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코로나 19 팬데믹 상황에서 보육교사의 감염병 지식, 건강통제소재, 자기효능감과 감염병 예방행위 실천의 관계

Correlation of Childcare Teachers' Knowledge of Infectious Diseases, Health Locus of Control, Self-Efficacy, and Practice of Disease Preventio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 주아련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
  • 김유미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 투고 : 2023.04.15
  • 심사 : 2023.06.12
  • 발행 : 2023.06.30

초록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provide empirical data on epidemic management measures and childcare teacher education in centers. It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fectious disease knowledge, health control knowledge, and self-efficacy in relation to the practice of preventive behaviors among infant and toddler teacher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Methods: The study involved 300 teachers from Seoul and Gyeonggi Provinc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and analyzed using SPSS 23.0. Results: The study found that there i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teachers' knowledge of infectious diseases and their engagement in preventive behavior. Additionally, internal control among the health care factors of childcare teachers also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Furthermore, the study revealed that the self-efficacy of childcare teachers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ir practice of preventive behavior. Overall, infectious disease knowledge, internal control measures, and self-efficacy were all found to have positive relationships with preventive behavior.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proposes a new direction for future teacher education by highlighting the effectiveness of psychological factors, specifically health control materials and self-efficacy, in addition to focusing on improving infectious disease knowledge.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아영, 차정은 (1996). 자기효능감의 측정. 산업 및 조직 심리학회 동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51-64.
  2. 김영임 (2015). 청소년의 구강건강 통제의 소재와 구강 건강 증진 행위와의 관계. 한국치위생학회지, 15(4), 575-582. https://doi.org/10.13065/JKSDH.2015.15.04.575
  3. 김영희, 주현정 (2021). 코로나19 상황에서 어린이집 영유아의 스트레스와 뵤육교사의 지원.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20), 167-189. https://doi.org/10.22251/jlcci.2021.21.20.167
  4. 김정은 (2016). 장애전담어린이집 교사의 감염예방 지식, 태도, 실천에 관한 연구. 유아특수교육연구, 16(3), 77-90. http://doi.org/10.21214/kecse.2016.16.3.77
  5. 김효은, 이소은 (2016). MBTI 성격유형검사의 선호경향에 따른 보육교사의 교사신념과 자기효능감.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2(1), 171-185. https://doi.org/10.14698/jkcce.2016.12.171
  6. 경기도공공보건의료지원단 (2020). 경기도 코로나19 심리조사 결과(확진자 및 접촉자). http://ggpi.or.kr/board/data_list.asp에서 2020년 7월 1일 인출
  7. 박선남, 이영란, 정영주, 김경미 (2010). 보육교사의 전염성 질환에 대한 지식 및 전염성 질환 아동 관리 실태.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4(1), 115-125. https://doi.org/10.5932/JKPHN.2010.24.1.115
  8. 박현주, 정혜선, 이지혜 (2009). 중.고등학교 교사의 자기효능감이 건강증진 생활양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보건학회지, 22(2), 183-191.
  9. 보건복지부 (2020a).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 유행대비 어린이집용 대응지침 V판. https://icare.or.kr:41788/bbs/board.php?bo_table=s4_1&wr_id=264에서 2020년 5월 29일 인출
  10. 보건복지부 (2020b). 어린이집.유치원, 코로나19 안전돌봄 지원. https://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CONT_SEQ=352963에서 2020년 2월 18일 인출
  11. 신나리, 김상림, 이주연, 송승민, 백선정 (2021). 코로나19 시대의 보육: 어린이집의 운영 실태와과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7(2), 1-28. https://doi.org/10.14698/jkcce.2021.17.02.001
  12. 오가실, 심미경, 최은경 (2008). 보육시설 아동의 건강과 안전에 대한 보육교사의 지식, 자신감, 실천. 아동간호학회지, 14(2), 155-162.
  13. 이새별, 홍성희, 황희숙 (2015). 유아교육기관의 창의적 역량과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 및 교수몰입이 유아교사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2(4), 345-367.
