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간호대학생의 가상현실 기반 해부학교육 프로그램의 사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the Usability of Virtual Reality based Anatomy Education Programs of Nursing Students

  • 이종란 (수원여자대학교 간호학과) ;
  • 황인주 (선문대학교 간호학과)
  • Lee, Jonglan (Department of Nursing, Suwon Women's University) ;
  • Hwang, inju (Department of Nursing, Sunmoon University)
  • 투고 : 2023.05.12
  • 심사 : 2023.05.21
  • 발행 : 2023.06.30

초록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usability of virtual reality-based anatomy education programs for nursing college students and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their usability.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143 nursing college students in Gyeonggi-do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from May to June 2022. The data analysis was analyzed using real numbers, percentages, means and standard deviation, ANOVA, Scheff's 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SPSS/WIN 23.0 program. Results: The subject's usability was 4.26 points (out of 5). The variable that has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usability of virtual reality-based anatomy education programs is perceived innovation (β=.370, p<.001), followed by perceived pleasure (β=.295, p=.001), perceived ease (β=.253, p<.001), smartphone usage time per day (β=.102, p=.031). These variables explained 70.6% of the usability of virtual reality-based anatomy education program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basic data for a virtual reality-based anatomy education program that will be developed and applied to nursing students in the future.

키워드

과제정보

본 연구는 2022학년도 수원여자대학교 연구과제 지원에 의해 수행되었음.

참고문헌

  1. Kavanagh S, Luxton-Reilly A, Wuensche B, Plimmer B. A systematic review of virtual reality in education. Themes in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2017;10(2):85-119.
  2. 강수정, 김춘미, 이홍자, 남재우, 박명숙. 간호교육에 적용한 가상현실 융합시뮬레이션 연구에 대한 통합적 고찰. 융합정보논문지. 2020;10(1):60-74. https://doi.org/10.22156/CS4SMB.2020.10.01.060
  3. 김현경, 고은정. 간호대학생의 성인간호실습 가상현실 교육 중재: 체계적 고찰.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JCCT). 2022;8(6):373-380. https://doi.org/10.17703/JCCT.2022.8.6.373
  4. 한달롱. 간호대학생의 가상현실(VR) 에 대한 인식과 정신 간호 가상현실 시뮬레이션에 대한 요구 조사.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2020;21(8):1481-1487. https://doi.org/10.9728/dcs.2020.21.8.1481
  5. 김선경, 엄미란, 박미현. 가상현실을 활용한 간호교육의 효과: 체계적 문헌고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9;19(2):661-670. https://doi.org/10.5392/JKCA.2019.19.02.661
  6. Uruthiralingam U, Rea PM. Augmented and virtual reality in anatomical education-A systematic review. Biomedical Visualisation; 2020. p. 89-101. https://doi.org/10.1007/978-3-030-37639-0_5
  7. Zhao J, Xu X, Jiang H, Ding Y. The effectiveness of virtual reality-based technology on anatomy teaching: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studies. BMC Medical Education. 2020;20(1):1-10. https://doi.org/10.1186/s12909-020-1994-z
  8. 이문영. 가상현실(VR) 을 적용한 기초의학 수업의 만족도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2019;13(7):531-537. https://doi.org/10.21184/jkeia.2019.10.13.7.531
  9. 이문영. 기초의학 수업에서 스마트기기와 스테이션 로테이션 모델 적용에 대한 만족도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2020;14(7):651-658. https://doi.org/10.21184/jkeia.2020.10.14.7.651
  10. 오지희. 확장된 기술수용모델(ETAM) 을 적용한 메타버스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연구: 가상세계 메타버스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21;21(10):204-216. https://doi.org/10.5392/JKCA.2021.21.10.204
  11. 최문종, 최재성, 천승호, 하영미, 양승경.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활용한 지역사회노인의 가상현실 기반 인지훈련시스템 사용의도 탐색. 디지털융복합연구. 2020;18(5):347-356. https://doi.org/10.14400/JDC.2020.18.5.347
  12. 최원석, 강다영, 최세정. 가상현실(Virtual Reality) 디바이스 이용의도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확장된 통합기술수용모델(UTAUT2) 을 중심으로. 정보사회와 미디어. 2017;18(3):173-208.
  13. Venkatesh V, Davis FD. A theoretical extension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Four longitudinal field studies. Management Science. 2000;46(2):186-204. https://doi.org/10.1287/mnsc.46.2.186.11926
  14. 김배성, 우형진. 인공지능(AI) 스피커 사용의도에 관한 연구: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9;19(9):1-10. https://doi.org/10.5392/JKCA.2019.19.09.001
  15. Yusoff RCM, Ahmad A, Zaman HB. Evaluation of user acceptance of mixed reality technology. Australasia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011;27(8):1369-1387. https://doi.org/10.14742/ajet.899
  16. 이지민, 홍성정.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적용한 간호대학생의 가상현실 기반 교육 프로그램 사용의도 분석. 한국보건기초의학회지. 2021;14:168-175. https://doi.org/10.37152/kmhs.2021.14.2.168
  17. 배수진, 권오병. 실재감, 공간능력 및 심미감이 증강현실의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영교육연구. 2018;33(4):355-386. https://doi.org/10.23839/kabe.2018.33.4.355
  18. 윤헌철, 기수현, 류지현. 진로교육에서 중고등학생의 진로 개발역량 개선을 위한 가상현실 기술수용의도 탐색연구. 교육공학연구. 2021;37(2):403-428. https://doi.org/10.17232/KSET.37.2.403
  19. 안지원.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을 이용한 해부학 학습에 대한 기술 수용도와 영향요인: 기술수용모델에 기초한 사용성 조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2019;10(12):487-494. https://doi.org/10.15207/JKCS.2019.10.12.487
  20. 교용용, 한동승. 기술수용모델을 이용한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콘텐츠 재이용 의도에 관한 연구.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2019;19(5):115-132. https://doi.org/10.7583/JKGS.2019.19.5.115
  21. 박상현, 마윤성, 조운용. 스포츠 웨어러블 디바이스 수용 의도에 관한 메타경로분석: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중심으로.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2018;23(5):17-32. https://doi.org/10.31308/KSSM.23.5.2
  22. 박성제, 고경훈, 김완주, 최지훈, 박찬, 윤다연, 양준석. 확장된 기술수용모델(ETAM) 을 활용한 이용자 혁신성이 스마트머신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2019;75:267-278. https://doi.org/10.51979/KSSLS.2019.02.75.2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