14400/JDC.2017.15.7.479
  16. 최승배, 강창완, 최형준, 강병욱 (2011). 사회네트워크분석을 통한 축구경기 분석.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2(6), 1053-1063. 
  17. 최영화, 이주엽 (2016). 소셜 네트워크 이론을 통한 스포츠 정보시각화에 관한 연구.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15(2), 111-122.  https://doi.org/10.21195/JIDR.2016.15.2.010
  18. 최형준, 엄한주 (2020). 스포츠경기분석의 이슈와 전망.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22(3), 105-113. https://doi.org/10.21797/KSME.2020.22.3.009
  19. Aquino, R., Carling, C., Palucci Vieira, L. H., Martins, G., Jabor, G., Jabor, G., Machado, J., Santiago, P., Garganta, J., & Puggina, E. (2020). Influence of situational variables, team formation, and playing position on match running performance and social network analysis in Brazilian professional soccer players. The Journal of Strength & Conditioning Research, 34(3), 808-817.  https://doi.org/10.1519/JSC.0000000000002725
  20. Barreira, D., Garganta, J., Guimaraes, P., Machado, J., & Anguera, M. T. (2014). Ball recovery patterns as a performance indicator in elite soccer. Journal of Sports Engineering and Technology, 228(1), 61-72. 
  21. Bruinshoofd, A., & Ter Weel, B. (2003). Manager to go? Performance dips reconsidered with evidence from Dutch football.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148(2), 233-246.  https://doi.org/10.1016/S0377-2217(02)00680-X
  22. Clemente, F. M., Martins, F. M. L., & Mendes, R. S. (2016). Analysis of scored and conceded goals by a football team throughout a season: A network analysis. Kinesiology, 48(1), 103-114.  https://doi.org/10.26582/k.48.1.5
  23. Clemente, F. M., Martins, F. M. L., Kalamaras, D., Oliveira, J., Oliveira, P., & Mendes, R. S. (2015). The social network analysis of Switzerland football team on FIFA World Cup 2014. Acta Kinesiologica, 9(1), 25-30. 
  24. Duch, J., Waitzman, J. S., & Amaral, L. A. N. (2010). Quantifying the performance of individual players in a team activity. PloS One, 5(6), e10937. 
  25. Gama, J., Passos, P., Davids, K., Relvas, H., Ribeiro, J., Vaz, V., & Dias, G. (2014). Network analysis and intra-team activity in attacking phases of professional football. International Journal of Performance Analysis in Sport, 14(3), 692-708.  https://doi.org/10.1080/24748668.2014.11868752
  26. Goncalves, B., Coutinho, D., Santos, S., Lago-Penas, C., Jimenez, S., & Sampaio, J. (2017). Exploring team passing networks and player movement dynamics in youth association football. PloS One, 12(1), e0171156. 
  27. Grund, T. U. (2012). Network structure and team performance: The case of English Premier League soccer teams. Social Networks, 34(4), 682-690.  https://doi.org/10.1016/j.socnet.2012.08.004
  28. Mclean, S., Salmon, P. M., Gorman, A. D., Stevens, N. J., & Solomon, C. (2018). A social network analysis of the goal scoring passing networks of the 2016 European Football Championships. Human Movement Science, 57, 400-408.  https://doi.org/10.1016/j.humov.2017.10.001
  29. Medina, P., Carrasco, S., Rogan, J., Montes, F., Meisel, J. D., Lemoine, P., Penas, C. L., & Valdivia, J. A. (2021). Is a social network approach relevant to football results? Chaos, Solitons & Fractals, 142, 110369. 
  30. Sarmento, H., Clemente, F. M., GonGalves, E., Harper, L. D., Dias, D., & Figueiredo, A. (2020). Analysis of the offensive process of AS Monaco professional soccer team: A mixed-method approach. Chaos, Solitons & Fractals, 133, 109676. 
  31. Sheehan, W. B., Tribolet, R., Watsford, M. L., Novak, A. R., Rennie, M. J., & Fransen, J. (2020). Using cooperative networks to analyse behaviour in professional Australian Football. Journal of Science and Medicine in Sport, 23(3), 291-296.  https://doi.org/10.1016/j.jsams.2019.09.012
  32. Trequattrini, R., Lombardi, R., & Battista, M. (2015). Network analysis and football team performance: A first application. Team Performance Management, 21(1/2), 85-110.  https://doi.org/10.1108/TPM-03-2014-0016
  33. Yamamoto, Y., & Yokoyama, K. (2011). Common and unique network dynamics in football games. PloS One, 6(12), e296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