  14. 이은진 (2013). 자궁적출술을 결정한 여성의 건강신념, 자궁적출술관련 지식과 의사결정갈등의관계. 고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이은주 (2011). 유아의 건강관리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역할수행.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이형초, 최정윤 (1993). 통제소재와 사회적 문제해결과의 관계 - 중년여성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2(2), 152-160.
  17. 임경호 (1999). 중.고등학교 체육교사의 보건교육 실시실태 및 보건의식 행태 조사. 경산대학교석사학위논문.
  18. 임순연 (2012). 일부 치위생과 학생의 통제소재, 자기효능감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치위생과학회지, 12(2), 181-188.
  19. 정영아 (2008). 초등교사의 운동행동 변화단계에 따른 의사결정균형과 자기효능감.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조계엽 (2011). 보육시설 종사자들의 영유아 감염예방에 대한 지식과 실천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주영희 (2011). 교사들의 건강증진 행위 관련요인. 김천과학대학 논문집, 37, 75-82.
  22. 중앙방역대책본부 (2020).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https://www.gn.go.kr/www/selectBbsNttView.do?key=3168&bbsNo=600&nttNo=104704에서 2020년 8월 25일 인출
  23. 주지혁 (2017). 미세먼지 관련 건강행동에 대한 구조적 관계의 탐색: 다차원 건강통제소재, 지각된 취약성과 심각성 및 건강행동의도를 중심으로. 한국융합학회논문지, 8(11), 413-421. https://doi.org/10.15207/JKCS.2017.8.11.413
  24. 질병관리청 등 관계부처 (2023. 5). 코로나19 위기상황에서 벗어나 일상회복 추진. https://ncov.kdca.go.kr/tcmBoardView.do?brdId=3&brdGubun=31&dataGubun=&ncvContSeq=7240&contSeq=7240&board_id=312&gubun=ALL에서 2023년 5월 11일 인출
  25. 차동필 (2010). 건강 관련 위험에 대한 매스 커뮤니케이션, 대인 커뮤니케이션, 그리고 다차원 건강통제소재가 공중의 위험지각에 미치는 영향. 인문연구, 58, 647-674.
  26. 최예린 (2020). 코로나 19에 대한 보육교사의 정서적 경험과 달라진 어린이집 일상에 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연구, 22(1), 253-279. https://doi.org/10.15409/riece.2020.22.1.12
  27. 최은주 (2012). 보육교사를 위한 감염관리 사례기반 소그룹 학급의 효과. 조선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8. 최윤경 (2020). 코로나19 육아분야 대응체계 점검: 어린이집.유치원 휴원 장기화에 따른 자녀돌봄현황 및 향후 과제. 육아정책 Brief, 81, 1-7.
  29. 표지숙 (1991). 노인들의 건강통제위와 건강증진행위와의 관계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0. 하지영, 김양은 (2015). 예비보육교사의 현실 충격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인구학적 배경, 자아탄력성, 자기효능감, 완벽주의 성향을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5), 333-353. https://doi.org/10.14698/jkcce.2015.11.333
  31. 한지언 (2019). 정형외과 병동 간호사의 통증관리 지식, 통증관리 자기효능감, 공감역량이 통증관리 수행에 미치는 영향. 인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2. Guskey, T. R., & Passaro, P. D. (1994). Teacher efficacy: A study of construct dimension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31(3), 627-643. https://doi.org/10.2307/1163230
  33. OECD (2005). The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 Executive summary. Retrieved May 13, 2023 from https://www.deseco.ch/bfs/deseco/en/index/02.html
  34. Sherer, M., Maddux, J. E., Mercandante, B., Prentice-Dunn, S., Jacobs, B., & Rogers, R. W. (1982).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51, 663-671. https://doi.org/10.2466/pr0.1982.51.2.663
  35. Wallston, B. S., Wallston, K. A., Kaplan, G. D., & Maides, S. A. (1976).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health locus of control (HLC) scale.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4(4), 580-585. https://doi.org/10.1037/0022-006X.44.4.580